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병주 교수의 조선 산책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교 다닐 때 신병주 교수님의 수업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3시간짜리 강의였는데 거의 쉴 틈도 없이 필기하고 열심히 들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해요. 그렇게 강의하시려면 교수님도 힘드셨을 텐데 전혀 그런 내색 없이, 마치 대본을 보고 말씀하시는 듯 막힘없이 술술 수업을 진행하시는 모습에 감탄하기도 했었죠. 수업이 끝나면 뭔가 하나 이루었다는 성취감에 기분이 참 좋았었는데 지금도 그 때 생각을 하면 마음 한 구석이 가득 차는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지금은 그 수업 내용이 뭐였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하긴 해도 역사에 본격적으로 재미를 붙였던 건 아마도 그 시간 때문이 아니었나 싶어요. 그 후로 교수님이 쓰신 책이나 방송은 가급적 챙겨보려고 노력 중이랍니다.

 

[신병주 교수의 조선산책] 역시 그 관심 덕분에 읽게 된 책입니다. -민초의 삶부터 왕실의 암투까지-라는 부제가 붙어있는데요, 그래서인지 챕터 하나하나가 짧게 느껴지기는 했지만 방대한 500년의 역사를 어떻게 전부 책 한 권에 넣을 수 있겠어요. 그 동안 읽어왔던 조선관련 역사책이 대부분 왕실의 역사에 집중되어 있었다면 이번 책에서는 왕과 시대의 위인, 현재를 되새기게 하는 사건과 현장, 조선의 빼어난 기술과 문화재, 풍류가 넘치는 일상생활사, 조선의 정책 등 다양한 방면에서 조선을 바라볼 수 있었다는 점이 고무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선배의 육아일기>는 굉장히 인상적이었어요. 16세기의 학자 이문건이라는 사람이 지은 [양아록]이란 책이 소개되어 있는데, 흥미롭게도 아들에 대한 기록이 아니라 손자의 양육 일기입니다. 제 자신이 현재 육아 중이고, 친정 부모님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있어서인지 보자마자 바로 관심이 갔어요. 아이들 대부분을 천연두로 잃고 그나마 유일하게 장성한 둘째 아들도 어릴 때 앓은 열병의 후유증으로 정상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는 와중에 얻은 손자이니 얼마나 귀하게 여겼겠어요. 이에 손자가 자라나는 과정을 기록으로 남겼는데-손자 아이가 커 가는 것을 보니 내가 늙어가는 것을 잊어버린다-고 하며 큰 기쁨을 표시했다고 합니다. 현존하는 거의 유일한 할아버지의 양육 일기인데, 그 안에는 손자를 생각하는 큰 애정이 담겨 있습니다. 그런데 그 손자가 13세 때부터 술을 탐하여 이 할아버지로 하여금 매를 들게 하였으니, 육아의 고충 또한 엿볼 수 있었답니다.

 

이 외에도 살인 코끼리와 관련된 일화, 세종대왕 시대에 있었던 국민투표, 임금님이 선물한 한강 얼음, 기억해야 할 여성 독립운동가들 등 흥미로운 내용이 다수 실려 있습니다. 사진과 기록 관련 자료도 풍부하게 첨부되어 있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었어요. 각각의 내용 끝에 날짜가 적혀 있는데 강의하신 날인지, 집필하신 날인지 궁금하네요. 오랜만에 교수님의 책을 읽었더니 마치 다시 그 강의실에 앉아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강의를 육성으로 들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가진 학생 여러분, 즐거운 수업 시간이 되기를 바라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