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사등 / 기항지 - 원본비평연구 민족문학사연구소 정본총서 3
김광균 지음, 배선애 엮음 / 소명출판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14년 개성 출생. 그런데 놀라지 마시라, 열세 살인 1926년에 중외일보에 <가신 누님>을 발표했고, 열일곱 살 땐 동아일보에 <야경차夜警車>를 발표하면서 두각을 나타냈다. 스물다섯 살, 1938년에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설야雪夜>가 당선하면서 정식 시인의 칭호를 얻었으니 시에 관해서는 무척 조숙했다. 이어 스물여섯에 첫 번째 시집 《와사등》을, 해방 후인 1947년에 《기항지》를 낸 후 1952년부터는 동생의 사업을 이어받으면서 거의 시단에서 떠나다시피 했다 한다. 이 두 시집의 대표작들을 ‘원본비평연구’한 시집이 오늘 읽은 《와사등/기항지》다.
  내가 고등학교 다닐 때 예비고사, 본고사 시험문제로 현대문학에 관해서는 거의 나오지 않아 시 읽기를 소홀히 했을 거 같았지만, 국어 교사들께서는 그렇기 때문에 다음에 나올 확률이 많다고 학생들을 무지하게 때려잡으며 현대시 공부를 시켰는데, 김광균, 김광섭 비슷한 시인들의 작품은 예외였다. 그래서 그냥 이름만 알고, 소위 ‘이미지즘’이란 장르로 기억하고 훅, 넘어갔다. 이런 시인들 가운데 생각나는 사람들이 <논개>의 변영로,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 김춘수, 또 누구누구가 있었지만 너무 오랜 세월이 지나 기억나지 않는다.
  일단 시를 읊어보자. 맨 처음에 나오는 시 <오후의 구도(構圖)> 2연.


  천정(天井)에 걸린 시계는 새로 두 시
  하―얀 기적 소리를 남기고
  고독한 나의 오후의 응시(凝視) 속에 잠기어 가는
  북양항로(北洋航路)의 깃발이
  지금 눈부신 호선(弧線)을 긋고 먼 해안 위에 아물거린다.



  이어서 두 번째 시 <해바라기의 감상(感傷)> 2연


  보랏빛 들길 위에 황혼이 굴러 내리면
  시냇가에 늘어선 갈대밭은
  머리를 흩트리고 느껴 울었다.



  천정에 걸린 시계가 새벽 두 시를 시보하고 있는데, 잠을 이루지 못하는 나는 무엇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일까. 새로 두 시가 새벽 두 시, 맞지? 맞을 거다. 댕, 댕, 괘종시계의 시보를 하―얀 기적 소리라고 치고, 그럼 고독한 나의 사색 또는 ‘오후의 응시’가 ‘북양항로의 깃발’, 먼 수평선에서 크게 원호를 이루는 저 먼 먼 선박으로 향한다는 말씀? 아니어도 좋다. 아니면 어떤가. 그냥 뜻 없는 시어들이 모이고 모여 ‘고독한 나’가 방에 누워 사색에 잠긴 이미지 하나만 독자가 읽어주면 시인으로서는 만족할지도 모른다.
  두 번째 시에서는 한없는 은유의 아름다움. 보랏빛 들길 위에 황혼이 글쎄 굴러 내린단다. 이 때를 맞추어 시냇가에선 갈대들인 또 머리를 흩뜨리고 느껴 운다니. 김광균이야 뭐 애초부터 은유와 직유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시인인 걸 새삼스럽게 이 정도로 감탄하기는 이르다.
  그런데 나는 소위 ‘이미지즘’이란 것이 시인의 심상의 모습 말고 사물을 마치 한 장의 사진처럼 딱 찍어 놓은 듯한 회화적 이미지로도 읽었다. 사실 김광균의 시집은 처음 읽는 것이고 이전엔 조카 교과서에서 하나 정도 ‘설핏’ 읽었을 뿐으로 다소 생소했으나 이 시집을 읽으면서 아, 내 스타일, 다리를 치기도 했으니,



  동화(童話)



  내려 퍼붓는 눈발 속에서
  나는 하나의 슬픈 그림자를 찾고 있었다.


