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은 잘 모르겠어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499
심보선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7년 7월
평점 :
심난한 시집. 난 어제도 잘 모르겠고 오늘도 잘 모르겠고, 내일 읽어도 이 시집 <오늘은 잘 모르겠어>는 잘 모를 거 같다. 에잇, 다짜고짜 시집의 표제 시 먼저 읽어보자.
오늘은 잘 모르겠어
당신의 눈동자
내가 오래 바라보면 한 쌍의 신(神)이 됐었지
당신의 무릎
내가 그 아래 누우면 두 마리 새가 됐었지
지지난밤에는 사랑을 나눴고
지난밤에는 눈물을 흘렸던 것으로 볼 때
어제까지 나는 인간이 확실했었으나
오늘은 잘 모르겠어
눈꺼풀은 지그시 닫히고
무릎은 가만히 펴졌지
거기까지는 알겠으나
새는 다시 날아오나
신은 언제 죽나
그나저나 당신은…… (전문 28~29쪽)
이게 뭐 좋다거나 시집의 핵심이 된다거나 해서 인용하는 게 아니라, 비교적 짧아 전문을 옮길 수 있는 몇 안 되는 작품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지지난밤에는 우리 둘이 서로 사랑을 해 몸을 섞었고, 지난밤에는 눈물을 흘려, 감정이 있는 사람이었던 것 같은데, 지금은 그것도 다 사라져 내가 사람인지 아닌지 잘 모르겠고, 아 이 다음부터가 문젠데, “눈꺼풀은 지그시 닫히고 / 무릎은 가만히 펴”진 상태가 과연 어떤 자세인지 헷갈린다. 일반적으로 생각해서 눈꺼풀이 지그시 닫히면서 동시에 무릎을 가만히 편다면, 이거 어떻게 본격적으로 야한 자세를 취하기 전에 흔히 시작하는 포즈? 이 상태에서 가만히 가만히, 소토 보체, 펴진 무릎만 옆으로 세우면 완전히 자세 나오는 거 아냐? 좋다, 그렇게 감안하고 다시 읽으면, 시인도 거기까진 알겠단다. 근데 새는 다시 날아오기는 하나? 신은 언제 죽지? 여기서 말하는 신이 뭐지? 세상 온 종교에서 말하는 신, 즉 하느님을 말하는 것인지, 시의 첫 부분에서 얘기했듯이 내가 오래 바라보던 당신의 두 눈알을 말하는 것인지 흠, 잘 모르겠다. 여기서 한 발 더 뗀다. 그나저나 당신은, 언제 죽나? 즉, 최종적으로 알고 싶었던 것이, 당신이 언제 죽는지 하는 거야? 즉, 한때 서로 사랑을 나누던 우리가 해체되어 이제 언제 당신이 죽어버리는지 그걸 오늘은 잘 모르겠다는, 것. 설마 이건 아니겠지.
그러나 내가 읽기에 시집의 전반은 주로 외로움이나 그리움, 각운을 맞춰 “움”으로 끝나지만 엄연히 “외로움”과 “그리움”은 다르다는 걸 강조하면서, 이 두 가지 주제가 번갈아가며 등장한다.
“형은 어쩌면 신부님이 됐을 거야. / 오늘 어느 신부님을 만났는데 형 생각이 났어. / 나이가 나보다 두 살 많았는데 / 나한테 자율성이랑 타율성 외에도 / 신율성이라는 게 있다고 가르쳐줬어. // 신의 계율에 따라 사는 거래. // 나는 시율성이라는 것도 있다고 말해줬어. / 시의 운율에 따라 사는 거라고. / 신부님이 내 말에 웃었어. / 웃는 모습이 꼭 형 같았어.” (후략. <형> 69쪽)
무려 다섯 쪽에 달하는 긴 시의 말미에 가면, 시인의 형은 존재하지 않는다. 있지도 않은 형을 만들어 가상의 형에게 자신의 외로움과 시를 쓰는 일 등 자신의 마음을 쏟아낼 수 있는 인격에 대한 그리움, 또한 그래서 그리움의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데에 대한 외로움까지 참 기막히게 노래하기도 한다.
(전략) “왜 형은 애초부터 없었던 거야? / 왜 형은 태어나지도 죽지도 않았던 거야? / 왜 나는 슬플 때마다 둘째가 되는 거야? // 형, // 응?” (같은 시. 73쪽)
마지막에 여기까지 읽게 되면 독자는 대책 없이 얻어터진 뒤통수를 감싸 안을 수밖에.
물론 언짢은 것도 없지는 않다.
“나는 멀어지는 시인의 뒷모습을 대고 속삭였죠. / 잘 아시겠지만 우리는 시인이랍니다. / 오늘 우리가 응시한 것들 중에 / 적어도 개와 아이는 움찔했겠지요. / 하지만 선량한 우리는 늘 말하죠. / 무서워하지 말아요. 우리는 시인이랍니다.” (중략. 94~95쪽)
“나는 소원을 빌기 위해 얼굴이 빨개졌답니다. / 나는 문득 늙은 청소부에게 소리치고 싶었지요. / 어이, 아저씨, 금요일에 나는 인간이고 싶었어요! / 나는 화들짝 깨어난 그에게 말하겠지요. / 놀라지 말아요. 나는 시인이랍니다.” (후략. <나는 시인이랍니다> 부분 96쪽)
시인에겐 자신이 시인이라는 것이 벼슬이다. 이 시 바로 다음에 나오는 작품이 <나는 이제 시인이 아니랍니다>인데 그것도 자신이 시인이 아님을 주장하여 진짜 시인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읽히는 건 어쩔 거야. 뭐 크게 틀린 일은 아니지만 시인은 아직도 자신이 시인이기 때문에 선하고, 엉뚱하고, 취한 듯 취하지 않은 듯한 것도 당연하다는 주장. 뭐 이딴 거, 다들 잘난 맛에 사는 거니까 마음이 넓은 독자들이 이해해주자. 물론 난 이미 까질 대로 까져서, 시인들의 이런 특권 주장을 들으면 저절로 가운데 손가락 하나만 위로 치켜지는 현상을 금할 수 없다. (불민한 내 경우에 국한해서 얘기하자면) 실생활에서 엮인 시인들은, 이놈이나 저년이나 어찌 그리 하나같이 못됐는지, 아휴!
