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동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00
허균 지음, 김탁환 엮음, 백범영 그림 / 민음사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버지를 아버지라 하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하지 못하는, 이라는 유행어를 낳은(?) 홍길동전을 드디어 만나보았다.

글쎄, 어렸을 때 홍길동전을 읽은 적이 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가끔 그런 책들이 있다. 너무 유명해서 책 내용을 거의 다 알고 있는, 그래서 읽었는지 안 읽었는지 헷갈리는.)

 

이 책에는 홍길동전이 서로 다른 판본으로 두 편이 실려 있는데 하나는 '완판 36장본'이고 다른 하나는 '경판 24장본'이다.

완판과 경판이 뭔가 궁금해 사전 검색을 해보니 완판본은 '조선 후기에, 전라북도 전주에서 간행된 목판본의 고대 소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전라도 사투리가 많이 들어 있어 향토색이 짙다. '라고 나오고 경판본에 비해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고 한다. 경판본은 '서울에서 판각한 책.'이라고 나오고 묘사가 완판본에 비해 간결하다고 한다.

'완판 36장본'과 '경판 24장본'은 같은 이야기이면서도 조금씩 다른 느낌을 전해주고 있어 두 판본으로 읽는 재미가 쏠쏠했다.

 

홍길동전은 내 가물가물한 기억 속에 있는 것보다 훨씬 환상적인 요소가 강했다.

홍길동의 신비한 탄생에서부터 자신을 해치려는 자객을 죽이고 집을 떠나는 장면이나 엄청난 괴력을 선보이고 도적떼의 두목이 되는 모습, 동에 번쩍 서에 번쩍 하며 전국을 누비고 다니는 모습 등을 보다보면 홍길동의 실제 모델이었던 도적 두목이 얼마나 기개가 뛰어난 인물이었을지 짐작이 간다.

 

책에 실려 있는 백범영 교수의 그림이 책 읽는 재미를 더해준다.

책 뒷부분에는 홍길동전 영인본도 실려 있다.(영인본은 '원본을 사진이나 기타의 과학적 방법으로 복제한 인쇄물.'이라고 한다.)

전에 연구실에서 일할 때 옛 서적을 많이 봤었는데 그때 생각이 나서 한 자 한 자 따라 읽어보기도 했다.

 

책 한 권에 참 다양한 재미가 담겨 있다.

조금씩 다른 두 이야기를 비교해 읽는 맛, 글을 빛내주는 그림을 감상하는 맛, 고서적을 경험하는 맛, 내가 알고 있던 이야기의 기억은 되살리고 몰랐던 부분은 새로 발견하며 읽는 맛.

 

홍길동전의 재미에 푹 빠져 내친김에 춘향전까지 찾아 읽었다. 아름다운 우리 문학의 세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