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티핑 더 벨벳 ㅣ 세라 워터스 빅토리아 시대 3부작
세라 워터스 지음, 최용준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12월
평점 :
사람이 사람을 좋아하는 데 무슨 이유가 있을까. 평소 그렇게 여겨왔던 터라 동성연애에 대한 편견도 없다고 생각했었다. 남자고 여자고를 따지지 않고 그저 한 인간의 매력에 끌리는 것일 뿐, 사회가 정한 기준 속에서 가장 괴로운 사람은 당사자일 것이기 때문에. 아이들의 미래를 생각하면서 옆지기와 종종 이런저런 대화를 나누다가 '만약 아이들이 동성을 좋아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에 대해 토론한 적이 있다. 나도, 옆지기도 가장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것은 아이들의 행복인지라, 아이들만 행복하다면 받아들이겠다고 결론지었는데, 음머, [티핑 더 벨벳]은 적나라한 성적 묘사로 그런 나도 깜짝 놀랄 지경이었다. 막연하게 생각해온 관용과 받아들임을 채찍질당한 기분이랄까.
윗스터블에서 굴을 따던 평범한 소녀 낸시 에슬리. 가족과 함께 굴 식당에서 일하는 그녀가 좋아하는 것은 연예장이다. 연예장의 노래와 그 노래를 부르는 것을 좋아하던 낸시는 캔터베리 궁전으로 공연을 하러 온 키티 버틀러를 보고 한눈에 마음을 빼앗긴다. 언니인 앨리스에게 자신의 비밀을 털어놓지만 앨리스는 애원과 비난으로 낸시를 이해하지 못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키티를 보기 위해 매일 밤 연예장으로 달려가는 낸시. 그리고 그런 그녀의 열정을 알아차린 키티. 자신의 의상담당으로 함께 런던으로 가자는 키티의 권유에 두 사람은 런던으로 향하고, 서로의 마음을 확인한 후 꿈같은 시간을 보낸다.
하지만 '톰'이라 불리는 여자는 되고 싶지 않았던 키티는 두 사람의 사이를 숨기려고만 하고, 그와 달리 누구에게나 자신들의 사랑을 내보일 수 있는 낸시와 키티가 대립하면서 결국 둘의 관계는 파탄나고 만다. 남장을 하고 키티와 함께 공연하던 낸시는 키티로부터 숨기 위해 자취를 감추고, 우연히 매춘의 세계를 알게 되면서 남창으로 살아가게 된다. 그런 그녀를 눈여겨 본 다이애나. 쾌락과 호화로운 생활을 제공받는 대신 다이애나의 '장식품'으로 살아가는 낸시. 그녀의 삶이 다다르는 곳은 과연 어디일까.
학창시절 인터넷에 돌아다니던, 좋아하는 아이돌을 주인공으로 한 BL 소설은 읽어본 적 있지만 이렇게 본격적인 퀴어문학은 처음이었다. 여성과 여성 사이에 흐르는 감정의 흐름만 묘사되어 있다면 이렇게까지 충격 받지 않았겠지만, 키티와 낸시의 관계 묘사는 다이애나와의 정사 장면에 비하면 아이들 장난 같은 수준이라고 할까. 너무나 자연스럽게 딜도와 그 쓰임까지 노골적으로 설명되어 있어 이미 아이를 둘이나 낳은 내가 봐도 얼굴이 붉어질 정도.
하지만 작품 중반 다이애나와 낸시의 만남이 나를 짜증스럽게 만들었던 것은 그런 성적 묘사 때문이 아니었다. 문학이 현실을 반영한다면, 여성 사이의 관계 묘사도 받아들일 수 있지만 낸시가 쾌락에 빠져 그것에만 몰두하는 듯한 삶을 보내고 있는 모습이 싫었다. 키티와의 만남에서 알게 된 자신의 성 정체성. 그것을 도구로 다이애나의 지인들 앞에서 전시하고 '공연'하는 듯한 그 모습은, 무수히 많은 '톰'들을 모욕하는 것처럼 느껴졌다. 나는 '톰'이 아님에도 저런 낸시가 '톰'이라면 '톰'인 여성들조차 그녀를 받아들이고 싶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 다이애나와의 생활 속에는 사람이 삶 속에서 추구하는 자아실현의 욕구, 쾌락 이외의 그 무엇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톰'을 멸시하고 비난하는데, 그들조차 스스로를 조롱하고 있다는 듯한 인상을 받았다.
만약 낸시가 플로렌스와 만나지 않고 그 후 '톰'으로서 건강한 삶을 살지 않았다면 나는 이 작품에 돌을 던졌을 것이다. 단순히 여성들의 사랑과 그 쾌락만 그렸다면 이 작품은 문학으로서 그 어떤 역할도 해내지 못한 셈이니까. 그러나 너무나 다행스럽게도 마지막 낸시의 선택은, 그 때의 '톰'들도 이 시대의 '톰'들도 모두 사랑을 하는 한 인간으로서, 이성애자들처럼 자신들의 삶을 견실하게 구축해나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들을 향해 결코 색안경을 낄 필요가 없다고. 그들 또한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몸부림치며 살아가는 중이라고.
<작가의 말>에서 세라 워터스는 [티핑 더 벨벳]을 쓰면서 자신의 성 정체성이 밝혀질 것에 대해 마음을 다잡아야 했다고 적었다. 엄청나게 야하고 부적절해 보이는 제목과 내용 자체도 한정된 독자층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었지만, 이성애자 독자들 역시 이 작품에 열광했다는 사실에 깜짝 놀랐다고. 이 작품의 성공은 결국 시대가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톰'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는 것을 두려워할 필요 없다고, 같은 사회의 일원으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증거로서의 작품.
빛나는 결말로 인해 만족스러웠던 [티핑 더 벨벳]. 덕분에 <빅토리아 시대 3부작>의 남아있는 작품들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졌다. 다른 작품들에서 작가는 과연 무슨 말을 하고 있을까. 그녀가 던지고 싶었던 화두, 그 안으로 또 한번 들어가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