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
하성란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7월
평점 :
책을 반쯤 읽어나갔을 때, 마침 접속한 온라인 서점 메인 화면에 이 책이 소개되어 있었다.
내 관심을 확 잡아 끄는 한 단어. '오대양 사건'.
오대양 사건이 뭐지?
책을 읽어나가며 어떤 사종교에 관련된 이야기인가보다 생각만 했지, 실제 소재가 되어준 어떤 사건이 있는 줄은 몰랐다.
그제야 인터넷으로 '오대양 사건'을 검색해보며, 아, 이 소설은 실제 있었던 일을 배경으로 쓴 소설이구나, 알았다.
[정의]
1987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에 있던 오대양(주)에서 일어났던 집단 자살 사건.
[역사적 배경]
오대양 대표이자 교주인 박순자(朴順子)는 1984년에 공예품 제조업체인 오대양을 설립하고, 종말론을 내세우며 사이비 교주로 행세하였다. 박순자는 자신을 따르던 신도와 자녀들을 집단 시설에 수용하고, 신도들로부터 170억 원에 이르는 거액의 사채를 빌린 뒤 원금을 갚지 않았으며, 이 돈을 받으러 간 신도의 가족을 집단 폭행하고 3명을 살해한 후 잠적하였다. 그리고 범행과 조직의 전모가 공개될 것을 우려해 집단 자살극을 벌인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디지털용인문화대전)
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던 해에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이 사건을, 나는 20년도 훌쩍 지난 지금 이 소설을 통해 알게 되었다.
소설에서는 어머니로 불리는 이 집단의 대표와 엄마 그리고 이모라 불리는 함께 사는 여자들과 그들의 아이들이 등장하며,
그 중 한 아이 '나'가 화자로 등장한다.
주된 화자는 '나'이지만 그렇다고 이야기가 딱 '나'의 시선으로 전개되는 것은 아닌지라, 이야기를 읽는 동안 종종 혼동이 오곤 했다.
이야기는 자주 시간의 흐름을 바꿔 달리기도 했다.
이 이야기에서 유난히 내 시선을 끄는 것은 결혼과는 별개로 사랑을 하고 아이를 낳는 그녀들의 모습이었다.
'사랑'의 또다른 모습을, 생각해보게 했다.
_ 여자들은 남자들을 만나고 사랑하지만 결혼은 하지 않는다. 결혼이 없기에 이혼도 없다. 그에 따른 상처도 없다. 그녀들은 욕심 없는 삶을 살아간다. 온 마음을 다해 사랑하고 사랑이 식으면 그 사랑을 붙잡지 않는다. 소박하고 너그럽다. 어머니는 자신의 아이들을 지배하거나 억압하지 않는다. 그냥 품어줄 뿐이다. 보듬어줄 뿐이다. (164)
(리뷰와 상관없이, 지금 너무나 엉망인 내 마음 상태가 뱉어내고 싶은 이야기.)
소박하고 너그러운 사랑, 그냥 품어주고 보듬어줄 뿐 아이를 지배하거나 억압하지 않는 부모.
책을 읽을 때는, 별 큰뜻 없이 밑줄 그은 문장이었는데,
지금, 이 시간에는 이 문장들을 달달 외울 듯이, 이 문장이 나를 구원해줄 듯이 노려보고 또 노려보고 있다.
제발 나를 지배하거나 억압하려 하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