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똥고양이의 수상한 방 - 필냉이의 고양이 일기
윤경령 지음 / 나무수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필냉이의 고양이 일기
"나는 털날리는 동물은 싫다"라는 나름의 확고한 의지가 있었다. 그래서 더욱더 고양이나 강아지를 싫어했다. 보면 혼자 놀라서 피하기도 하고 아예 근처에도 가지 못할 정도이다. 하지만 이책을 읽으면서 처음과 달리 마음이 자꾸만 바뀌는 것을 느낄수 있었다. 고양이에게 이런 매력이 있었나? 고양이가 이랬었나?라면서 기존에 내가 가지고 있었던 고양이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다. 그리고 특히나 고양이를 사랑하고 좋아하는 저자의 마음이 고스란히 나에게 전해지는 것 같아서 더욱더 그랬는지도 모른다.
책 제목부터 귀엽기도 하고 웃기기도 하다. 그리고 책을 여는 순간에 나오는 고양이 스티커 완전 귀엽다.. 아마도 이책에 나오는 고양이들은 너무 귀엽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고양이와의 동거를 하는 저자는 우선 고양이를 키우기전에 미리 마음의 준비를 위해 필요한 고양이에 관한 여러가지를 말해주고 있다. 고양이는 털이 많이 빠진다, 고양이에게는 발톱 긁는 습성이 있다, 등 고양이와 함께하기 위해서는 알아야하는 제일 중요한 것들에 대해서 알려주고 있다. 사실 고양이가 털이 그렇게 많이 빠질거라고는 생각안했었는데 음식에도 털, 눈에도 털, 입에도 털이라고 하니깐 고양이의 털이 이젠 무서워진다.. 그리고 정말 고양이를 키우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꼭 한번 생각해봐야할 중요한 문제인 것 같다.
고양이에 관한 편견과 오해, 그리고 고양이에 관한 명언까지 내가 알지못한 고양이에 대한 기본상식들을 많이 알게 된것 같다. 이제 고양이를 보면 냅다 피하지는 않을 것 같다.또, "고양이의 야옹 소리는 우리의 마음을 마사지 시켜준다-스튜어트 맥밀런", "한 마리의 공야이는 또 하나를 데려오고 싶게 만든다-어니스트 헤밍웨이", "고양이와 같이 사는 사람들은 알겠지만 고양이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엘런 페리 버클리" 와 같은 명언들을 들으니깐 고양이가 너무 사랑스러워지는 것 같기도 하다
#동거묘를 猫 소개합니다.
금봉이, 순대, 홍단이, 영남이, 샤나, 은봉이 자그마치 6명의 고양이와 함께 지내고 있다. 증명사진 같이 나온 고양이들 사진 제각기 다른 종류의 고양이다. 하지만 생긴것은 하나 같이 장난기 가득한 것 같다. 첫째 입양을 통해서 만나 금봉이, 둘째 순대는 길을 걷다가 트럭밑에서 울고 있는 다리 다친 새끼고양이를 꺼내 병원에서 치료 받은후 업둥이로 들어왔고, 셋째 영남이는 집근처 대학교에서 구조한 고양이, 여왕 마마 샤나는 주인에게 버려졌는지 길에서 엉망인 채로 발견되어서 구조한 사람이 인터넷에 압양 글을 올렸고 그것을 본 후 입양, 새로운 식구 홍단이는 키우던 사람에게 의해 발톱 수술을 받았고 후에 수술받은 병원에 버려졌다고 한다 그래서 입양, 은봉이는 이사가면서 버려졌지만 지금 저자가 키우고 있다.
6명의 고양이들 보기에는 정말 어디있는 집에서 자란 이쁜 고양이들인데 이렇게 알면 알수록 아픔이 상처가 있다는게 가슴 아픈것 같다. 아무리 동물이지만 자신도 버림받았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알수 있을 것 같은데 말이다. 이렇게 많이 버려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는 있었지만 아마 소수에 불과할 것 같다. 그래서 더 마음이 아프다. 이렇게 저자와 같이 좋은 주인을 만나지 못하면 거리를 서성고 있을게 분명하니깐 말이다.
저자와 6명의 고양이는 매일 전쟁아닌 유쾌한 전쟁을 치르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 고양이와 동분서주하는 모습과 고양이들의 움직이고 이리저리 활동하는 모습을 보면서 내내 아픔에 대한 것은 잠시 잊고 기분이 좋았던 것 같다. 고양이와의 수상한 동거지만 제미있어보였고 서로가 서로에게 힘이 되고 삶의 활력소가 되는 것 같았다.
오랜만에 이렇게 유쾌하고 기분이 좋아지는 책이었던 것 같다. 읽는 내내 좋은 마음으로 읽을수 있었고 좋은 마음으로 고양이를 바라볼수 있었던 것 같다. 한권의 고양이 책으로 내가 고양이를 다 알수는 없었지만 그래도 저자가 대단하고 존경스러웠고 저자의 사랑을 듬뿍받고 있는 6명의 고양이가 더 잘지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고양이를 사서 키우는 사람들이 고양이에 대한 책임감이 커져서 함부러 버리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리고 길거리에 버림받은 고양이가 없어지길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