데미안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17
헤르만 헤세 지음, 이노은 옮김 / 휴머니스트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내부를 거울처럼 비춰줄 영원한 고전]

 

학창시절 처음 읽었던 [데미안]은 저에게 큰 울림을 주지 못했습니다. 울림은 커녕 무슨 말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았어요. 그런데 역시 세계문학은 두번, 세번 읽어야 하는가봅니다.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시즌 4로 다시 한 번 만나게 된 이 작품은, 여전히 오묘하고 알쏭달쏭한 부분이 있지만 예전보다 조금 가까워진 듯한 기분이에요. 독서만큼 중요한 것이 삶의 경험이라고 생각해요. 책만으로는 도저히 얻을 수 없는 것들이 삶의 한가운데에 있습니다. 한편, 경험만으로 얻을 수 없는 것이 책 안에 존재하기도 하고요. 제가 [데미안]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게 된 데는 지나온 시간들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주인공 싱클레어의 '결정적 한순간'은 역시 데미안과의 만남이겠죠. 독실한 기독교 가정에서 엄하고 바른 교육을 받아온 싱클레어의 앞으로의 삶은, 아버지가 걸어온 그것과 크게 다를 것이 없어보입니다. 한 번의 거짓말로 인해 더할 수 없는 고통에 빠지는 싱클레어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민 사람은 데미안. 그러나 싱클레어는 데미안에게는 특별한 무언가가 있다는 것을 본능적으로 감지하고 처음에는 그에게 거리를 둡니다. 그와 접촉하게 되면 더 이상 자신이 숨쉬는 세상에서는 온전히 살아갈 수 없다고 생각했을 거예요.

 

각성한 인간에게는 오직 하나의 의무만 존재할 뿐 다른 의무는 결단코, 전혀 없었다. 그것은 자기 자신을 찾는 것, 자신의 내면에서 단단해지는 것, 어디로 가게 되든 상관없이 자신의 길을 더듬으며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었다.

p191

 

있는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데미안의 사고방식, 주위야 어떻든 자신의 내면에 침잠해 들어가 자신만의 답을 찾아내려는 모습은 결국 싱클레어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그리고 오랜 시간을 방황한 싱클레어가 깨달은 것은 바로 저 문장들로 압축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자기 자신을 찾는 것, 자신의 내면에서 단단해지는 것, 어디로 가게 되든 상관없이 자신의 길을 더듬으며 앞으로 나아가는 것. 그러기 위해서는 예전의 세계를 파괴하고 새로운 세상으로 나아가기 위한 '몸부림치며 알을 깨고 나오는' 고통을 감수해야만 합니다.

 

헤세가 창조해낸 '데미안'이라는 인물은 20세기 초 유럽에 산재해 있던 신구 학문과 사상들에 정통으로 도전장을 내밉니다. 물질적인 가치를 중요시하는 사회에 대해, 이분법적으로 선과 악을 나누고 이성 중심의 이기적이며 자연 파괴적인 욕망에 대해. 데미안은 싱클레어를 새로운 세상으로 인도하는 인물이자, 낡고 공허한 기독교의 가르침을 타파하려는 개혁가, 인간의 무의식에 대해 탐구하려는 시류에 부합하는 존재예요. 데미안, 그리고 싱클레어가 불가항력적으로 빠져드는 에바 부인은 그 자체가 헤세가 주장하려 하는 무언가이자 그 시대를 살아가는 수많은 사람들이 갈망하는 가치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요.

 

그는 또한 청년들에게 '의지'에 대해서도 역설하는데요. 저는 어쩐지 파울로 코엘료의 [연금술사]가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반드시 북극에 가보겠다거나 그와 비슷한 일을 상상해볼 수 있어. 하지만 그 소원이 완전히 나 자신 안에 자리 잡았을 때, 정말로 나의 존재가 그 소원으로 채워졌을 때만 그 일을 실행할 수 있고 충분히 강해지기를 원할 수 있는 거야.

p 85

 

청춘이 겪어야 하는 고행과 열정을 지나치지 않고 직접 그들에게 말을 건 작가. [데미안]이 많은 젊은이들에게 위로의 상징이 된 이유는 자신의 무의식과 개인의 내면에 집중한 스스로의 경험을 진실성 있게 기록했기 때문일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