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야, 우리가 미안하다 - 따뜻한 신념으로 일군 작은 기적, 천종호 판사의 소년재판 이야기
천종호 지음 / 우리학교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자라면서 부모의 걱정도 함께 자랍니다. 공부를 못할까 봐, 체구가 왜소할까 봐, 혹시 왕따가 되거나 학교 폭력의 희생자가 될까 봐 걱정합니다. 그 걱정은 모두 내 아이가 피해자가 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을 양분으로 무럭무럭 자랍니다. 단 한 번도 내 아이가 가해자가 될 리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가해 학생들은 사회를 좀먹을 어린 범죄자이고, 일찍 뽑아내어야 할 잡초라고 여길 수도 있습니다. 만약 내 아이가 가해자가 된다면 제 시선은 아주 부드럽게 변할 것이 분명합니다.


천종호 판사가 지은 ‘아니야, 우리가 미안하다.’를 읽으면서 저는 처음으로 가해 학생들의 모습을 제대로 보았습니다. 천종호 판사가 맡는 소년법정에 나타나는 학생들은 죄는 흉악하지만 거대한 사법체계의 처분을 기다리는 한 없이 어린 소년에 불과합니다. 이 책을 통해 저는 소년 법정에 서는 가해 학생들은 몇 가지 공통점이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첫째, 가정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보통 아이들처럼 가정으로부터의 경제적, 정서적으로 지원을 받지 못하였습니다. 가정의 붕괴로부터 아이의 심성은 무너지기 시작하고 그들의 영혼이 좀먹기 시작했습니다. 두 번째로 가해 학생은 과거에 피해 학생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부모나 선배로부터 당했던 폭력의 희생자가 나중에는 가해자가 되어 다른 학생들을 때리는 것입니다. 세 번째로 소년 법정에 서는 아이들은 어른들의 무관심 속에 방치되었습니다. 부모와 선생이 좀 더 세심하게 아이들을 관찰했더라면 피해를 줄일 수 있었습니다. 어른들이 ‘좋은 게 좋은 것’이라고 방치하고 묻어두려 한 것이 결국 가해 학생들의 인생에도 나쁜 일이었습니다. 사랑의 반대는 ‘무관심’이라더니, 무관심이 그렇게 심한 죄인 줄은 이번에 알았습니다. 많은 아이가 부모의 과보호 속에 정체성이나 주체성이 약해집니다. 어떤 아이는 과보호에 시달리는데, 다른 어떤 아이는 부모로부터 버림받고 먹고 살려고 돈을 훔치고 원조교제 나서는 이 참담한 아이러니에 눈시울이 붉어지곤 했습니다.


한국에서 오래 살았던 한 캐나다 여성에게 한국의 아이 기르기와 서양의 아이 기르기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물어본 적이 있었습니다. 그분은 한국의 부모는 ‘자기 아이’를 돌보지 ‘우리 아이’를 돌본다는 생각이 없어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놀이터에 아이를 데리고 간 캐나다 부모는 놀이터에 들어선 순간부터 그곳에 있는 모든 아이를 보호할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답니다. 한국 부모의 이기심을 지적한 캐나다 여성의 말에 당시로써는 수긍하지 않을 수 없었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알게 된 천종호 판사, 청소년 보호센터의 활동을 보면서, 우리도 이제는 내 아이뿐 아니라 우리의 아이를 책임지려는 어른이 많이 계시다고 반론을 펼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이들이 절망감으로 스스로를 포기하는 일이 없도록 애쓰는 훌륭한 어른이 많이 계십니다.


천종호 판사님 고맙습니다.

아이들이 절망을 딛고 희망을 품을 수 있도록 도울 일이 무엇일지 저도 고민해 봐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