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 아내
세라 게일리 지음, 안은주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기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 마음 속에서 분노가 끓어오릅니다!!부부 사이가 나빠 이혼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 자신의 마음에 드는 아내의 모습만을 골라 프로그래밍해 '클론'으로 만들어 그녀와 재혼하다니요!! 이게 있을 수 있는 일이란 말입니꽈!! 아마도 수많은 여성독자들의 가슴을 울분으로 울렁이게 만들 충격적인 소재의 [일회용 아내]는 바로 그 있을 수 없는 일을 맞닥뜨린 에벌린과 그녀의 클론 마르틴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복제 인간에 대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염원하던 과학상까지 수상한 에벌린이지만, 남편 네이선과의 관계는 이미 파탄에 이르렀죠. 게다가 그는 에벌린과 얼굴만 같고 무척이나 순종적인 성격의 복제인간 마르틴을 만들어냈어요. 그러던 그가 살해당했다는 연락을 받게 되는 에벌린. 이건 치정이다!! 다분히 스릴러의 냄새를 맡고 읽기 시작했는데, 에벌린과 마르틴의 이야기에 흠뻑 빠져들면서 머리속이 복잡해졌습니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클론 제작과정은 무척 놀라워요. 제 머리는 굉장히 문과적이라 읽고 따라가는 것조차도 버거울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이런 일이 정말 가능할까요. 복제인간을 만드는 것만도 대단한데, 유전자와 뇌지도를 프로그래밍해서 원하는 존재를 창조해낸다는 게 말이에요. 굉장하다고 여겨지는 한편, 저는 조금 무서웠습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존재를 정말 '사람'이라고 볼 수 있을까, 그런 존재도 '인격'이라는 것을 가질 수 있을까 의문이 들었어요. 실제로 작품 속에서 마르틴은 에벌린에게 줄곧 '도구'라는 표현으로 나타내집니다. 자신을 대체할 수 있는 도구, 그 도구가 임신까지 할 리 없다!! -며 마르틴의 존재를 줄곧 부정하죠. 

 

네이선이 죽지 않았다면 두 여성은 서로를 이해할 시간을 갖지 못했을텐데, 아이러니하게도 그의 죽음을 통해 두 여성은, 적어도 에벌린은 마르틴을 한 인간으로 바라보기 시작합니다. 독자들에게도 이것이 가장 큰 의문이었을 거에요. 과연 마르틴을 한 '인간'으로 인정할 수 있는가. 사실 초반에 등장한 마르틴의 모습은 너무나 순종적이고 감정의 폭이 크지 않아서 마치 로봇처럼 다가옵니다. 소름이 끼치기도 했어요. 그러나 에벌린의 시각에서 제한적으로 이야기가 진행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그렇게 함께 생활하고 모종의 일을 도모해나가면서 에벌린은 과거의 상처와 당당히 맞서고, 마르틴은 한 인간으로서의 정체성과 자아를 깨닫게 되죠. 

 

과연 이 작품이 어떻게 마무리될 것인가, 조마조마했습니다. 순간 다시 스릴러로 끝을 맺나 싶었지만 너무나 멋지고 깔끔한 결말에 박수를 치고 싶었을 정도입니다. 특히 마지막 장면 때문에 저는 이 작품을 더 사랑하게 됐어요. 복제인간의 정체성이라는 SF적인 요소에, 사회가 여성에게 요구하는 '훌륭한' 아내로서의 역할 등 생각할 거리가 많았던 멋진 작품!! 강추강추!!

 

** 네이버 독서카페 '책과 콩나무'를 통해 <한스미디어>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