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무죄
다이몬 다케아키 지음, 김은모 옮김 / 검은숲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를 지탱하는 도구로 법이 존재하지만, 이 법은 때에 따라 억울함을 조장하는 데 앞장서기도 한다.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 형벌을 받는 일, 그것을 우리는 ‘원죄’라 부르는데 그렇다면 법은 과연 절대적으로 옳은 것인가-라는 의문을 갖는 것은 당연하지 않은가. 법으로도 해결되지 않는 일이 벌어진다면, 정의란 무엇일까. 우리는 무엇에 기대 살아가야 하는 것일까.

 


어릴 적 괴한에게 유괴되었다 자력으로 탈출한 기억이 있는 마쓰오카 지사. 그녀의 기억 속에서 범인은 마치 트롤과도 같은 얼굴을 하고 있었다. 그 후로 계속 악몽에 시달리는 지사는 능력인지 운인지 세간이 주목하는 사건을 맡아 성공적으로 해결하게 된다. 그러던 중 지사가 일하고 있는 법률사무소의 시니어 변호사가 한 가지를 제안하는데, 그녀의 고향에서 벌어졌던 소녀 유괴살해사건의 범인으로 체포되어 형을 살고 있는 범인 히라야마의 재심청구를 맡아달라는 것. 21년 전 일곱 살 소녀를 살해하고도 무죄를 주장하는 히라야마. 과연 그는 억울한 누명을 쓴 평범한 사람인가, 죄를 짓고도 뻔뻔하게 무죄를 주장하는 악독한 범인인가.

 

 

책을 읽는 내내 두근두근 긴장감이 멈추지 않는다. 어딘가 의심스러워보이는 히라야마지만, 언론과 타인의 시선에 의해 희생된 것처럼 보이기도 하기 때문. 자신은 무죄라고 주장하지만, 혹시 지사가 그에게 속아넘어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불안감에 한시도 마음을 놓을 수가 없었다. 히라야마가 한 번 풀려나면 다시는 똑같은 명목으로 죄를 물을 수 없는 상황. 처음에 법은 히라야마의 손을 들어주지 않았었다. 아무리 무죄라고 외쳤어도 들어주는 이 하나 없이 외로운 싸움을 하던 그가 마음을 바꾼 것은 여동생이 자살했기 때문이었다.

 

 

여기에 자신이 한 일이 '정의'라고 믿는 경찰이 등장한다. 확실한 증거가 없는 상황이었지만 히라야마가 범인이라고 굳게 믿고 경찰로서 해서는 안 될 짓을 저지른 경찰. 그 일로 인해 재심청구가 받아들여지고 히라야마는 무죄 선고를 받는다. 하지만 끝나지 않는 사건. 진범이 있다면 그 진범을, 히라야마가 진범이라면 다시 그와의 싸움을 시작해야만 한다!

 

 

마쓰오카 지사의 생생한 감정선, 정의라는 것에 대한 고찰, '완전무죄'라고 판결을 받아도 변하지 않는 사람들의 시선 등 생각할거리가 많은 작품이다. 각자가 주장하는 정의에 대해 공감이 되기도 하면서 가슴 속에서 끓어오르는 울분과 세상의 부조리함으로 인해 한숨이 푹 나오기도 했던 이야기.

 

 

마지막으로 한 마디 하자면, 제발 어린 아이들 상대로 이상한 생각 하지 말라고요!! 정말 %^%^*&*^%% 이니까요!

 

 ** 네이버 독서카페 '책과콩나무'를 통해 <검은숲>으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