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아 아, 사람아!
다이허우잉 지음, 신영복 옮김 / 다섯수레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2000년대 초반에 이 책을 사두고(물론 표지는 이 그림이 아니다) 여태 읽었는줄 알았던 작품. 하, 세상에. 그냥 책꽂이에 있기만 했는데 당연히 읽었다고 치부해 둔 책이 이거 말고도 모레쯤 독후감 쓸 하인리히 뵐의 <그리고 아무말도 하지 않았다>도 있다. 헤까닥! 도무지 내용이 기억나지 않아 귀찮음을 무릅쓰고 책을 꺼내 들었더니 전혀 들춰본 자국이 없는 거다. 근데 이런 책의 공통점이, 대단히 좋은 평가를 얻는 책들이라는 점. 그리하여 진짜로 읽어보지도 않고 나도 이 훌륭한 책들을 (당연히) 읽어봤겠지, 이딴 식으로 여기고 넘기고 간 거 아닌가 싶다.


 다이 허우잉을 읽고자 하신다면 <시인의 죽음>, <사람아 아, 사람아!> 그리고 <허공의 발자국 소리> 순서대로 읽기를 권한다. 난 결론적으로 3-1-2 순서로 읽은 셈이 됐지만 앞에 적어놓은 순서로 보는 것이 중국 현대사 최고의 격랑일 수 있는 문화혁명과 그로 말미암은 상처를 제대로 체감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이 허우잉의 글은 다분히 연애소설이고 또 그 연애와 사랑이 시대의 어려움을 오랜 세월 거쳐가며 서서히 사랑의 결정이 단단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그가 긴 소설을 통해 우리 앞에 내놓는 사랑의 모습은 보석이 된다. 남루하지만 단단한 시대의식을 공감하는 지식인 남녀가 문화혁명과 그 속에서 돋아나는 허위의식, 기회주의의 역류를 힘겹게 극복해가는 과정에서 서로의 공감과 애정을 북돋는 건강한 사랑을 우리는 볼 수 있다. 결코 상황과 현실에 좌절하지 않고 오히려 그 속에서 희망과 이상적 사회주의의 내일을 확신하는 그들의 공감대는 이 책에선 인본주의(휴머니즘)이라고 말 할 것이다.

 격심한 문화혁명의 모습을 먼저 그려본다. 작가의 전작(그러나 발간은 이 작품보다 한 해 늦은 <시인의 죽음>)이나 위화의 <형제>의 장면들에서 볼 수 있는 인간이 인간에 대한 야수상태에서 벌어진 인간모독. 전체주의에 절대 반대하는 공산주의에 의하여 벌어진 변태적 전체주의의 와중에서 인민의 적이라고 규정받은 사람은 대다수의 인민들에 의하여 보이지 않는 인간으로만 존재하게 되고, 심지어 친척과 가족의 테두리에서도 발 붙일 곳이 없어진다. <사람아....>에서도 마찬가지. 주인공 쑨위에(이후 "쑨")은 소꼽친구이자 남편 자오져우한(이후 "자오")에게 이혼을 당한 채 모진 세월을 오직 혼자의 힘으로 견뎌낼 수밖에 없었다. 같은 세월, 젊은 시절에 쑨을 짝사랑했던 허징후(이후 "허")는 문화혁명 초기에 비판을 당해 혹독한 시절 동안 신분증도 없이 만리장성 노동판을 포함해 전국을 누비벼 험한 생활을 거치다가 돌아와 해방조치를 맞는다. 거칠게 말하면 쑨-자오-허 이들을 둘러싸고 20년 만에 다시 복잡해지는 사랑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으나, 이 연애사건을 독자의 가슴에 한없이 호소하는 건 이들이 겪어온 문화혁명과 그 이후 시절을 만나 상황에 맞게 그때그때 표변해버리는 인간들의 군상과 달리 혁명 전이나 도중이나, 혁명이 끝나고나서도 결코 변하지 않는 의지를 굳건하게 지키는 인간들의 만남이 오히려 역경을 거쳐가며 승리하는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쑨-자오-허가 만드는 사랑의 트라이앵글의 결론에 관해선 절대 이야기할 수 없는 건 물론이다. 내가 말할 수 있는 오직 하나의 것은, 다이 호우잉, 다른 건 모르겠고 그가 글 속에서 엄정한 인간들이 만들어가는 반듯한 사랑, 그건 어느 작품에서보다도 건강하다는 것. 게다가 주로 사회주의 국가들에서 만들어내는 (찍어내는?) 소설에서 가끔 보이는 생경한 커플들, 그들이 누리는 사랑에 대하여 단 한 번의 회의도 없고 반성도 없으며 과거를 돌아보며 혹시 있었을 오해의 여부에 관한 심사숙고도 없는 그런 무대뽀 사랑, 그런 무대뽀 식 운동의 고양, 무대뽀를 능가하는 투쟁은 다이 허우잉의 글 속에선 없다.

 참 아쉬운 건, 그가 환갑상還甲床도 받지 못할 정도로 명이 짧았다는 거. 한 십년만 더 살았더라도 중국 현대문학에 그가 뿌린 자양분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