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을 공부합니다 - 음식에 진심인 이들을 위한‘9+3’첩 인문학 밥상
주영하 지음 / 휴머니스트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엇을 먹을까 생각하는 것은 때로 정말 고민이 되기도 하고 즐거운 일이 되기도 합니다. 보통의 우리들은 아마도 그저 '맛있다, 맛이 없다'의 기준에서만 음식을 바라보고 있을 듯 한데요, 여기 30년 넘게 음식을 공부해온 사람이 있어요!! 처음에는 '음식을 공부하는 직업도 있나' 싶었는데, 생각해보니 음식에 대한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것만큼 또 중요한 일이 없겠다 싶더라고요. 의식주, 인간이 살아가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으로 여겨지는 것 중 어쩌면 제일 본능과 직결된 것!! 그 음식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게 되니 음식 하나하나가 그렇게 대단해 보입니다.

 

이 책은 2021년 <EBS 클래스 e>에서 강의한 '음식 인문학'의 강의록이 수정되고 보완된 것입니다. 음식의 내력을 따져라, 음식의 범주를 따져보라, 제조 과정의 핵심을 정리하라, 유행 시점과 장소가 기준이다, 오래된 문헌 기록도 의심하라, 식재료의 확보 가능 시기를 파악하라, 시대별로 변하는 품종에 주목하라, 특정 시기에 유행한 요리법을 모아라, 산업화로 즐겨 먹는 때가 바뀜을 알라, 언제부터 전 국민이 먹었을지 생각하라, 유명해진 곳이 어딘지 찾아라, '만들어지는' 음식의 전통에 속지 마라-의 12가지 음식 공부법에 맞춰 여러 가지 음식이 소개되어 있어요. 저는음식을 공부할 마음은 없었기에 편한 마음으로 음식의 역사와 기원 등에 대해 아주 재미나게 읽었지만, 음식에 대해 본격적으로 공부해야겠다고 마음 먹은 사람에게는 기초적인 교재로 쓰여도 손색이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많은 음식 중 특히 제 눈에 들어온 것은 라면과 떡국이었습니다. 저희 집에서 가장 자주 먹는 음식들이거든요. 옆지기가 라면을 그렇게 좋아합니다. 우리나라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라면이 일본어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일본어 사전에는 중국어라고 되어 있다고 해요. 중국어의 '라몐'이 일본어의 '라-멘'이 되었고, 그것이 우리나라로 와서 '라면'이 된 것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믿고 있었지만 저자가 직접 중국에 가서 알아본 바, 중국에는 라몐이란 것은 없고 국수를 만드는 행위를 가리키는 것이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라면은 일본의 안도 모모후쿠가 만든 인스턴트 라면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최초의 '즉석 삼양 라-면'은 재미있게도 처음에는 '옷감'으로 오해까지 받았다고 하니 웃음이 절로 나와요.

 

다른 아이들도 그럴지 모르겠지만 저희 아이들은 떡국을 참 좋아해요. 사골국이 있으면 있는대로, 없으면 없는대로 떡과 만두를 넣으면 간단히 한끼가 해결되니 엄마들에게도 효자 메뉴입니다. 설날이 되면 당연한 듯 한 그릇씩 비우곤 했던 떡국. 그런데 이 떡국도 전국적으로 먹던 음식이 아니었다고 해요. 본래 서울 지역의 설날 음식이었지만 1960년대 박정희 정부가 들어서면서 양력설만 쇠도록 강력한 정책을 펼치면서 떡국차례와 떡국 먹기가 정부의 캠페인이 된 것이죠. 심지어 17세기 초반이 되기까지는 설날에 떡국 대신 만두국을 먹었다는 기록도 있다니, 아주 오래된 전통으로 알고 있던 '설날에 떡국먹기'도 알고보면 그리 유서 깊은 행사는 아니었던 것입니다.

 

음식을 맛있게 먹으면 됐지 그 기원이나 문화, 역사에 대해 아는 것이 왜 중요하냐고 반문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 같아요. 살아가면서 그리 큰 문제는 되지 않겠지만, 라면과 떡국마저도 담겨 있는 이야기를 알고 나니 조금쯤은 달리 보이지 않으세요? 알고 먹는가와 모르고 먹는가의 차이는, 아마 식탁에서의 시간이 어떻게 흘러가느냐로 증명될 것 같아요. 저는 특히 아이들에게 해 줄 이야기거리가 풍부해진 듯한 기분이 들어, 아주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