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 민음사 모던 클래식 62
자크 스트라우스 지음, 서창렬 옮김 / 민음사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원래 제목이 <The Dubious Salvation of Jack V.> 우리말로 하면 <잭 필제의 의심스러운 구원> 정도 되는데 역자 서창렬은 그냥 <구원>으로 해버리고 말았다. Jack. V는 책의 주인공 잭 필제다. 잭은 V를 'ㅍ‘으로(또는 비슷하게) 발음하는 독일, 네덜란드, 하여간 유럽 대륙 북쪽 사람을 조상으로 하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열 한 살짜리 꼬맹이. 꼬맹이는 꼬맹인데 아주 일찌감치 까진 아이다. 좋은 말로 하면 조숙했다고 해야 할까?
 남아프리카공화국(을 포함한 많은 아프리카 나라들)의 소설의 가장 큰 이슈 가운데 하나가 흑백 갈등(또 하나의 큰 이슈는 당연히 식민주의)이지만 이 책의 주인공 잭 필제와 필제 가족 구성원에겐 피부색에 따른 차별은 별로, 거의 보이지 않는다. 당연히 필제 씨 댁은 마당에 수영장까지 딸린 저택에 사는 법률가 집안의 백인이어서 흑인 하녀 ‘수지’를 두었지만, 수지를 말 그대로 가족처럼 대우한다. 수지 역시 필제 씨 댁의 세 남매를 마치 자신의 아들딸처럼 자상하게 돌봐주고, 훈육하고, 대화하고, 그래서 사실상 진짜 엄마보다 더 엄마같이 양육하며, 특히 둘째이자 유일한 사내아이인 발랑 까진 잭과 따뜻한 관계를 만들어간다. 백인 주인과 흑인 하녀의 관계는 자크 스트라우스의 시선엔, 그냥 돈 많은 집의 주인과 가난해서 하녀로 들어온 여인일 뿐이다. 아프리카 문학에서 이런 관계 설정은 이 책이 처음이다. 와우.
 내가 잭에 관해서 ‘일찌감치 까졌다’느니 ‘발랑 까졌다’느니, 그것도 만 열 한 살짜리 꼬맹이한테, 하는 건, 당연히 잭과 같은 시절을 아주 오래 전에 겪어본 노땅 입장에서 귀엽다고 하는 소리다. 잭이 1978년 생. 책의 시점은 1989년 여름부터 1990년까지. 열 한 살의 잭은, 놀랍게도 벌써 아홉 살 시절부터 자위를 하기 시작했는데, 몸은 아직 제대로 된 정액을 만들어내지도 못하는 상태다. 이러니 내가 ‘일찌감치 까졌다’는 얘길 안 하겠느냐고. 어느 날 하루는 집 욕실에서 무슨 생각을 했는지 글쎄 샴푸 병에다 아아아아아아직 여물지도 않은 자기 고추를 집어넣기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곧바로 지구가 멸망하는 것만큼의 난처한 상황이 벌어졌으니, 줄에 묶인 병속의 사과를 움켜쥔 잔나비가 손을 빼지 못해 사람한테 잡히는 것처럼, 샴푸 병 안의 것이, 그것도 사내새끼라고, 조금씩 부풀어 오르더니 급기야 도무지 빠지지가 않는다. 얼마나 부풀었기에 미끌미끌한 샴푸 병에서 빠지질 않는 거냐고, 참나. 하이고, 어린 것이 하늘이 무너지는 난처한 상황을 견디다 못해, 이러다 피가 통하지 않아 썩어버려 싹둑 잘라내야 하는 건 아닌지, 평생 고추에다에 샴푸 병을 매달고 다녀야 하는 건 아닌지 도무지 자기 힘으로는 해결할 방법이 없어, 아무리 어려도 쪽팔린 건 아는 법이라, 화끈화끈 벌겋게 달아오른 얼굴로 엄마한테 이게 어떻게 하면 빠지겠느냐고 열 살 인생 통틀어 가장 진지하게 여쭙는다. “그냥 놔두면 저절로 빠져.” 한 번 힐끗 보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엄마. 엄마도 열 살짜리 아들이 벌써 자위를 하는지 꿈에도 몰랐던 거다.
