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을 위한 유쾌한 인물상식 교실밖 상식 시리즈 4
김동섭 지음 / 하늘아래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상식에 도움이 되는 책 좀 추천해주세요." "상식을 쌓고 싶은 데 어떤 책을 읽어야 하죠?"

책카페에의 질문 게시판에서 종종 보게되는 질문이다.

한 번도 그런 질문에 답해 본 적은 없지만, 저런 경우에는 무슨 책을 추천해야 하나? 무슨 책을 읽어야 하나?

혼자 여러 책들을 머릿속에 떠올려보곤 했다.

그때 내가 내린 결론은, 모든 책, 이었지만.

(책을 읽다보면, 뜻하지 않은 곳에서 '아하! 그렇구나'라는 깨달음을 얻을 때가 많다. 소설책에서도.)

 

이 책을 보며, 그러니까 이 책의 제목을 보는 순간, 나는 종종 접했던 저 질문들을 떠올렸다.

상식을 쌓고 싶은데 어떤 책을 읽을지 모르겠어서 고민하던 저네들이 원하던 책이, 이런 책은 아니었을까?

왜냐면, 그런 내가 원한 책은 이런 책이었으니까 말이다.

(자랑은 아니지만) 나도 꽤나 '아는 게' 없다.

중고등학교를 다닐 때는 학교에서 배우는 게 다 쓰잘데기 없어 보였다.

머리 아픈 수학 공식이며, 과학, 화학 그런 거 배워서 어디에 써먹을까 싶었고,

무슨 시대에 누가 살았고, 몇 백 년 전에 무슨 대륙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졌으며, 그런 거 다 외워서 뭐하려나, 싶었다.

그런 내가 가장 '실용적인 학문'이라고 생각했던 건, 말 그대로 정말 실용적이었던, 가사, 가정 수업 정도였던 것 같다.

그와는 상관없이 좋아했던 국어, 문학 수업이 있었고.(그렇게 따지자면 문학은 뭐에 써먹으려고?)

그땐, 먹는 거 참 좋아했나보다. '써 먹을 데' 없어 보인다고 배움에 시큰둥했으니.

그리고 고등학교를 졸업해 더 넓은 세상에 나와서야,

나는 그때 내 생각이 얼마나 어리석었던지 땅을 치고 후회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나중에 관심이 생겨, 어디 이거 한 번 공부해볼까? 싶은 것들이 가만히 생각해보면,

다 그때 내가 콧방귀를 쳤던 것들인 경우가 많았다.

'저 사람은 어쩜 저렇게 아는 게 많지?'하고 부러움에 의기소침해질 때도, 가만 생각해보면,

그 사람이 유별나게 아는 게 많은 게 아니라, "학교 다닐 때 다 배운 거잖아."라고 말할 그런 내용인 경우가 많았다.

(그러니까, 학교 다닐 때, 열심히 배워두는 게 다 피가 되고 살이 됨을, 학교 떠나고 느꼈다는 이야기다.)

그래서 뒤늦게 '상식'에 목마름을 느낀 나인지라, 제목에 '상식'이 붙은 책을 보면 귀가 솔깃해지곤 한다.

 

이 책은 '인물상식'이다. 거기다가 내가 좋아하는 '문학' 분야와, 요즘 피아노를 배우며 관심을 갖게 된 '예술' 분야와,

얼마 전에 철학 서적을 읽고 관심이 생긴 '철학', 이렇게 세 분야를 아우른 '인물상식'.

청소년을 위해 쓰여진 책이라니 지루하거나 어렵지도 않겠다 싶어서 반가운 마음으로 이 책을 만나보았다.

 

이 책은 정말 정리가 깔끔하게 잘 되어 있다.

문학, 철학, 예술에 대해서 대략적인 정의로 그 장을 열며, 각 분야는 모두 동서양으로 나뉘고,

거기에서 시대에 따라, 나라에 따라 나뉘어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을 덧붙인다.

인물 소개 순서도 무작위가 아니라 출생년도를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인물들의 선후 순서가 깔끔하게 정리된다.

각 인물들이 활동한 시대 배경으로 시작하여, 생애, 주요 활동 및 업적을 들려주고,

그 중간 중간에는 주요 저서라든가, 주요 이론 같은 것을 따로 박스에 담아 설명해두었다.

그리고 한 분야가 끝날 때마다 적지 않은 페이지를 할애하여 핵심용어를 정리해주고 있는데, 이 부분도 무척 마음에 든다.

용어 하나 하나 그 정의를 읽고 있자니, 마치 수험생 시절로 돌아가 밑줄 박박 그어가며 외워야 할 것 같은 기분도 든다.

주변의 중고등학생들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책이다.

같은 내용이더라도, 교과서로 볼 때는 고리타분하고 따분하게 느껴지지만,

교과서 외의 책으로 볼 때는 괜히 더 재미있고 머리에 잘 들어오는 것 같은 느낌은, 나만 느끼는 게 아닐 것 같은데,

이런 책은, '교과서 외 책'이니 일단 읽는 마음 편안하고, 내용은 학생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니,

일석이조, 도랑치고 가재잡는 고마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