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익스피어 배케이션
김경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 셰익스피어 배케이션 Shakespeare Vacation

 

영국 빅토리아 여왕이 공직자들에게 3년에 한 번 꼴로 한 달 남짓의 유급 독서휴가를 주었던 데에서 비롯된 말이다.

조선의 세종 임금이 젊은 선비들에게 긴 휴가를 주어 집에서 편안하게 책을 읽게 했다는 사가독서와도 의미가 통한다.

 

 

올 여름 '북캉스'가 인기라는 뉴스를 본 기억이 난다. 전국 곳곳, 세계 곳곳에서 사람들이 몰려든 듯한 북적북적한 관광지 대신 집에서 책을 읽으며 보내는 시원한 휴가라니, 사람 많은 곳 싫어하고 집에서 책 읽는 것 좋아하는 내게 딱 알맞는 휴가 스타일이다.

'셰익스피어 배케이션'이라는 용어를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다. 아아아, 한 달 남짓의 유급 독서휴가라니! 오로지 이 유급 독서휴가만을 위해 빅토리와 여왕 시대로 돌아가 공직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저자 김경의 이력을 보니 과연 '셰익스피어 배케이션'이라는 말과 참 잘 어울리는 사람이다 싶다. '휴가 때면 아무 데도 가지 않'고 '오히려 집에 들어앉아 완벽한 토플리스 차림이' 되어 '자연에 가까운 상태로 독서용 안락의자에 앉아 책을 읽는'다는 그녀, 김경. 산으로 바다로 찾아 나가기 바쁜 휴가 기간에 오히려 집에서 자연에 가까운 상태로 독서를 즐긴다니 멋진 사람이다.

 

책 제목과 저자 소개를 보고 이 책은 책으로 떠나는 여행일 거라 생각했다. 그러니까, 저자가 휴가 기간에 읽은 책 내용을 가지고 파리도 갔다가, 리스본도 갔다가, 이탈리아도 갔다가, 그렇게 저자도 우리도 함께 '셰익스피어 배케이션'을 즐기는 책일 거라고 짐작했다.

내 예상과는 달리 이 책은 정말 여행서였다. 서른넷에 1년의 장기 휴가를 받고 그녀는 떠났다. 그 동안 책에서만 봐왔던 도시들로.

 

내 멋대로 한 짐작이 틀렸기 때문에, 그래서 진짜 떠나는 여행이었기 때문에, 나는 갑작스레 여행가방 꾸려 떠나는 여행자의 심정이 되어 부랴부랴 '토플리스' 차림이 되려던 마음에게 옷을 입히고 운동화 끈 질끈 묶고 그녀를 따라 나섰다.

그 이름을 들어본 적도 별로 많지 않은 몰타에서 시작하여,'살고 싶은 도시 1위' 포카라로 막을 내리는 이 여행길을 따라다니며 참 많은 도시들을 만났고, 참 많은 도시들에 반해버렸다.

 

그녀가 이탈리아를 사랑한다고 말할 때는 나도 그만 이탈리아를 사랑해버렸고, 사랑하는 사람과 꼭 한 번 다시 카프리에 가고 싶다고 말할 때는 나도 사랑하는 사람이 생기면 카프리에 가보고 싶다고 생각했으며, 리스본의 매일 반복되는 풍경이 소박하고 정겨워 눈물이 난다고 할 때는 가보지도 않은 리스본을 상상해보며 코끝이 찡해지고, 존 버거의 <여기, 우리가 만나는 곳> 이야기를 들으며 나도 리스본에서 만나고 싶은 망자들을 떠올려봤다. 저자 인생의 가장 행복한 날들을 바르셀로나에서 보냈다는 글을 보며는 어쩐지 바르셀로나에 내 인생의 행복한 날들이 기다리고 있을 것 같았으며, 1년 간의 유럽 여행 중 마음 가장 깊은 곳에 자리잡은 곳은 부다페스트라는 말에 나도 조용히 부다페스트라고 발음해보며 언젠가 그 곳에 갈 수 있길 꿈꿨다.

 

참 행복한 여행이었다. 중간중간 책과 함께 하는 여행이었기에 더 그랬던 듯 하다.

여러 책들이 등장하지만 그 중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그래서 바로 내 장바구니에 담겼던) 책은 존 버거의 <여기, 우리가 만나는 곳>이었다. 책 속에서 존은 돌아가신 어머니를 만난다. "망자들은 죽으면 지상에 머물 곳을 선택할 수 있단다. 지상에 머물기로 하는 경우엔 언제나." 그래서 그 어머니가 선택한 도시는 리스본이었다. 존 버거가 '망자들의 특별한 정거장'이라고 명명했다는 도시 리스본. 망자들은 왜 리스본을 선택해 머물까? 그 도시에 가보지 않는 한은 그 명확한 대답을 얻을 수 없겠지. 그래서 더욱더 그 도시에 가보고 싶어졌다. 저자 김경이 "전혀 특별할 것 없는, 리스본의 언덕 마을에서 매일매일 반복되는 그 풍경은 너무도 소박하고 정겨워 눈물이 날 지경이다"라고 표현한 그 도시가 내 마음속 깊이 자리잡았다.

 

멋진 그녀 김경과 함께 한 여행은 행복했던 만큼 후유증도 컸다. "현실로는 충분치 않았다. 마법이 필요했다."

그렇다, 나에게도 마법이 필요하다. "누군가는 여행을 하고 누군가는 책을 읽는다."

그랬다, 김경은 여행을 했고, 나는 그녀의 여행을 읽었다. 언젠가는 내가 여행을 하고, 누군가가 내 여행을 읽을 날이 오기를 간절히 바라며, 마법을 기다리게 되었다. 수리수리마수리 이루어져라.

 



놀랍게도 가장 행복했던 순간은 정말로 가장 고통스러운 순간에 찾아왔다. 녹초가 된, 기진맥진 지쳐 뻗을 지경인, 곧 죽을 것처럼 헐떡이는 그 순간 나는 행복하다고 생각했다. 그 와중에도 나무가 울창한 숲의 어여쁜 야생화들에게, 쉼 없이 변화하며 흘러가는 구름에게, 함석지붕 위로 쏟아질 듯 빛나는 수많은 별들에게, 방울 소리를 울리며 지나가는 노새에게, 쏜살같이 떼지어 지나가며 내 앞길을 막는 산양들에게, 크고 맑고 깊었던 아이들의 눈망울에게, 허름한 숙소 창문을 통해 마주하는 안나푸르나에게 인사하며 나는 행복하다고 생각했다. _ 325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9-11-25 12: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11-27 23:2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