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니엘 데론다 1 ㅣ 한국문화사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서양편 753
조지 엘리엇 지음, 정상준 옮김 / 한국문화사 / 2016년 12월
평점 :
A5 크기에다 태권도 유단자가 아니면 결코 격파할 수 없을 만큼 두꺼운 판자 수준의 양장제본. 그래서 약 350쪽의 책이 500그램 가까이 나간다. 이런 책 네 권으로 모아 19세기, 종이 귀하던 시절에 그랬듯 빡빡하게 써 놓은 1,410여 쪽을 읽어야 조지 엘리엇의 마지막 작품 <다니엘 데론다>를 끝마칠 수 있다. 메리 앤 에반스(Mary Anne Evans)가 왜 필명을 남자 이름 조지George라고 지었느냐 하면, 몇 가지 설이 있는 바, ① 조지 루이스라고 하는 유부남인지, 애 달린 홀아비인지는 모르겠으나 정식 결혼을 하지 않고, 아니 좀 묵은 표현으로, 정식으로 혼인을 하지 아니하고 동거생활에 들어갔는데 당시가 경제적으로나 군사력에 있어서나, 문화적으로나, 지금 기준으로는 고리타분하기 짝이 없지만 하여간 도덕적으로나 절대로 해가 지지 않을 것 같은 황금기의 빅토리아 시대여서, 1854년에 그들의 동거를 비난하는 목소리가 극심해지자 이름을 ‘조지’라고 했다는 얘기와, ② 아무래도 이이가 활동했던 시기가 19세기였던 만큼 (저널리스트이기도 했던) 자신이 쓴 글을 독자가 보다 신중하게 읽어주기 바라는 입장에서 필명을 남자 이름으로 했다는 얘기가 (구글 검색해보니 나와)있는데, 흠, ②가 보다 사실에 가까운 거 아닐까 싶다.
하여간 조지 엘리엇이 쓴 네 권, 8부의 소설이자, 그녀의 마지막 소설작품인 <다니엘 데론다>가 세상에 나왔을 때가 1876년, 조선이 개항을 했던 때이니 당시 영국과 유럽 문명과 문화의식을 감안해서 읽어야 함은 물론이다. 나는 엘리엇의 초기작품 <플로스 강의 물방앗간>을 읽고 단박에 이이에게 반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