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아니, 이 책을 이제서야 읽었느냐,고 한대도 할말은 없다.
워낙 읽은 책이 많지도 않지만,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되었다.
몇 년 전에 도서관에서 빌려다가 읽던 중에 대출 기한이 다 되어 반납해 버리고는 이제서야 재회를 하게 되었다.
그때 앞 부분만 조금 읽다가 반납을 했는데도 꽤 재미있다는 기억은 있었다.
지난 여름에 위화의 새 장편소설(무더운 여름/문학동네)이 나오면서 주변에 위화 소설을 읽는 사람이 심심찮게 등장했다.
내게 위화 소설이 어떻느냐고 물어오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때마다 나도 안 읽었다고 말하기가 적이 민망했다.
안되겠다, 나도 이번 기회에 위화를 모조리 읽어버리고 말겠다!라고 생각하며 우선 집에 있던 <허삼관 매혈기>부터 빼들었다.
(표지를 자세히 보면-요리조리 살짝 움직여보기도 하면서-은빛으로 새겨진 글자가 참 예쁘다. 표지가 무척 마음에 든다.)
어려서 부모를 잃고 넷째 삼촌과 할아버지의 보살핌 속에 자란 허삼관. 요즘 여자들은 못된 남자에게 끌린다는데, 할아버지 마을의 여자들은 피를 파는 남자에게 끌린다(?). 피를 판다는 게 건강함의 상징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우리의 건강한 남자 허삼관도 동네사람 방씨, 근룡이와 함께 생애 '첫 경험'을 하고, 그 돈으로 결혼까지 하게 된다.
이후 가정을 꾸려나가면서 집안에 어려운 일이 생길 적마다 허삼관은 피를 팔러 간다.
허삼관에게 '자라 대가리' 노릇을 시킨 큰 아들 일락이가 사고를 쳐 병원비를 물어주게 되었을 때도, 둘째 아들 이락이의 상사에게 식사를 대접할 때도, 임분방의 배 위에 올라 간 뒤에도(앗, 이때는 유일하게, 가족을 위해 피를 판 게 아니었다!), 일락이가 간염으로 다 죽게 생겼을 때도, 허삼관은 피를 팔았다.
피를 팔기 전에는 우선 물을 많이 마신다. 한 열 사발 쯤. 그래야 피가 묽어져 더 많이 팔 수 있기 때문이다.(그러다가 방씨는 오줌보가 터져 죽기도 했지만.) 피를 팔고 나면 꼭 돼지간볶음과 황주를 먹고 마신다. 돼지간볶음은 보혈 작용을 하고, 황주는 혈액 순환을 돕기 때문이다. 피를 한 번 뽑고 나면, 3개월 이내에는 또 뽑을 수 없다.
허삼관이 피 팔러 다니는 장면을 보며 내가 배운(?) 것들이다.
이 책은 시종 웃음이 터져나오도록 재미있게 씌였지만, 허삼관, 이 사람은 꽤 웃긴 사람이지만,
책을 읽는 중간중간 코끝을 찡하게 만들어버리기도 한다.
자기를 닮지 않고 외간 남자 하소용을 닮은 큰 아들 일락이의 방황하는 모습, 또 그런 일락이에게 마음을 주지도 못하고 안 주지도 못하는 허삼관. 내가 넷째 삼촌을 생각하는 것만큼만 너도 나를 생각해다오, 라고 말할 때는 아 정말 가슴이 어찌나 짠하던지. 일락이를 업고 승리반점으로 가는 허삼관의 모습은 오래오래 잊히지 않을 것 같다.
그 뿐인가, 간염에 걸려 상하이의 큰 병원으로 실려간 일락이를 찾아가는 긴긴 여정 동안 허삼관은 며칠에 걸러 한 번씩 피를 판다.(앞에도 말했지만, 피를 한 번 뽑고 나면 3개월 내에는 다시 뽑을 수 없는데도 말이다.) 자기의 목숨이 어떻게 되든 아랑곳없이 일락이의 치료비를 모으기 위해 피를 파는 허삼관의 모습에는 그만 눈물이.
아버지의 피를 팔아, 부모의 피를 팔아 살아가는 자식이 어디 일락이, 이락이, 삼락이 뿐일까.
나는 얼마나 많은 우리 아버지의, 우리 어머니의 '피'를 뽑아서 이만큼 컸을까 생각하니...
허삼관이 굶주린 가족들에게 요리를 해주는 장면이 있다.
비록 '입'으로 하는 요리이지만, 가족들에게는 아버지의 사랑이 가득 담긴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요리였을 거다.
허삼관은 그렇게 멋진 아빠다.
...'허삼관은 그렇게 멋진 아빠다'라고 말하고 보니, 허삼관 위로 우리 아버지의 모습이 겹친다.
우리 아버지도 그렇게 멋진 아빠거든.
아빠, 이제 '피' 그만 파세요, 제가 호강시켜드릴게요,
라고 얼른 말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갑자기, 아빠 생각에 숙연해지는데,
아무튼 결론은,
이 책은 굉장히 아름답고 재미있고 감동적이고 멋지고 훌륭하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