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심은 "자기 마음의 평정이나 재산을 희생하고, 심지어 목숨까지 바쳐가며 외부의 침략으로부터 자기 국민을 보호하자는 신조"인데, 그것은 오로지 다른 국민이나 다른 국가의 이익과 힘을 희생시킨 대가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p 164

 

러시아가 낳은 대문호 톨스토이는 국가주의에 반대한 사람 중 한 명이었다. 그렇다고 아나키즘에 전적으로 동의하지도 않았던 그가 주장한 것은 국가의 폭력성을 폭로하고, 폭력과 단절하는 일. 그 다음은 그리스도교의 정신으로 대항하는 일이었다.

 

그의 해결책은 지나치게 종교적이고 도덕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그의 작품을 떠올려보면 그가 무엇을 중요시했는지 이제서야 제대로 이해가 되는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