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피스트
헬레네 플루드 지음, 강선재 옮김 / 푸른숲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테라피스트(심리치료사]로 일하는 사라. 어느 날 새벽 남편 시구르가 친구들과의 만남을 위해 집을 나섰는데 그가 약속 장소에 나타나지 않았다는 연락을 받는다. 그런데 이상하다. 분명히 그는 사라가 내담자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을 때 그녀의 휴대폰에 음성메시지를 남겼다. 이미 친구들과 만난 것처럼 이야기하고, 어떤 한 친구의 모습을 묘사까지 하는 내용의 메시지. 세세한 부분까지 잘 기억하는 사라는, 건축가로 일하는 시구르의 도면통이 한때 벽에 걸려 있지 않다가 돌연 모습을 드러낸 것을 발견한다. 그리고 집안 곳곳에서 느껴지는 침입자의 기운. 경찰은 그녀의 행동을 망상증 정도로 치부하고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지만, 집에 은밀히 설치된 감시카메라에는 정체불명의 인물이 찍혀 있다!

 

'기억은 변한다. 나도 내 기억을 믿을 수 없다' 라는 문장에서부터 이 작품에 대한 혼란이 시작된다. 정말 사라가 기억하는 것처럼 시구르는 새벽에 집을 나섰는가. 사라만 들었던 시구르의 음성 메시지-무슨 이유에서인지 모르지만 시구르가 거짓말을 했다는 생각에 화가 나 충동적으로 삭제해버린 그 음성 메시지는 실제로 존재했나, 사라가 떠올린 그 기억에 혼란이나 착오는 없는 것인가. 이야기를 읽어가면서 '범인은 시구르다!'라고 생각했다. 경찰과 사라가 모두 시구르라고 생각한 시체는 그와 외모가 닮은 것일 뿐 진짜 시구르는 아니고, 시구르에게 다른 여자가 생겼거나 금전적인 이유로 자신은 죽은 척, 결국에는 사라를 해치려고 하는 음모구나-라고 나름의 시나리오를 작성했다. 헹, 코웃음까지 치면서. 그런데 오, 의외의 반전! 훨씬 더 깊은 어둠 속에 도사리고 있던 그 반전을 알고나니 수수께끼가 풀려 속이 시원하다기보다 마음 깊은 곳에서 올라오는 슬픔을 느껴진다.

 

작품은 사라와 시구르의 과거의 행적이 드문드문 삽입되면서 진행되는데 읽는 동안에는 조금 지루하게 느껴졌던 그 부분이 이야기의 마지막에 다가갈수록 애달프게 다가왔다. 시구르가 어떤 사람이었든, 무슨 일을 했든, 그들은 부부였고 서로를 사랑했다. 시구르가 살아있었다면 그들의 관계는 어떻게 변화했을까. 사라가 '헤이, 러브'라 속삭이는 그의 음성을 다시는 듣지 못하게 되었다고 자각하는 순간의 아픔은, 마치 내 것처럼 느껴졌다. 소중한 누군가를 위해 어디까지, 무슨 짓까지 할 수 있는가. 나라면 과연 어떤 선택을 했을까. 스릴러인만큼 길고 자세하게 리뷰를 쓸 수 없는 점이 아쉽다.

 

요즘은 액션과 스릴이 넘치는 스릴러보다 요렇게 사람의 마음을 들었다놨다 하는 심리스릴러가 대세인 듯 한데, 이 작품 역시 그 분위기를 흠뻑 즐기며 읽어내려갔다. 북유럽 스릴러 특유의 서늘한 맛이 좋았던 작품.

 

아니, 그런데 왜! 유부남을.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