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교
박범신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관능적이다.

 

노시인과 서지우, 그리고 그 사이를 엮어주기도 뒤흔들어놓기도 하는 은교의 관계가.

밤에만 썼으니 밤에만 읽어주길 바란다는 작가의 당부가.

살풋 속살이 내비칠 듯한 흰 원피스의 소녀 그림이.

가슴을 뒤흔드는 작가의 문장문장이.

은교, 그 제목 자체가.

 

  눈이 내리고, 그리고 또 바람이 부는가. 소나무 숲그늘이 성에가 낀 창유리를 더듬고 있다.

 

  관능적이다.(13)

 

살면서 '관능적'이라는 단어를 몇 번이나 떠올려 보고 몇 번이나 입 밖에 내어봤던가?

내 기억으로는, 처음이었다. 『은교』가 처음으로 내게 '관능적'이라는 단어를 생각하게 해주었다.

박범신 작가의 블로그에서 '살인 당나귀'를 처음 만났던 그 관능적인 밤,이 떠오른다.

팔뚝에 소름이 오소소 돋았던가? 그 벅찬 느낌을 혼자 간직하기 어려워 지인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냈던가?

'살인 당나귀'는 매일 밤 내게 찾아오는 벅차고도 아름다운 문장들이었다.

그 연재의 느낌이 채 식기도 전에 '살인 당나귀'가 책으로 만들어져 찾아왔다. '은교'라는 가슴 떨리는 제목을 달고서.

 

  나는 그 무렵, 분명히 연애를 하고 있었고, 내게 연애란, 세계를 줄이고 줄여서 단 한 사람, 은교에게 집어넣은 뒤, 다시 그것을 우주에 이르기까지, 신에게 이르기까지 확장시키는 경이로운 과정이었다. 그런 게 사랑이라고 불러도 좋다면, 나의 사랑은 보통명사가 아니라 세상에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 고유명사였다.(203)

 

그 고유명사, 은교의 이야기가, 다시 나의 밤을 노크했다.

나는, 부디 밤에만 읽어달라는 작가의 당부에도 불구하고, 밤에도, 그리고 이어진 아침에도 은교를 읽었다.

은교를 읽는 아침에는, 어쩐지 그 전날 밤의 향기가 가시지 않고 떠도는 듯 했다.

밤,에만 은교를 읽는 것이 아니라, 은교를 읽는 시간이 내게는, 밤이었나 보다.

그래서 나는 은교를 생각하면, 밤의 향기가 떠오른다.

 

모니터 앞에 앉아 '살인 당나귀'를 읽던 가슴 떨리던 그 밤의 향기, 노시인이 뜨거운 가슴을 식히기 위해 밖으로 나가 맡았던 그 밤의 향기, 내리치던 빗발 사이로 충격적인 장면을 보았던, 그리하여 모든 걸 끝장내 버리자고 다짐하게 만들었던 그 밤의 향기도...

 

  사랑하는 사람에게 가려고 뛰어본 적이 있는가. 좋아하고 사랑하는 자를 향해 뛰고 있는 사람은 다 아름답다. 그러므로 사랑에는 하나의 법칙밖에 없다.

 

  그것은 그리운 그를 향해 뛰는 것이다.(206)

 

노시인, 서지우, 은교.

그들이 뛰는 길이, 단 한 갈래뿐이었던가? 왕복 차선이었던가, 혹은 일방통행이었던가?

노시인이 은교를 사랑한다, 서지우가 은교를 사랑한다, 은교가 노시인을 사랑한다, 은교가 서지우를 사랑한다, 노시인이 서지우를 사랑한다, 서지우가 노시인을 사랑한다…… 나는 이들이 누구를 향해 뛰었는지, 몇 갈래의 길을 뛰었는지, 잘 모르겠다. 이들이 달리는 길은 미로 같았다.

 

은교,는

노시인의 사랑에 대한 고유명사이기도 하고, 노시인과 서지우의 애증의 기폭제이기도 했으며, 누구나의 마음속에 간직되어 있을 '나의 처녀'이기도 했다.

'은교'라는 제목만으로도 가슴이 떨릴 수밖에 없다, 라는 것이, 『은교』에 대해 내가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단 하나의 느낌이다.

 

  나는 진실로 청춘이었던 적이 없었으며, 내 정체성에 따른 뜻을 세운 적도 없었다. 그냥 허망하게 시간을 따라 흘러왔을 뿐이다. 내 인생에서 단 한 번이라도,

 

  '나의 조국'

 

  이라고 부를 만한 것이 있었던가.(260)

 

『은교』를 덮은 지 여러 날이 지났지만, 나는 아직도 가끔, 밤이 되면 은교가 떠오른다.

그래, 은교는 밤에 읽어야 하는 책이다. 아니면 나처럼 은교를 읽는 모든 시간을 밤으로 느끼던가.

많은 이들의 밤에, 은교가, 살인 당나귀가, 찾아갔으면 좋겠다.

우리 이때가 아니면 언제 또 '관능적'이라는 단어를 이처럼 절절하고도 애틋하게 느껴볼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