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속 천문학 - 미술학자가 올려다본 우주, 천문학자가 들여다본 그림 그림 속 시리즈
김선지 지음, 김현구 도움글 / 아날로그(글담)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도 좋아하고, 그림 속에 담겨 있는 신화와 성서 이야기도 좋아하고, 잘은 모르지만 별자리 이야기도 좋아한다. 언젠가 아이들과 밤하늘을 바라보면서 별자리 하나하나 찾아보고 그와 관련된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을 꿈꾸기도 하는데, 그런 나의 꿈에 딱 안성맞춤인 책이라니! 책이 손에 들어온 날부터 기뻐 날뛰며 조금씩 아껴 읽었다. 심지어 표지까지 취향저격! 한국천문연구원 웹진에 게재한 '명화 속 별 이야기'라는 짧은 글을 발견한 출판사의 제안에서 시작되었다는데, 그 글 발견하신 분 누구신지 엉덩이라도 토닥여주고 싶은 심정이다. 게다가 저자의 남편 분은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근무하고 계신다니, 이런 찰떡궁합이 어디 있겠는가. 미술과 역사를 전공한 저자와 천문학자 남편 분은 일 년내내 이 주제에 매달려 살았다는데, 부부가 하나의 프로젝트에 매달려 공감하고 함께할 수 있었다는 것도 참 멋져 보인다.

 

PART 1에서는 별과 행성에 관한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역시 처음을 장식하는 것은 그리스 로마 신화. 얼마 전 이윤기님의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은 터라 아직 흥분이 가시지 않았는데, 다시 또 여기서 만나니 반갑다. 제우스는 주피터로, 헤라 여신은 주노로 이탈리아식 이름으로 등장하지만 제우스의 바람기가 어디 가겠는가. 태양계의 왕자라 불릴 정도로 우리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인 목성. 그래서 목성을 주피터라 부르는데 그 목성의 주변을 돌고 있는 위성들의 이름이 인상적이다. 많은 위성들 중 1610년 갈릴레오가 발견한 네 개 위성의 이름은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로 모두 제우스와 사랑을 나눈 신화 속 인물들.

 

밤하늘에서 달에 이어 두 번째로 밝은 천체이자 태양계의 두 번째 행성인 금성은 서양에서는 비너스라 불린다. 금성에 대한 천문학적 지식과 함께 소개되는 다양한 시대의 다양한 비너스 조각들과 르네상스 최초의 누드화이자 그림을 좀 본 사람들은 웬만큼 다 알고 있는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이 등장한다. 명왕성은 태양계의 행성에서 배제된 왜소행성이다. 14-16등급으로 어둡게 보이는 명왕성은 소형 망원경으로도 잘 보이지 않아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지하세계를 다스리는 하데스, 플루토라는 이름이 붙었다. 명왕성은 미국인 천문학자가 발견한 유일한 행성으로 덕분에 미국인들의 명왕성 사랑이 남다르다고 한다. 여기에 페르세포네를 신부로 맞아들인 하데스의 이야기와 그를 바탕으로 그린 명화, 조각들이 빠질 수 없을 것이다.

 

움직임이 느리다고 해서 늙은 신 사투르누스의 이름이 붙은 토성. 사투르누스는 시간을 다스리는 그리스의 크로노스와도 동일시되는 인물인데, 그는 아버지 우라노스를 거세하고 쫓아냈지만 그 또한 자식들에에 왕위를 빼앗길 것이라는 예언을 듣고 자식들이 태어나는 족족 잡아먹는다. 그런 상황을 그린 고야와 루벤스의 어둡고 잔혹한 그림은 보는 것만으로도 섬뜩하다. 여기에 바다의 신 넵튠의 이름이 붙은 해왕성과 우라노스라는 이름이 붙은 천왕성, 공전주기는 88일에 평균 궤도 속도가 48킬로미터로 가장 빠르다 해서 전령의 신 헤르메스를 뜻하는 머큐리라는 이름이 붙은 수성, 이름만으로도 낭만적인 디아나 달, 전쟁의 신의 이름이 붙은 화성 마르스, 게다가 태양신 아폴로까지 매혹적이고 아름다운 태양계와 신화들의 이야기로 정신을 차릴 수 없을 지경이다.

 

PART 2에서는 별과 우주, 밤하늘을 그린 화가들이 이야기가 펼쳐진다. 외계인과 UFO, 미스터리로 가득찬 뒤러의 <멜랑콜리아>, 읽으면서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던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인 베리 공작의 기도서, 혜성을 포착한 중세미술의 혁신가 조토, 미술계의 천문학자라 불리는 엘스하이머와 루벤스, 그리고 밤하늘 하면 빠질 수 없는 화가인 고흐, 호안 미로와 알렉산더 칼더의 별자리 연작, 꽃과 사막에서 우주를 본 조지아 오키프의 이야기까지 아주 풍성하고 다채로운 이야기들이 꽉꽉 담겨 있다.

 

지적 욕구를 만족시키는 책이기도 하고, 아이와 함께 읽으면 더 없이 좋을 책이기도 하다. 조만간 캠핑을 갈 예정인데 서울이 아니니 별이 더 잘 보이려나. 그 때까지 재독, 정독, 열독해서 아이에게 해 줄 이야기들을 마음 속에 채워가야겠다. 사랑할 수밖에 없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