  조각난 달빛과 낡은 교회당이 걸려 있는
  작은 산 너머
  엷은 수포(水泡) 같은 저녁별이 스며 오르고
  흘러가는 달빛 속에선 슬픈 뱃노래가 들리는
  낙엽에 쌓인 옛 마을 옛 시절이
  가엾이 눈보라에 얼어붙은 오후.


  이 시는 두 편으로 구성된 <향수의 의장(意匠)>의 두 번째 편인데, 시인이 찾고 있던 슬픈 그림자를 낙엽이란 추억에 싸인 옛 시절의 얼어붙은 오후라는 회상 속 사진 또는 그림이라는 이미지에서 찾은 것은 아닐까 싶었다. 이런 그림 또는 사진 한 장은 <외인촌(外人村)>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1연만 인용해보자.


  하이한 모색(暮色) 속에 피어 있는
  산협촌(山峽村)의 고독한 그림 속으로
  파―란 역등(驛燈)을 달은 마차가 한 대 잠기어 가고
  바다를 향한 산마루 길에 우두커니 서 있는 전신주 위엔
  지나가던 구름이 하나 새빨간 노을에 젖어 있었다.



  김광균의 시를 읽어보니 현대 시인이라면 그다지 즐기지 않을 단어인 ‘고독’, ‘슬픔’, ‘울음’ 같은 것들을 서슴지 않고 사용하고 있는데 그게 전혀 흉하지 않다. 아니다, 내가 읽기에 흉하지 않다. 전문가들의 시선을 모르겠고. 흉하기는커녕 한 컷의 사진, 한 장의 그림의 분위기를 이미 충분히 묘사했음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그런 분위기, 이미지로 애초에 단정하는 단어로 읽히기까지 한다. 시집 《와사등》이라면 대표시가 <와사등>이라 이 작품을 소개해주기 바라시겠지만, 대표시를 소개하면 출판사에게는 여지없이 큰 실례를 하는 것이라 안 되겠고, 이미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그래서 오히려 <와사등>을 젖히고 김광균의 대표 시로 알려져 있는 <추일서정(秋日抒情)> 전문을 읽어보자.



  낙엽은 폴―란드 망명정부의 지폐
  포화(砲火)에 이즈러진
  도룬 시의 가을 하늘을 생각케 한다.
  길은 한 줄기 구겨진 넥타이처럼 풀어져
  일광(日光)의 폭포 속으로 사라지고
  조그만 담배 연기를 내어뿜으며
  새로 두 시의 급행차가 들을 달린다.


  포플러나무의 근골(筋骨) 사이로
  공장의 지붕은 흰 이빨을 드러내인 채
  한 가닥 꾸부러진 철책(鐵柵)이 바람에 나부끼고
  그 우에 셀로판지(紙)로 만든 구름이 하나.
  자욱―한 풀벌레 소리 발길로 차며
  호올로 황량한 생각 버릴 곳 없어
  허공에 띄우는 돌팔매 하나.
  기울어진 풍경의 장막 저쪽에
  고독한 반원(半圓)을 긋고 잠기어 간다.



  세상에 이렇게 자유롭게 은유와 직유를, 심지어 거칠게 사용할 수 있다니. 뭐 요즘엔 이 시를 쪼개서 현미경을 통해 들여다보며 분석하고, 일률적으로 해석해가며 시험공부를 한다고 하니 학생들은 사십년 전이나 지금이나 불쌍하다. 그냥 읽으면서 좋으면 좋다, 아니면 아니다, 라고 단순하게 즐길 수 있으면…… 그게 요순시대라고?
  이제 내가 제일 잘 읽었던 시, 가장 공감했던 시를 소개한다. 그리고 이 시가 어떻더라, 라는 말없이 독후감을 끝낸다.



  반가(反歌)


  물결은 어데로 흘러가기에
  아름다운 목숨 싣고 갔느냐.
  먼―훗날 물결은 다시 되돌아오리
  우리 어데서 만나 손목 잡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