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 경성 모던라이프 - 경성 사계절의 일상
오숙진 지음 / 이야기나무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찬바람이 불고 날씨가 쌀쌀해지면 생각나는 것들이 몇 가지 있다. 아이들을 키우기 시작하면서부터는 이 계절이 되면 '그림자극장'이 떠오른다. 정작 내가 어렸을 때는 별 흥미를 갖지 못했는데, 아이들이 좋아하니 덩달아 나도 좋아지는 것. 잠들기 전 이불을 둘러쓰고 앉아 그림자극장 속 전래동화에 귀기울이다보면 아련한 향수같은 것에 마음이 먹먹해지는 것 같다.

 

[1930 경성 모던라이프]는 그렇게 그림자극장을 보는 것 같은 기분이 들게 한다. 멈춰있는 그림들, 하지만 언젠가 그 시간 속에 살아있었던 사람들이 생각나면서 전해져오는 그리움 같은 것. 글은 얼마 되지 않고 그림이 주를 이루지만 들여다보고 있으면 그들의 숨소리, 말소리가 들려오는 것만 같다. 이런 경성의 안내자는 금파리. 작은 금파리 하나가 경성의 이곳저곳을 유랑하며 보여주는 1930년. 남대문과 태평통, 광화문통, 종로 네거리, 설렁탕집, 탑골공원, 경성도서관, 천도교당, 카페, 창경원까지 멈춰있으나 책 안에서 흘러가는 그들의 시간을 함께 느끼는 책이다.

 

그 동안은 경성이라고 하면 화려하고 소란스러운 이미지를 연상했었다. 그 시대가 어떤 시대인지 알면서도 미디어가 만들어낸 이미지에 현혹되었던 탓이다. 근대남녀 열풍에 나타난 모던보이, 모던걸이 떠오르는 시절. 그러나 그림 속 경성은 건조하고 덤덤하다. 심지어 자동차와 당나귀의 충돌 장면마저도. 그런데 이상하지 않은가. 당나귀와 자동차라니. 그림에는 이렇게 어울리지 않는 것들이 어울려 있다. 소달구지와 자동차, 두루마기에 맥고모자, 치마 저고리와 대비되는 구두와 스커트 등. 그림이 나타내는 것처럼 그 시대 자체가 혼란스러웠을 것이다.

 

글로 설명되어진 것보다 더 많은 이야기가 그림 안에 담겨 흘러나온다. 비록 혼란의 시대였어도 지금과 별반 다르지 않은 일상을 보내는 사람들. 현란한 그림이 아니라 더 깊고 진하게, 사실적으로 그 시대를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작가님이 앞으로 어떤 주제의 작품들을 선보일지 궁금하다.

 

**북카페 '책과 콩나무'를 통해 <이야기나무>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