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방 부인 정탐기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1
정명섭 지음 / 언더라인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는 워낙 추리물을 좋아하는 터라 모 방송국에서 방영되었던 드라마 <다모>나 <별순검>을 참 즐겨봤었는데요, 그 때는 그저 단순히 조선시대의 사건해결 방식에 흥미를 느꼈기 때문이라고 여겼었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신분차별이 심했던 조선시대에 여성이 중심이 되어 무언가를 해낸다는 설정을 좋아했던 것 같습니다. 등장하는 여인들이 여성으로서의 차별에서 자유로웠던 것은 아니지만 남성들은 다가갈 수 없는 영역을 구축해내는 그 강인함에 반했어요. 또한 조선이든 현대이든 사람 사는 곳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들은 흥미롭기 마련이죠.

 

정명섭 작가의 장르소설 [규방부인정탐기] 라는 제목을 들으면 무엇이 떠오르세요? 저는 겉으로는 조신함을 연기하지만 세상 일에 흥미가 많은 부인이 떠오르더라고요. 베일에 가려져 사건을 해결하는 부인이요. 그래서 첫장면에 다모로 박순애가 등장했을 때는 살짝 '어라?'하기도 했습니다. 우포도청 소속 다모인 박순애가 맡은 사건은 혼례를 올린 신부가 사라진 사건이었습니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새어머니 그늘 밑에서 온갖 수모를 당하던 아씨가 혼처를 알아봐달라고 큰아버지께 부탁했다가 막상 혼례일이 정해지니 좀 늦춰달라고 했다는 수수께끼. 정인이 있어 함께 달아났다면 곁에서 모시는 몸종이 눈치라도 챘을 것이고 패물이라도 챙겼어야 할 터인데 그런 낌새도 없이, 패물도 하나 챙기지 않은 채 모습을 감췄다는 거죠.

 

도무지 실마리를 잡을 수 없어 자신을 다모로 키운 예전 다모인 노파를 찾은 박순애에게 그녀는 보름달이 뜨는 날 용산 별영창 옆에 있는 정자인 삼호정에 가보라고 귀띔을 해줍니다. 삼호정을 찾은 박순애는 네 명의 여인들을 만나게 됩니다. 예전에는 기생이었으나 양반의 소실이 된 김금원, 이운초, 임혜랑, 박죽서. 여인들에게서 힌트를 얻은 박순애는 사건을 해결하고 비련한 여인을 구출해내기에 이릅니다.

 

이 작품의 매력은 당연히 여인들입니다. 박순애 혼자서라면 해결할 수 없었을 사건을, 삼호정 네 명의 그녀들이 남편의 힘과 지혜를 이용해 해결하는 장면은 정말 통쾌해요. 그런 한편 마음이 아프기도 합니다. '해어화'라고 불리던 그녀들이 기생이던 시절, 얼마나 많은 수모를 당했으면 기적에서 이름이 빠지는 순간부터 억울한 사람들을 돕고 싶다는 마음을 품게 되었을까요. 특히 김금원은 실제 인물로서 금강산 여행기인 <호동서락기>를 남기기도 했고, 실제로 양반의 소실이 된 이후부터 '삼호정 시사'라는 모임을 만들어 당대의 유명 문인들과 교류했다고 전해집니다. 여성으로서 주체적인 삶을 꾸려나간 것이죠. 그런 그녀도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종적을 감췄다고 해요. 아마도 정실과 그 자식들에 의해 쫓겨났을 테지만 저 또한 작가님처럼 자유롭게 자신만의 세상을 찾아 떠났다고 믿고 싶습니다.

 

이 작품에는 앞서 언급한 <사라진 신부> 외에 <며느리의 죽음> 이라는 작품도 함께 실려 있는데요, 이 단 두 작품으로 박순애와 삼호정 여인들의 인연이 끝났다고 생각하고 싶지 않습니다. 삼호정 네 여인과 박순애가 힘을 합쳐 억울하게 핍박당하는 여인들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활약하는 모습을 조금 더 보고 싶어요. 그러니 부디 더 많이, 더 두꺼운 책으로 독자 곁에 찾아와주시길 바랍니다!


 

**네이버 독서카페 '리뷰어스클럽'을 통해 출판사 <언더라인>으로부터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