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들리와 그레이스
수잔 레드펀 지음, 이진 옮김 / 밝은세상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면적으로는 평온한 가정에서 행복을 누리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폭력적인 남편 프랭크 때문에 고통스러워하는 하들리. 동생 바네사가 재혼하게 되자 동생 대신 돌보고 있던 조카 스키퍼를 바네사에게 데려다주면서 그 길로 프랭크로부터 탈출하기로 결심합니다. 하지만 늘 프랭크의 감시 속에 살고 있던 하들리에게 무슨 돈이 있었겠어요. 고민 끝에 하들리가 선택한 것은 프랭크의 금고를 터는 것. 두근두근 터질 듯한 가슴을 안고 딸 매티와 조카 스키퍼를 차에 태워 프랭크의 사무실로 향한 하들리가 맞닥뜨린 사람은 바로 그레이스입니다. 프랭크의 사무실 직원이지만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해 해고 위기에 처한 그레이스는, 불우한 어린시절에서 벗어나고자 나름 열심히 살아왔지만 남편 지미가 도박으로 재산을 탕진하자 역시 프랭크의 금고를 털러 온 것이었죠. 금고의 돈을 놓고 티격태격하던 것도 잠시, 돈을 나눠 달아나기로 결정한 그녀들의 뒤를 FBI가 뒤쫓기 시작합니다!

 

[하들리와 그레이스]를 읽는 동안 영화 <델마와 루이스>가 떠올랐는데요, 작가의 말을 읽어보니 역시 이 영화로부터 영감을 받았다고 해요. <델마와 루이스>를 너무 오래 전에 봐서 세세한 내용은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어린 시절의 저에게 이 영화는, 어딘가 쓸쓸하고 가슴 아픈 이야기로 남아 있습니다.  역시 마지막 장면 때문일까요. 그에 반해 [하들리와 그레이스]는 두 여성과 그 일행이 FBI와 프랭크에게 쫓기는데도 불구하고 유쾌하고 사랑스러운 느낌이 강했어요. 그 이유를 곰곰 생각해보니 하들리의 아이들-매티와 스키퍼, 그리고 그레이스의 아기 마일스 때문이었습니다. 어떻게든 지켜야 하는 아이들, 어려운 순간에 힘이 되어주는 아이들. 저도 아이들을 낳고 엄마는 강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지만, 그 힘의 원천은 결국 아이들이 아닐까요. 

 

이 이야기는 가족에 대해 또다른 정의를 내려줍니다. 혈연관계가 아니더라도 얼마든지 소중한 사이가 될 수 있다는 것, 가족에게 중요한 것은 결국 서로를 위하는 마음이라는 것을요. 그레이스는 성장 환경 때문에 마음에 벽이 있는 인물입니다. 마일스가 태어난 이후로는 남편 지미도 그리 큰 위로가 되지 못했죠. 게다가 지미의 도박! 생각만해도 열불이 납니다. 그래서 돈을 나누는 것 외에 하들리와 그 어떤 관계도 맺고 싶어하지 않아요. 도망도 각자, 살아남는 것도 각자이길 바랐지만, 하들리 일행과 함께 하면서 어느 순간 마음의 문이 활짝 열리는 자신을 발견합니다. 서로를 완전히 믿지 못하고 자신만의 이익을 생각하느라 급급한 이 시대에, 어쩌면 이 작품이야말로 현대인의 꿈을 반영한 최고의 판타지가 아닐까 싶어요.

 

조용히 도망다녀도 모자랄 판에 그녀들의 이 모험극은 결국 전국민의 관심을 사기에 이릅니다. 누군가는 응원하고, 누군가는 비난하죠. 소설을 읽으면서 제가 깨달은 것은 사건의 단면만 바라봐서는 안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레이스를 비난했던 사람들은 그녀의 무엇을 알았을까요. 저도 완벽한 사람이지는 않기에 때로 실수도 하고, 누군가를 미워하거나 원망하기도 하지만 타인을 이해해보고자 하는 마음은 잊지 않으려고 노력해요. 그것이 책으로부터 얻은 가장 큰 교훈인 것 같습니다.   

 

위기에 빠진 여성들의 의기투합 액션 어드벤처! 용기와 사랑이 가득한 그녀들의 모험에 함께 뛰어들어 봅시다!

 

** <밝은세상>으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