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정의
아키요시 리카코 지음, 주자덕 옮김 / 아프로스미디어 / 201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가즈키, 유미코, 리호, 레이카 앞으로 5년 전 죽은 것이 틀림없는 노리코의 초대장이 도착합니다. 그들이 이렇게 노리코의 죽음을 확신하는 이유는 그녀를 죽인 것이 바로 그녀들 자신이기 때문입니다. 정의야말로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이라며 자신의 정의를 실현시켜왔던 노리코. 가즈키, 유미코, 리호, 레이카는 각각 그 정의에 의해 도움을 받은 적이 있지만, 그것은 자신들이 노리코의 친구였기 때문이 아니라, 결국 노리코 자신의 신념을 관철시키는 것에 지나지 않았음을 깨닫게 되죠. 타인이든 친구든 가리지 않고 정의를 실현시키려는 노리코는 어느 순간, 그녀들에게 위협이 되어버리고 일상을 서서히 옥죄어오는 노리코의 정의라는 것에 그만 폭발해버리고 말아요.

 

초반, 노리코는 굉장히 정의로운 인물로 비춰집니다. 다른 사람들이 망설이는 일에 주저없이 나서 자신의 주장을 펼치고, 옳은 일을 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으로요. 그녀의 친구가 된 등장인물 네 명도 처음에는 그런 그녀에게 호감과 존경심을 느끼고 다가섰습니다. 곤란한 상황에서 도움을 받기도 하죠.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각자 느끼기 시작합니다. 노리코가 이상하다, 무섭다, 인간미가 결여되어 있다-라는 것을요. 처음에는 그런 자신을 탓하기도 합니다. 노리코에게 도움을 받았는데 이렇게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다-라고. 하지만 노리코는 그녀들을 친구로서 도왔던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일생의 목표로 삼은 정의 실현을 실천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는 것을, 머지않아 깨닫게 됩니다. 노리코가 그녀들 네 명의 생활 속으로 파고들어 그녀의 정의를 그녀들에게도 강요하기 시작했기 때문이죠.

 

소설을 읽는 내내 감정이 요동쳤습니다. 노리코가 그녀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을 때는 그래, 이런 사람도 우리 사회에 필요해라고 느꼈다가도, 막상 정의의 칼날이 가즈키, 유미코, 리호, 레이카에게 향했을 때는 그렇게까지 할 필요 없잖아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어요. 노리코는 타인을 향한 따뜻함이 결여된 인물입니다. 사람의 인정으로 해결될 수도 있는 일을, 법과 정의를 들이밀어 끝내 심판을 받고야 말게 하죠. 아무리 정의가 중요하다고 해도 우리의 삶이 칼로 자른 듯, 자로 잰 듯, 항상 그럴 수는 없는 일이잖아요. 타인의 사정이나 마음은 생각하지 않고 하나의 정의를 실현할 때마다 기쁘게 웃는 노리코의 모습은, 마치 괴물처럼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그런 노리코에게 남편이, 딸이 있었습니다. 저는 노리코가 가정을 이루었다는 장면이 나왔을 때부터 과연 그 딸의 생활이 어떠했을지 걱정되기도 하고 궁금하기도 했어요. 타인에게 강요하는 정의의 기준을, 딸에게도 강요하지 않았을까. 남편은 그런 노리코와 딸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했었을까. 자신의 정의에 부합하는 인물이었기에 남편을 남편으로 선택한 것일까. 온갖 의문이 머릿속을 떠다녔고 만약 노리코가 나의 엄마라면 편히 숨 쉬면서 살 수 있었을까 하는 무서운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여러분이라면 어떠실 것 같아요?

 

작가의 다른 작품인 [성모]가 무척 인상적이어서 [절대정의] 에도 큰 기대를 가지고 있었는데요, 이제 아키요시 리카코의 작품이라면 덮어놓고 선택해도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성모], [절대정의]도 반전도 반전이지만 각각의 인물들의 사연이 입체적이고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내용들이었어요. 작가의 다른 작품, 벌써부터 기다려지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