 이 소년의 열 한 살 시절, 잭을 둘러싼 부모, 누나, 누이, 삼촌, 고모, 교사(들), 친구, 친구의 부모와 형제, 그리고 친애해마지않는 가정부 수지와 그녀의 아들 퍼시, 모든 사람들과 참으로 다양하게 펼쳐지는 관계, 관계 그리고 또 관계. 대표적인 아프리카너 가족인 아버지 계열 사람들과 영국인 출신인 어머니 계열 사람들 사이에서 생길 수 있는 가벼운 마찰부터,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수도 요하네스버그와 엄마의 고향 더반(홍수환이 아널드 테일러를 판정승으로 물리치고 우리나라 두 번째로 프로권투 세계챔피언에 올라 ‘엄마 나 챔피언 먹었어’를 외치던 곳)의 해변을 무대로 참 다양하게 당시의 남아프리카를 묘사하고 있다. 근데 저자 자크 스트라우스가 참 기특한 것이, 이런 다양한 관계 중에서 가장 중요한 관계를 잭과 수지로 그리고 있다는 점. 여기엔 피부색에 따른 배척과 차별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어린 잭은 늙은 수지를, 아니, 다시 쓰면, 수지의 애정과 그녀로부터 받을 수 있는 배려를 독점하고자하는 소년의 욕심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잭의 수지에 대한 소유욕심은 엉뚱한 곳으로 흘러가는데, 혹시 스포일러가 될지도 모르지만 지금 그 배경을 쓰고자하는 건, 출판사가 책 뒤표지에 이 내용을 이미 써놨기 때문이다.
 저 위에서 굳이 열 한 살짜리 꼬맹이가 아홉 살 때부터 여물지도 않은 연장을 가지고 자위를 했다는 얘길 쓴 이유는, 벌써 경력이 2년차라서, 이젠 완전히 취미생활로 여물지 않은 연장을 흔들어대기 시작했는데, 하필이면 마당의 수영장에서 그 짓을 하다가, 그만, 수지의 아들 퍼시에게 들켜버리는 일이 생긴다. 내가 아들만 둘 키운다. 얘네들 중학교 입학할 때마다 내가 해준 말이 있다. 자위할 때 들키지 말라는 거. 그거 하다가 들키는 놈들은 자위할 자격이 없는 놈들이라고. 근데 소설의 주인공은, 장하기도 하지, 그걸 햇빛이 훤한 수영장에서 하다가 걸려버린 거다. 그것도 클라이막스에 도달해 껌벅 넘어가고 있는 찰나, 퍼시가 저쪽에서 여태까지 눈 번하게 뜨고 바라보다가 으하하하하, 웃어젖히기 시작하니 그때서야 누가 자길 보고 있었다는 걸 알고 죽을 만큼 창피했다니, 아이고.
 그것, 자위하다가 퍼시한테 걸린 지상 최대의 수치가 수지의 귀에 들어가고, 기겁을 한 수지가 곧장 엄마한테 얘기하고, 엄마 역시 잽싸게 아빠한테 얘기하고, 아빠는 담임선생과 교장선생한테, 선생들은 학생들한테, 그리하여 요하네스버그 시민 모두가 수영장 앞에서 덜 여문 연장을 쥐고 흔들었다는 명백한 사실을 다 알게 되는 공포에 휩싸인 잭. 가뜩이나 수지의 애정을 양분하고 있는 경쟁자로서 밉기가 한이 없었는데, 이젠 반드시 없애버려야 할 적으로 바뀌어버린 거다. 퍼시에 대한 적의가 어떤 과정을 밟아, 정말로 친애하기 이를 데 없던 수지로 하여금 잭의 집을 떠나게 만들었을까.
 전형적인 성장소설. 성장소설이 언제나 그렇듯이 독자로 하여금 빙그레 웃게 만들고, 공감 속으로 초대하는 작품. 여기에 남아프리카공화국 특유의 문젯거리도 좀 등장하고. 권하지는 않겠다. 잘 쓴 성장소설은 우리나라에도 많이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구성과 문화에 대하여 궁금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굳이 외국어 번역서로 성장소설을 읽을 필요까진 없을 듯하여. 가장 최근에 읽은 잘 쓴 성장소설이라면, 이순원의 <19세>(이 책은 반드시 ‘세계사’에서 나온 중고 책을 골라야 함).
 왜 작가는 이 작품의 제목을 <잭의 의심스러운 구원>이라고 했을까? 여기에 대한 의견을 지금 말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러기 위해선 책의 스토리와 결과를 써야 하는데, 난 독후감에다가 책의 ‘중요한’ 내용을 쓰는 걸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