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울지마 인턴
나카야마 유지로 지음, 오승민 옮김 / 미래지향 / 2020년 5월
평점 :

그 동안 읽은 의학 소설 속 주인공들에게는 믿음직한 모습이 있었다. 생사를 결정하는 것은 인간이 아니지만, 그 기로에 서서 어떻게든 '지금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내는 것. 비록 소설이었지만 생로병사가 이루어지는 병원을 무대로 펼쳐지는 드라마 속에서 성장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지켜보는 보람도 느낄 수 있었다. 그런데! 두둥! [울지마 인턴] 의 주인공인 인턴 류지는 그런 믿음직한 의사의 모습과는 약간 거리가 있다.
어린 시절 갑작스럽게 형을 잃은 류지. 그 영향을 받았기 때문인지 지금은 도쿄 종합병원에서 인턴으로 일하고 있다. 이제 겨우 인턴 1년 차에 불과한 류지는 레지던트나 교수가 보기에 아직 햇병아리에 불과하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너무나 어수룩하다. 검사 결과를 보면서도 이것을 어떻게 연결지어야 할지 아직 감도 못잡고 있는 데다, 교수나 사토 의사가 물어보는 질문에 제대로 대답도 못하고, 게다가 눈치도 약간 없어보이는 인물. 심지어 수술 보조를 서다가 기절하기까지!!
제목에서처럼 눈물도 많은 사람이 바로 류지다. 기술과 경험 면에서는 다소 부족하지만 류지의 마음 속에는 열정과 의구심이 있다. 의구심이란 바로 '이렇게 하면 환자를 구할 수 있는데, 왜 그 방법을 사용하지 않나', '금방 죽을 환자이기 때문에 남아있는 방법을 활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인가'와 같은,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일들에 대한 것이다. 아마도 숙련된 의사라면 환자의 차트만 봐도 상태를 짐작할 수 있고, 몸 상태나 병의 진척 상황만으로도 어떤 방법이 필요하고 무엇을 최소화할지 판단하기 어렵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류지는 할 수 있는 일은 끝까지 어떻게든 해봐야 하지 않나, 라고 생각한다. 중도에 포기하는 것은, 어렸을 때 형을 잃은 그에게 아픈 상처를 다시 깨우는 것과 똑같기 때문이다.
소설이라기보다 '아메노 류지'라는 인턴의 의사일기같은 느낌이 드는 작품이다. 여타의 의학소설과는 달리 격정적인 감동이나 삶에 대한 통찰력보다 인턴으로서 최선을 다하는 류지가 하루하루 성장해나가는 모습을 지켜보는 듯한 기분. 작가 나카야마 유지로 역시 의사로서 화려한 이력을 자랑한다. 이 책에는 그의 경험담이 녹아들어 있는 것일까. 극적인 의학소설을 기대한 독자에게 다소 밋밋하다 여겨질 수 있지만, 햇병아리 인턴 류지의 열정에는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