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틀란티스야, 잘 가
허수경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1월
평점 :
지금은 자그마한 체구의 시인이 뚱뚱했던 소녀 시절 외로움을 떠올리며 그려낸 성장소설.
뚱뚱해서 외로웠던 소녀는 달콤한 단팥소가 든 찐빵을 먹으며, 그 달콤함으로 외로움을 달랬고, 그 외로움 속에서 글 쓰는 소녀가 되었다.
우리들의 마음 속에는 언젠가 꾸었던 꿈들이 있습니다. 어쩌면 우리들의 마음은 그 꿈들이 숨죽이며 누워 있는 지층일지도 모릅니다. 그 꿈의 지층을 들여다보면 우리들이 가장 강렬했던 때, 그때의 얼굴이 우리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
아마도 한 사회의 권력 시스템이 한 개인에게 퍼붓는 가장 강력한 폭력은 꿈꿀 권리를 빼앗는 거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하지만 꿈의 지층은 강력해서 누군가가 꿈꿀 권리를 빼앗아버려도 우리의 마음속에 엎드려 있습니다. 그 꿈들을 발굴하듯 끄집어내어보면 그 꿈이 우리를 조심조심 수줍어하며 바라보고 있습니다. 마치 오래전에 잃어버린 친구처럼 서먹하게, 마치 아주 오래전에 지나온 역처럼 낯설게요. _ '작가의 말' 중에서
학교에서는 뚱뚱한 아이여서, 집에서는 왜인지 모를 무관심으로 늘 외로운 소녀 경실이는 매일밤 일기장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일기장 속에서 경실이는 '미미(美美)'. 현실 속에서처럼 뚱뚱한 소녀도, 촌스러운 이름의 경실이도 아닌, 아름다울 미자가 두 개 들어간 '미미'.
어느날 경실이는 자신 앞에 느닷없이 나타난 이복언니 정우를 맞이하게 된다. 경실 앞에 나타난 첫날 밤, 파리든 런던이든 자신이 원하는 나라는 어디든 갈 수 있다는 마술사 같은 이야기를 하던 정우는 잃어버린 낙원 아틀란티스로 경실을 초대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자신들만의 아틀란티스를 건설해간다.
아틀란티스는 푸른 바다로 둘러싸인 작은 섬. 그곳에는 아틀란티스라는 이름의 왕국이 있었습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언제나 햇빛이 따뜻하고 바람도 선선했지요. 나무마다 향기로운 과일이 열리고 흐르는 강물에는 우유와 꿀이 흐르고 있었습니다. 그곳에 사는 사람들은 걱정도 없고 언제나 좋은 이야기만 했어요. 서로 다투지도 않았고 부자도 가난한 사람도 없었지요. 집을 나간 아버지도 없고 언제나 같은 반찬만 먹으라고 상을 들이미는 엄마도, 이복언니라는 것도 없었구요.
아틀란티스가 어디 있는지 아세요? 아틀란티스는 어디에도 없답니다. 그저 내 마음에 있을 뿐이에요. 국숫집이 아마도 나의 아틀란티스는 아니었을까요? 선생님이 매일 저녁 국수를 먹으러 오던 그 국숫집이. 엄마가 있고 국수가 끓는 솥도 있는 그곳이요. 만일 그곳이 나의 아틀란티스라면 나는 그곳을 잃어버리고 만 거지요.
아틀란티스에는 미미라는 공주가 살았어요. 미미의 주위에는 시종도 많았고 미미를 따르는 토끼나 다람쥐, 나비, 새들도 많았지요. 아침에 일어나면 미미는 착한 시종들과 함께 귀여운 동물들을 데리고 정원을 걷기도 했어요. 밤이면 시종들과 동물들 사이에서 잠이 들었지요. 미미에게는 엄마가 없답니다.
경실 또는 미미의 아틀란티스, 정우의 아틀란티스, 비밀 독서클럽 아이들의 아틀란티스. 아이들 마음속에 세워지는 잃어버린 낙원 아틀란티스.
아틀란티스는 누군가에게는 잔인한 현실을 이길 힘을 주고, 누군가에게는 꿈을 꿀 자유를 주고, 누군가에게는 문학으로 들어갈 수 있는 문을 열어주었다.
그렇게 매일밤 아틀란티스를 세웠던 그 소녀는 훗날, 많은 이들의 마음속에 단팥소처럼 달콤한 별을 띄워주는 시를 쓰는 시인이 되었다. 바로 우리들에게 그 시절 그녀의 아틀란티스 이야기를 들려주는 그 시인이.
그 시절 소녀는 그녀만의 아틀란티스에 많은 소원을 심어놨을지도 모르겠다. 그 중 일부는 '잃어버린 낙원'이 아닌 현실이 되었을지도.
나는 지금 그녀의 아틀란티스에 심어져 있을 소원 하나에 강한 응원의 힘을 실어주고 싶다. 시인의 그 꿈이 이루어지는 날이 오기를 나 또한 간절히 바란다고.
바로 이 소원이.
앞으로의 소망이 있다면 젊은 시인들과 젊은 노점상들과 젊은 노동자들에게 아부하는 사회에서 살아가는 것이다. _ '작가 소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