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년 뒤 오늘을 마지막 날로 정해두었습니다 -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할 때
오자와 다케토시 지음, 김향아 옮김 / 필름(Feelm) / 2022년 2월
평점 :

삶이란 태어남과 동시에 끝을 향해 한 발 한 발 나아가는 과정인지도 모르겠다. 지금 읽고 있는 책들 중
삶과 죽음이라는 상반된 주제 같지만 또 한편으로는 하나의 일관된 다른 관점의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오늘 아침 신문에서도 삶이란 아름다운 죽음을 준비하는 과정이라는 또 하나의 연결되는 문장을
담고 있었다. 누구에게나 가장 공평하게 주어지는 한 번의 삶을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삶은 늘 선택의 연속이고, 우리는 그 갈림길에서 가지 않은 길에 대한 미련을 갖게 되는 것도 어쩌면
더 나은 삶에 대한 바램이 담겨있기 때문인 것 같다.
길지 않은 삶은 그 끝을 알 수 없기에 어느 순간 마음이 조급해지기도 한다. "인생이란 아름다운 자수를
뒤에서 보는 것과 같다"라는 책 속 인용구는 각자의 삶을 가꾸고 다독이며 사는 사람들의 복잡다난한
모습을 참 적절하게 묘사하고 있는듯하다. 보이는 삶이 아니라 자신의 진짜 행복을 위해 애써야 함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우리는 종종 소중한 것들을 잃고 나서야 그 중요성을 깨닫곤 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건강이고, 우리와
가장 가까운 가족 혹은 친구를 꼽을 수 있겠다. 무작정 앞만 보고 달려가다 보면 정작 소소한 삶의 중요한
것들을 놓치거나 무엇을 위해, 혹은 무엇을 향해 가는지조차 헷갈리는 순간이 오기도 한다.
명상처럼 휴식처럼 쉬엄쉬엄 이 책을 읽었다.
요즘은 사실 삶이 속도를 줄이고자 노력 중인데 그게 생각보다 쉽지 않다. 조금 속도를 줄이고 창밖의
경치도 누리고, 내면의 깊이를 더해가는 삶을 살아야겠다는 것이 올 한 해 가장 큰 목표이다.
미니멀리즘이 인테리어의 붐을 일으켰지만, 삶의 미니멀리즘 또한 우리 삶의 행복지수를 높이는 방법
이라는 생각이 든다. 달리는 것보다 쉬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삶이라니.
마음의 요가처럼 또 이렇게 책을 읽는 순간, 마음의 근육이 조금 늘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