혹시 시인은 헤르마프로디토스라서 그들끼리만 서로 이해할 수 있다고, 그리하여 ‘우리 시인들은 그렇다’라고 말하는 거 아냐? 난 그렇게 읽히는데, 만일 옹졸한 내 생각이 맞다면 이렇게 말하리라. “가식 떨지 마!” (이 문단의 첫번째와 세번째 문장은 로베르토 볼라뇨, <야만스러운 탐정들>, 열린책들 2012. 262쪽에 나오는 걸 변형했다.)
읽는 사람에 따라 (당연히!) 다르겠지만 내가 제일 재미나게 읽은 시는 무지하게 긴 시 두어 개 이후에 나오는 시집의 마지막 작품 <리던던시>. Redundancy, 사전 상 해석에 의하면 듣기만 해도 살벌한 ‘정리해고’는 아니겠고 ‘불필요한 중복’이란 뜻도 있는데 이건가? 아닌가? 제목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던 그건 별개로 하고 일단 읽어보시라.
리던던시
이 살픈 머을에 나 훈저 가하 모아 구름우에 망실히 사녀리메. 저 눞인 해롬우에 요살은 가루 눠고 묘살은 세루 눠요. 온 새랑이 서모 삮여 무릍 아훔 닐째 머하면 동념을 아지라지메. 뚜렁 서랑 꾸렁 마랑 옵고 만시나니 이 웊에 까막이 아이닐꼬나. 어뮈여, 우라 잠아에 꾸암만 옵고 만시나니 저 섶에 기럭이 아이닐꼬나. 고오면 가옵구 서오면 서롭다구 어모하모 거오룩지메. 아라리 던던시롬, 아라리 던던시랑, 저니어어는 보자하굼 저 너어어믄 자자하굼. 살픈 달옴 우방지에 다슴마듬 모초록안 오도록히 설펴가메, 이러부낭 저러부낭 삼은 삼답헤 삼다지요. 이러부낭 저러부낭 검은 겁답헤 검다지요. 길세 웊 언닥지난 걔 실을 기리기리 달퍼가메. 한아리에 무유쁜 살믄 꾸암에 누고누벼 모덤 잩게 다홈 모덤 잩게 눈가마메. 어뮈여, 어뮈여. 훈저 사라가겐 훈저 주거가메. 완옥히 주거 아라리 던던시 온눈에 나라가메.“ (전문)
어떠셔? ‘리던던시’가 Redundancy 맞는 거 같은가? 난 잘 모르겠다. 마지막 문장에 ‘아라리 던던시’란 말이 나와 제목마저 헷갈리게 만든다. 그거 보면 제목 ‘리던던시’는 'Redundancy'라고 오해하라 지어 놓은 거 같다. 아니다. 하여간 이 노래는 어찌 보면 고려 가사 같고 어찌 보면 구강구조 또는 혀의 근육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 뭔가를 얘기하는 거 같다. “아라리 던던시롬, 아라리 던던시랑”은 분명히 고려가사에 나오는 후렴구 비슷하지만 무슨 뜻인지는 시인만 알고 있을 듯하다. 우리나라 언어가 신기한 것이(외국어도 같은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렇게 시를 써놔도 시인이 노래하는 것이 적어도 어떤 분위기인지는 대강 잡힌단 건데, 이걸 보고 이심전심이라 해야 하나 아니면 언어의 공명共鳴이라 해야 하나. 이것도 잘 모르겠다.
내가 굳이 구강구조나 혀 근육 이상으로 보는 것도, 이 시 앞의 앞에 나오는 장시長詩 <마치 혀가 없는 것처럼>에서 쇠구조물로 혀를 구강 아래에 가둬둔 채로 발음하는 시인의 실험적 언어 탐구를 소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거기서 시인은 이렇게 얘기하고 있다.
“마음은 여전히 혀의 통상적 사용법을 ‘상상적으로’ 작동시킨다. / 그때 마음의 조음 알고리즘에서 벗어난 혀의 소리는 / 격렬한 전투에서 칼과 방패가 부딪칠 때 나는 불꽃 튀는 마찰음이 아니라 / 저능아의 늘어진 혀, 돼지의 구겨진 혀, 광인의 날뛰는 혀가 내는 소리로 폄하된다. // 결국 시를 자음과 모음으로 분절하고 / 숫자와 집합으로 변형한 후 재조합하는 것은 / 억눌린 혀를 장애가 아니라 재료의 한계로 취급한다는 뜻이다. / 내 뜻이 통한다면 그러한 한계 안에서 시를 읽는 이는 / 장인적 주의력과 집중력을 발휘하여 소리들을 일일이 세공하듯 만들어낼 것이다.” (부분. 22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