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얼음 속의 엄마를 떠나보내다 ㅣ 고블 씬 북 시리즈
남유하 지음 / 고블 / 2021년 12월
평점 :

카야가 사는 마을에는 특별한 장례 의식이 있습니다. 세상을 떠난 사람을 관에 넣고 차례차례 물을 부어 얼음관으로 만드는 것. 그렇게 만들어진 얼음관은 가족이 계속 살아가는 집 앞에 세워집니다. 카야와 마을 사람들이 사는 곳은 겨울이 끝나지 않는 얼음왕국, 겨울이 가고 겨울이 오는 마을. 이제는 생김새마저 닮아가는 사람들 속에서 카야의 엄마는 특별한 존재였습니다. 14년 전, 관광 차 찾은 마을에서 아빠를 만나 사랑에 빠지고 카야를 낳은 엄마. 다른 이들은 알지 못하는 봄의 존재를 이미 체험한 엄마는, 이제는 카야가 봄이고 태양이라며 아낌없는 사랑을 주었어요. 그런 엄마가 병으로 세상을 떠나고 카야와 아빠는 슬픔 속에서도 어떻게든 살아가고자 합니다.
그런 카야에게 닥친 시련. 마을에 영향력을 끼치는 스미스 씨가 엄마의 얼음관을 원해요. 자신의 정원에 진열하기 위해서라는 이유만으로 엄마를 빼앗길 위기에 처한 카야. 소녀는 완강히 저항하지만 딸에게 보다 안락한 생활을 누리게 해주고 싶었던 아빠는 이를 악물고 엄마의 얼음관을 스미스 씨에게 넘깁니다. 그 이후 스미스 씨 집을 찾아 엄마의 얼음관을 보고 오는 것이 일상이 된 카야. 스미스 씨는 카야에게 편안하게 집으로 들어와 보고 가라며 맛있는 간식도 주고, 따뜻한 방도 제공하죠. 어딘가 의뭉스러워보이는 스미스 씨. 그리고 그 누구도 생각할 수 없었던 소름끼칠 정도로 잔혹한 음모!!
저는 겨울을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추운 것도 싫어하고 정체된 공기나 분위기 같은 것도 딱히 즐기지 않아요. 어쩐지 모든 것이 깊은 잠에 들어 깨어나기만을 열망하는 것 같기도 하고요. 그런데 겨울이 가고 또 겨울이 오는 마을이라니요!! 생각만으로도 한기가 뼛속을 파고드는 듯한 느낌에 호흡마저 가빠옵니다. 하지만 그보다 저를 더 힘들게 했던 건 역시 카야가 처한 상황이었어요. 사랑하는 엄마를 잃은 것도 슬플텐데, 얼음관 속에 잠든 엄마를 매일 봐야 한다는 고통은 상상도 되지 않습니다. 아무리 카야의 마을 풍습이라고 해도 이제는 이 세상에 없는 사랑하는 사람의 잠든 모습을 매일 봐야 한다면, 저는 도저히 견디지 못할 것 같아요. 게다가!! 뻔뻔하고 탐욕스러운 스미스 씨가 엄마의 관을 탈취해가다니, 혈압이 올라 뒷목 잡을 일 아닙니까!!

스미스 씨의 흉악한 음모에서 카야를 지켜 준 알마. 그리고 알마의 의지가 불러온 결단. 엄마는 빛이 되어 앞으로도 카야를 지켜주겠죠. 환청이라고 해도 카야의 귓가에 들리는 엄마의 목소리에, 울컥 마음이 요동치고 말았습니다.
카야, 사랑해. 엄마는 햇살, 바람, 그리고 새의 노랫소리 속에서 언제나 너와 함께할 거야.
p123
슬프고도 아름다운 SF 소설. 안데르센의 <눈의 여왕>이 떠올랐던 동화같기도 한 환상 이야기입니다. 출판사 들녘에서 출격한 고블 시리즈. 새로운 장르 문학 브랜드로 앞으로의 행보가 궁금해집니다.
** 네이버 독서카페 '리뷰어스클럽'을 통해 <고블> 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