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들무렵
정양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얼마 전에 정양 시인의 <길을 잃고 싶을 때가 많았다>를 읽고 반해서, 지인에게 추천 받았던 이 시집도 구입했다.

마침 설을 앞두고, 우리나라 24절기를 시로 만나보게 되었다.

1년 동안 옆에 끼고, 달력에 입춘, 우수, 경칩, 춘분,…… 표시될 때마다 꺼내어 보고 싶은 시집이다.

 


하늘 아래

잃어버린 길 있고

저지르고 싶은 일 있고

돌이킬 수 없는 죄 있고

하늘 두 쪽 나도

감쪽같이 만날 사람 있고('칠석(七夕)' 전문)

 

칠월 칠석이 시로 그려지면 이런 것이다.

나는 이제 칠석이 되면 견우 직녀와 오작교와 하늘에서 내리는 비와 더불어 이 시를 떠올리게 될테다.

그러면서 '하늘 두 쪽 나도 감쪽같이 만날 사람'은 어디 있는가 꿈속에서 찾아보기도 하겠지.

 

설, 추석 말고는 전통 명절이나 24절기 같은 거 거의 생각도 안 하고 지내는데(올해는 입춘도 며칠 지나서야 입춘 다 됐다던데? 라고 했다나),

이 시집 덕분에 24절기가 친숙하게 다가온다.

 


나를 위해서든 누굴 위해서든

아무 짓도 하지 말아야 세월이 옹골질 것 같다

봄날이 오든 가버리든 밤낮이 길든 짧든

내버려둬라 내비둬라 냅둬라 낯익은 말투로

시간이 나를 포기할 때까지 나도

세월을 포기하면서 뒨전거렸다('춘분(春分)' 부분)

 

이 시집에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구절이다.

춘분이 오면, 밤낮이 길든 짧든, 나도 냅둬라 냅둬라 하면서 세월을 포기하며 뒨전거리고 싶겠다.

나를 위해서든 누굴 위해서든 아무 말도 하지 말아야 사는 게 조금 수월할 것 같다,는 생각은 여전하고.

 

참, 시집 제목이 철들 무렵인데,

그래서 시 '철들 무렵'을 읽고 보니, 이런 결론이 나왔다.

철들면 지는 거다!

 


떨어질 열매도 없는 아직도

푸른 잎 무성한 은행나무 밑에서

은행나무도 수컷은 철이 늦게 드나보다고

할머니가 혼잣말처럼 두런거립니다

철들면 그때부터는 볼 장 다 보는 거라고

못 들은 척하는 할아버지 대신

가을바람이 은행나무 푸른 잎새를

가만가만 흔들며 지나갑니다('철들 무렵' 부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