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을 먹다 - 제13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김진규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글과 재미있는 이야기를 읽는 것을 인생의 축복이다. 나는 소설 [달을 먹다]를 읽고 오랜만에 이런 축복의 세례를 다시 받았다. 축복의 세례에 더해 더욱 포만감을  느끼는 것은 한국 문학만이 줄 수 있는 모국어의 성찬을 맛 보았기 때문이다. 우리 말과 우리 정서를 바탕으로 우리의 사랑을 이야기했다. 그것도 현대가 아니라 역사 속의 배경을 택해  도발적인 형태의 실험을 해 새로운 맛을 보여주었다. 작가의 재주에 놀랄 다름이다.

작가의 데뷔작이라라다. 여기저기서 본 듯한 짜깁기한 소설이나 대본에 지쳐가는 요즈음인데 김진규라는 작가는 데뷔작에서 남들이 닿지 못하는 대가의 경지를 보여주고 있다. 아무나 드나들면서 문학의 주변을 어지럽혔는데 하늘의 소명을 받은 작가의 손길은 이런 걸작으로 뽑는 구나 하는 감탄이 절로 나온다. 수 많은 문학의 범재들에게 낯 부끄러운 자극을 주었다.

이 글은 사극이다. 영 정조 시대의 개혁과 보수가 충돌할 무렵의 삶이 이 글의 배경이다. 너무나 잘나 호색으로 일생을 보내는 아버지의 슬하에서 자란 묘연이 시집가고 자식 희우를 낳는다. 그렇게 발생한 인간관계와 인과관계가 이 소설의 이야기를 이루고 있다.

작가는 '이해와 오해의 간극'을 보여주기 위한 시도로 이 소설을 썼다고 하지만 내가 놀란 것은 작가가 만들어 낸 공감의 장이다. 우리가 육안으로 볼 수는 없었지만 우리에게는 조상이 있었다.  그들로부터 핏줄로 흘려 내려온 공통 분모가 우리의 마음 속에 흐르고 있다. 어느 집안에나 은밀히 속삭이는 불륜의 애정사가 있을 것이고, 차마 입에 담지 못하는 패륜의 과거가 있을 것이다. 이루지 못한 사랑이나 희망 때문에 생과 사를 넘다 드는 불행한 선택을 한 어두운 비밀이 있다. 작가는 그런 우리에게만 허용되고 속삭일 수 있는 규방의 이야기를 재료로 버무려 놓았다. 정련된 언어의 향기에 취해 있지만 이야기의 진솔함에 독자의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는다.

우리도 모르게 고답적이라고 형식적이라고 낙인 찍어 놓았던 우리 선조의 삶은 사실 이러했을 것이다. '공자왈 맹자왈'을 외아리며 신분과 계급에 옥죄인 삶이 그들에게 주어졌겠지만 그 속에서 인간 본성에서 나오는 비명을 외치기도 했을 것이고 입을 틀어 막으며 참기도 했을 것이다. 사랑해서는 안될 사람을 사랑하고, 사랑하지만 사랑 받을 수 없는 삶이 지금도 있듯이 그 시절도 그러했을 것이다. 백년 전에도 오백 년 전에도 사람은 있었고 사랑을 했고 욕구가 있었을 것이다. 우리에게는 그들의 삶이 사서(史書)에 남은 몇 줄의 기록안에 갇혀 있었다. [달을 먹다]는 그 갇혀진 삶들에게 자유를 주고 호흡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이런 면에서 작가는 우리의 역사에 생기를 불어 넣었다.

정련된 언어, 이야기의 개성, 글의 도발적인 구조에 더 없이 만족스럽다. 차마 TV나 영화로 옮길 수 없는 소설의 장르적 정체성마저 챙기고 있다. 작가의 다음 작품을 한 없이 기다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