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산티아고, 혼자이면서 함께 걷는 길
김희경 지음 / 푸른숲 / 2009년 5월
평점 :
요 며칠 계속 우울한 나날이 이어졌다.
우울할 때면 어김없이 나타나는 증상, 어디론가 훌쩍 떠나고 싶어지기, 역시 나를 찾아왔다.
'나의 동생, 김인배에게'라는 헌사가 적힌 이 책은, 저자가 갑작스럽게 남동생을 잃고 6개월 뒤, 여러 복잡한 마음을 다스리려 떠난 산티아고 순례기이다.
혼자 있고 싶었다. 모두가 타인 뿐인 곳에서 아무런 구속없이 지내보고 싶었다.
그래서 한 방향을 향해 800킬로미터를 걷고 또 걷기만 한다는 그 길을 택했다. 혼자일 수 있으니까. 길 잃을 염려 없이 계속 걷기만 하면 되니까.
그 길고긴 '카미노'를 걷기 위해 등에 메고 가는 배낭은 6킬로그램이었지만, 마음속에 얹힌 그 짐은 무게를 가늠이나 할 수 있었을까?
그 길의 시작에 서 있는 저자의 마음(만큼은 아니겠지만)처럼 끝간데 모르고 추락하는 내 마음을 추스르며, 저자와 함께 걷고 또 걷기로 했다.
왜인지 모르겠다.
이 책을 읽는 내내 자꾸 울고 싶었다. 그냥 계속 슬펐고, 답답했고, 아팠고, 공감했다.
내 마음속에 갇혀 있는 무언가를 자꾸 건들고 있는 것 같은 기분이었다.
지하철 안에서 주책맞게 눈물이 흘러도, 흐느낌이 터져 나와도 어쩔 수 없었다. 내 방이었다면 목 놓아 울었겠다.
혼자이고 싶어 떠난 길이었지만, 저자는 단 한 순간도 혼자 걸은 적이 없다.
서로 마음속에 품은 생각은 다르지만 같은 목적지를 향하고 있는 수많은 '순례자'들이 그녀 곁을 스쳐갔고, 그녀와 함께 걸었다.
그리고 바람으로, 구름으로, 꽃으로, 비로, 그녀의 길을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 걸어준 남동생이 있었다.
"낯선 사람들과 섞이는 경험은 마치 여러 개의 거울을 통해 나를 들여다보는 것 같기도 했다. 수치스러워 떠올리고 싶지 않은 일면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기도 했고, 스스로를 꽤 좋아할 만한 사람으로 여길 수 있던 순간도 겪었다. 절친한 친구에게도 털어놓기 어려운 이야기가 낯선 이들 앞에선 술술 풀려 나왔다. 지루하고 서툰 내 이야기를 인내심 있게 듣고 등을 토닥여준 낯선 사람들의 호의를 직접 되갚지 못한 적도 많았다. 대신 나도 비슷한 상황에 처했을 때 다른 이들에게 조촐한 위로라도 전하려고 애썼다."
서로의 등을 토닥여주며, 서로의 아픔을 위로해주며 걷고 또 걷는 그들을 보며, 나도 그 틈에 끼어 함께 걷고 싶은 생각이 간절했다.
'관계 맺기'에 서툰 내가, 갑자기 타인이 그리워졌다.
'처음엔 혼자 시작해도 거의 항상 다른 사람들과 함께 끝나게 되는' 그 길은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그리고 나도 언젠가는 그 길에 함께 할 날이 오기를 간절히 바라본다. 혼자이면서 함께 걷는 길, 산티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