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회
윌리엄 트레버 지음, 김하현 옮김 / 한겨레출판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밀리의 남편이 죽음을 맞이했다. 그의 죽음을 애도하고 홀로 남은 아내를 위로하기 위해 에밀리의 집을 찾은 제라티 자매에게, 에밀리는 슬픔보다 더 짙게 남은 회한을 털어놓는다. 죽은 남편의 장점보다 단점을 더 많이 기억하고 술회하는 에밀리. 자매는 '누구나 좋은 면과 나쁜 면이 있다'는 말로 애써 당혹감을 감추려 하지만, 에밀리에게 남은 것은 슬픔이나 죽은 자를 향한 마지막 사랑이 아니라 빈 껍데기 같은 무엇이었다. 

 

[밀회] 에 실린 단편들은 모두 12편. 작가인 윌리엄 트레버의 명성을 익히 들었기에 무척 기대하고 읽기 시작한 작품집이었는데, 첫 작품부터 익숙치 않은 분위기와 메시지에 머리가 혼란스러워졌다. 알 것도 같고 모를 것도 같은 삶에 대한 무언가. 오랜 결혼 생활을, 애정없이 그저 함께 살아왔을 뿐인 부부생활을 끝내게 되면 에밀리처럼 반응하게 되는 것일까. 이런 당황스러움은 첫 번째 이야기인 <고인 곁에 앉다> 를 시작으로 마지막 작품인 <밀회>로 주욱 이어진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처음부터 끝까지 작가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첫 이야기에서는 알쏭달쏭했던 그 무언가가 손에 잡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개인적인 감상을 말하자면, 그의 작품 속에서 줄거리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윌리엄 트레버의 작품 속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한 번 스쳐가는 손길, 눈빛, 분위기 안에서 느껴지는 무언의 깨달음 같은 것이다.

 

 <밀회>에서 적절치 못한 관계를 이어오던 커플 중 여성이 이별을 감지하는 것은 상대의 말 때문이 아니었다. 이별의 예감은 단순히 '그들의 연애가 어제와는 다르다는 것을 잠시나마 느꼈다'라는 문장으로 대변될 뿐이고, 독자는 이 문장을 읽는 순간부터 그녀와 함께 이별의 징조를 가슴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글로 쓰여있으되 글로 표현되어 있지 않은 그 무언가를, 독자는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그들은 이별의 말조차 나누지 않는다. 백화점 유리창에 반사되어 새겨지는 두 사람의 마지막 포옹. 그 장면과 분위기를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전율이 일었다. 

 

수많은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고 찬사와 존경을 받는 윌리엄 트레버. 하지만 나는 아직은 그의 작품이 많이 낯설다. 나의 삶의 깊이가 아직 그런 수준에까지는 도달하지 못한 모양이다. 오기가 나서 에잇!하며 계속 읽어가기는 했지만 표제작인 <밀회> 외에 이렇다 할 느낌은 받지 못했다. 어떤 작가와 작품에 도전한다는 표현은 옳지 못한 것일 수도 있겠지만, 도전해보고 싶은 작가가 한 명 더 생긴 것은 확실하다. 그 끝을 살짝 붙잡은 것 같은 윌리엄 트레버의 세계. 그가 보여주는 여백의 미를 조금은 더 음미해보고 싶다.

 

** 출판사 <한겨레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