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자들 - 고종석의
고종석 지음 / 개마고원 / 2009년 12월
평점 :
1월 1일에 읽은 두 권의 책 중 한 권이 고종석의 책이었다.
부끄럽지만, 고백컨대 (일단 변명부터 붙이고) 소설만 지독하게 편애하는 나는 고종석의 책을 처음 만나본 거였다.
1일에 펼쳐 들었던 책은 <코드 훔치기>였는데, 반쯤 읽다가 잠시 다른 책을 읽느라 아직 다 읽지 못했다.
그러고는 그 뒤에 잡은 이 책, <고종석의 여자들>을 먼저 완독했다.
연초부터 소설도 아닌, 슬쩍 넘겨만 봐도 어려워보이는 그 책을 읽겠다고 펼쳐든건 저자 이름 때문이었다.
작년에 친구로부터 "아, 고종석 너무 좋아!"라는 문자 메시지를 받았던 게 생각나서.
그러니까 내가 소설, 시, 에세이를 벗어나서 평소에 감히 눈도 안 돌리던 쪽에 슬쩍 눈길을 기울인 건 순전히 친구의 '고종석 사랑' 덕분이다. 고맙다, 친구야. 덕분에 올해는 연초부터 별식을 즐기는구나!
이 책도 역시 고종석의 책이니 읽어보자,는 마음으로 집어든 책이다.
또 한번 고백하자면, 지난해 내 독서 목록은 편식의 끝을 달려 소설, 시, 에세이가 95%쯤 차지한 듯 싶다.
그나마 조금 벗어난 거라면 사진집 정도?
그래서 아주 오랜만에 이런 책(? 어떤 책? 아무튼 소설, 시, 에세이가 아닌 이런 책!)을 읽어봤다.
<코드 훔치기>를 읽을 때부터 뇌의 움직임이 평소와 다른 게 느껴질 정도였다.
잔뜩 긴장하고, 낯선 단어단어들에 주눅도 들며, 무슨 말인지는 잘 모르면서도 어쩐지 흥미진진하여 쉬이 손에서 책을 놓을 수 없는,
평소의 책 읽기와는 확연히 다른 느낌의 책 읽기.
(그래서 이 책 리뷰를 쓴다고 페이지를 열어 놓고도 책 이야기는 꺼내지도 않고 평소와는 다른 책 읽기에서 받은 신선한 긴장을 줄줄 풀어놓고 있는 것이다. 흠흠)
이 책에는 모두 서른네 명의 여자가 등장하는데 국내외를 막론하여 역사적 인물도 있고, 소설이나 영화 속 주인공도 있고, 현존하는 소설가나 정치가도 있다. 지은이가 편애하는 여인들이라고 보면 될까? 그 서른네 명의 리스트부터 흥미진진하다.
일단 나는 저자 고종석을 전혀 모르므로, 그 여인들에 대하여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 것인가 무척 궁금했는데,
단순히 한 여인의 일생을 소개하고 거기에 간단한 에피소드를 곁들이는 식의 글이 아니었다.
(모르긴 해도, 아마 고종석의 글을 접해본 사람이라면 이런 단순한 글을 예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을 것 같다.)
그 여인들을 만나는 데는 역사, 문화, 문학 등이 배경 장면이 되어주었다.
이 책의 주인공인 그 서른네 명의 여인들 대다수가 내게 낯선 인물이므로 이 책에서 들려주는 이야기들 역시 대부분은 '새로운 세계'.
이 책 읽으면서 가장 크게 느낀 점 두 가지는, 친구가 어째서 '아, 고종석 너무 좋아!'라는 문자 메시지를 내게 보냈는지를 알 것 같았다는 것, 그리고 앞으로는 편식에서 벗어나 이런 책(!) 좀 많이 읽어야겠다는 것.
아무래도 평소에 읽지 않던 분야의 책을 읽었다보니, '제대로' 읽었는지도 모르겠고, 리뷰 남기기도 참 힘들다.
정말 무식이 통통 튀는 내 모습을 까발려내는 것 같은 시간인데, 흠흠, 어찌되었든, 이 책을 계기로 올해는 편식에서 벗어나야겠다!
(정말, 책과는 전혀 상관 없는 결론이다. 참, 나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