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며칠,
『유럽, 정원을 거닐다』를 읽고, 온통 마음이 '정원정원' 하네요...(^^;)
마음은 유럽의 정원에 가 있지만,
몸은, 파주의 (풀밭이 다 내 정원이다... 생각하며...!) 정원을 거닐었어요.^^
파주의 정원을 거닐며,
만난 친구들.^^
#. 꽃 친구들~!
붉은토끼풀
쥐손이풀
도라지 꽃
벽을 뒤덮은 능소화
#. 나비 친구들~!
#. 버섯 친구들~!
#. 달팽이 친구~!
파주 정원을 거닐면서는 요런 사진을 담았고요,
유럽 정원을 거닐면서(^^)는 요런 밑줄을 그었어요.
영국 정원은 제가 생각했던 것과는 커다란 차이가 있었어요. 화려하고 잘 꾸며진 것이 아니라 생활에 스며 있는, 그래서 디자인이나 형태를 중시하기보다는 정원을 가꾸는 데서 즐거움을 찾는 것인데, 그것이 바로 정원문화를 이끌어가는 힘인 듯합니다. (…) 영국에서 정원의 의미는 예쁜 마당이 아니라 나한테 즐거운 일을 할 수 있는 마당이에요.
영국 정원은 보면 볼수록 사람의 마음을 잡아당겨요. 처음에는 그저 꽃이 예쁘고 나무가 아름답지만, 차츰 그 속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영국인들의 모습이 예뻐 보이고, 더 나아가면 그 속에서 정원을 가꾸는 정원사들의 모습이 참 아름답게 느껴져요.
크리스토퍼 로이드는 어린 시절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 정원 일을 시작해요. 어머니와 단둘이 넓은 정원을 관리하다보니 아마도 자신의 손이 미치지 못한 곳이 있었나봅니다. 그곳에서 피어난 아름다운 꽃들의 조화를 보고 그는 큰 영감을 얻었고 자신만의 정원철학을 갖게 돼요. 자연의 우연이 만들어내는 색의 조화가 가장 완벽하고 아르답다고 여기기에 그의 정원에서 이런 우연이 연출돼 아름다운 경관을 만들어내게 된 거예요. 가끔 예기치 않은 식물의 씨앗이 정원으로 침범해 뿌리를 내리고 꽃을 피우곤 했는데, 바로 이런 조화를 반기며 기본 뼈대조차 없는 자연 그대로의 정원을 만들어냈죠.
그리고
『유럽, 정원을 거닐다』에서 만날 수 있는 정원들~! ^^
(책으로 만나면 훨씬 더 근사해요~! ^^ 요런 정원 사진들이 페이지 페이지 예쁘게 담겨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