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젤과 크레테 - 힐데군스트 폰 미텐메츠가 쓴 차모니아의 동화
발터 뫼르스 지음, 전은경 옮김 / 들녘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꿈꾸는 책들의 도시>로 익히 알려진 작가, 발터 뫼르스.

나 역시 <꿈꾸는 책들의 도시>나 <에코와 소름마법사> 등 그의 작품 제목은 많이 들어봤지만, 그의 책을 만나는 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책 제목만 많이 들어봤을 뿐, 저자나 저자의 글쓰기에 대해 아무런 사전 정보가 없었던 터라, 이 책을 펼쳐들고 처음에는 어리둥절했다.

- 으응? 분명히 '발터 뫼르스 지음'이라고 되어 있는데, '힐데군스트 폰 미텐메츠가 쓴 차모니아의 동화'라니? 뭐지?

게다가 이런 설명이 덧붙여져 있다.

'발터 뫼르스가 차모니아어를 번역하고

삽화를 그렸으며, 저자의 약력을 첨부했다.

압둘 나흐티갈러 교수의

<차모니아와 그 인근 지역의 기적과 존재, 현상에 관한 해설 사전>을

인용하여 각주를 붙였다.'

아, 발터 뫼르스는 '역자'였군! 그런데 왜 '발터 뫼르스 지음'인 거야? 그럼 힐데군스트 폰 미텐메츠는 누구지?

 

그 뒤에 '저자'인 힐데군스트 폰 미텐메츠의 사진이 실려있지 않았다면, 나는 지도에서 '차모니아'를 찾아보는 무식함까지 보일 뻔 했다!

그러니까, 이 책의 원저자 힐데군스트 폰 미텐메츠가 누구냐면,

바로 이 '사람' 되시겠다.

 

 

지은이부터 철저히 환상적인 이 책. 저자의 모습에서부터 이 책이 펼쳐낼 이야기가 어떤 분위기일지 조금은 짐작이 간다.

발터 뫼르스의 '번역' 덕분에 나는 미텐메츠식 여담도 즐겨가며 차모니아의 이 환상적인 이야기를 맘껏 누릴 수 있었다.

('옮긴이' 발터 뫼르스에게 깊은 감사를!)

 

제목에서, 이 책의 큰줄기는 대강 엿볼 수 있다. 두 남매가 있을테고, 길을 잃을테고, 마녀가 나오겠지.

'헨젤과 크레텔'의 이야기가 그런 것처럼.

 

페른하힝엔에서 온 오누이 엔젤과 크레테는 출입이 금지된 큰숲에서 길을 잃고(물론 지나가는 자리마다 나무딸기 가지를 던져 두었지만 땅꼬마도깨비가 다 주워가고 만다), 무시무시한 체험을 하게 된다. 이파리늑대에게 잡아 먹힐 뻔도 하고, 식물의 늪에 빠져 죽을 뻔 하다가 난초의 혓바닥 덕분에 살아나기도 하고, 맛있는 음식이 가득 차려진 마녀의 집에 들어가 마녀의 위액에 녹아내릴 뻔도 한다. 온갖 신기한 생명체가 살아 숨쉬는 큰숲에서 갖은 위험을 헤쳐나가는 우리 오누이의 이야기 중간중간에는 자꾸 '저자' 미텐메츠가 끼어들어 수다를 떤다. 이름하야 '미텐메츠식 여담'이다. 자신의 전작을 신랄하게 비평해 판매 부수를 뚝 떨어뜨려 놓은 문학 비평가를 향해 저주에 가까운 악담을 퍼붓기도 하지만, '문학 작품의 배후에 숨은 사회적 의미'를 들추어 보여주며 또 다른 재미를 느끼게 해준다.

 

큰숲에서 벌어지는 오누이의 목숨을 건 탐험과, 말 많은 저자 미텐메츠의 수다를 갈마보다 보면 어느새 이야기는 끝을 맺는다.

이야기가 끝나면 우리의 저자 힐데군스트 폰 미텐메츠의 전기가 이어지니, 저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도 즐길 수 있다.

 

얼마나 풍부한 상상력을 지녀야 이런 이야기를 써낼 수 있는 건지. 오랜만에 즐기는 환상 소설에 흠뻑 빠져들었다.

아, 책 겉표지를 벗겨보면 바우밍 지도와 안내도가 들어 있다. 여행 전이나 후에 살짝 훑어보는 것도 재미있을 듯.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아ㅓ아 2009-07-27 1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힐데군스트 폰 미텐메츠씨는 꿈꾸는 책들의 도시도 쓰셨습니다.
(대표 저자 사진은 위와 동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