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위로가 필요할 때 : 니체와 고흐 - 전통과 도덕적 가치를 허문 망치 든 철학자의 말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공공인문학포럼 엮음, 빈센트 반 고흐 그림 / 스타북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 싶다고 생각한 가장 큰 이유는 고흐 때문이었다.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화가 중 거의 top을 차지하는 빈센트 반 고흐. 그림 보는 눈이 부족한 나로서는 사실 그의 작품 어디에 사람들이 끌리는 지는 잘 모르겠지만, 짐작하건대 그의 생애 전반에 연민을 가지기 때문 아닐까. 살아있는 동안 이름을 알리기는 커녕, 단 한 점의 작품도 제대로 팔리지 않은 채 가난한 삶 속에서 허덕이다가 결국 자살을 선택한 고흐. <별이 빛나는 밤>이나 <해바라기>같은 작품들은 물론 멋지지만, 그 작품 안에 담긴 고흐의 영혼을 사람들이 피부로 느끼고 있는 것이다. 신기한 것은 아무것도 모르는 이제 18개월 된 우리집 둘째가 그렇게 반 고흐 관련 책을 가져온다. 어린이용 백과사전에 당당히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빈센트 반 고흐. '아찌'라며 밥 먹을 때나, 놀다 생각날 때 들고 다니며 읽어달라는 통에 책은 이미 너덜너덜. 아이마저 뭔가를 느끼고 있는 걸까. 그 '뭔가'는 과연 무엇일까. 이 책을 읽고 있는 나를 보더니 달려온 아이들. 여기에 '고흐'가 있다며 표지를 가리켰다.

 

과연 니체와 고흐의 조합은 어떠할 지, 이런 조합이 가능하기나 할 지 의문이었다. 이름은 많이 들어봤지만 니체가 남긴 저서를 한 권도 읽어본 적이 없는 탓에, 그렇다면 고흐의 그림이나 감상해볼까 하는 마음에 펼쳐든 책 안에서 생각 이상으로 가슴에 들어오는 문장들을 만났다. 절대 진리는 절대 존재하지 않는다고 설파하면서 기존 질서와 고정관념을 사정없이 깨버린 작가이자 철학가인 프리드리히 니체. 기존의 가치를 부정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했으며, 더 나아가 스스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스스로 내놓으며 그 가치 역시 스스로 결정했다. 지적 우월주의자들에 대한 비판과, 세속화된 시대와 그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한 자들의 술수에 대한 비난과 폭로. 이 책 한 권으로 그의 사상과 철학을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더라도 '니체가 이런 사람이구나' 정도는 조금은 알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아름다움에 대하여>, <삶에 대하여>, <신은 죽었다>, <지혜에 대하여>, <인간에 대하여>, <존재에 대하여>, <세상에 대하여>, <사색에 대하여>, <예술가에 대하여>, <니체를 만난다>라는 열 가지 주제 속에서 니체의 글과 고흐의 그림을 함께 만날 수 있다. 대망의 첫 페이지를 장식하는 것은 역시 <별이 빛나는 밤>. 이건 고흐의 이름도, 작품의 이름도, 아무것도 몰라도 누구나 한 번쯤 접해봤을만한 명작. 아이들이 보는 책에도 종종 등장하는 덕분에 첫째는 무늬가 비슷하기만 해도 고흐의 그림이라며 반가워한다. 그리고 여기에 더해 알아보는 그림 하나는 <슬퍼하는 노인(영원의 문턱에서)>이다.

클래식과 함께 들을 수 있는 어린이용 명화 책에 이 그림과 함께 아주 심금을 울리는 명곡이 등장하는데, 그 음악과 함께 아이들이 즐겨 보는 작품. 이 그림과 함께 한 니체의 말도 걸작이다.

우리들은 어리석게도 비밀을 털어놓는다. 그것이 우리들의 신뢰를 나타내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의 친구가 자신에 대한 비밀을 접한 후 겪게 될 고통이라든가 배신감에 대해서는 전혀 신경쓰지 않는다. 그 결과 우리는 오래 사귄 친구를 잃고 만다.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르픽 가의 빈센트 방에서 본 파리 풍경> 그림과 함께 하는 니체의 말.

현대인들은 인간의 고민을 위선이라고 비난한다. 우리는 너무 빨리 결정하고 있다. 고민이나 사색은 그저 걸어가면서 해치우면 그만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은 점차 품위를 상실하고 있다. 인간이 더 이상 생각할 수 없다면 우리는 단지 기계일 뿐이다. 어쩌면 우리 머릿속에 이미 기계가 자리 잡았는지도 모른다. 그 기계의 성능에 따라 우리의 생각과 품위가 결정되는지 모른다.

<즐거운 학문>

솔직히 이런 책은 다른 이의 리뷰를 참고하기보다 직접 읽어보기를 권한다. 독자에 따라 매력을 느끼는 부분, 가슴에 와닿는 문장들이 읽는 이의 삶의 궤적에 따라 다를 것이기 때문이다. 흔치 않은 조합의 두 사람에 대해 약간, 어쩌면 깊이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