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사와 형리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123
프리드리히 뒤렌마트 지음, 차경아 옮김 / 문예출판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뒤렌마트는 두 권의 책을 통해 희곡만 세 편 읽었다. <노부인의 방문>, <과학자들>, <천사, 바빌론에 오다>. 그러다 <판사와 형리>가 재미있다는 얘기를 듣고 찜해두었고, 이번에 읽었다. 이 책은 단편소설 두 편이 실렸다. 내가 읽은 뒤렌마트 때문에 생긴 선입견으로는 상상도 못하게, 무려 추리소설이었던 거다. 표제작 <판사와 형리>는 유명매체에 의하여 죽기 전에 읽어봐야 할 책으로 선정되었다고 하는 뒤렌마트 최초의 추리소설이고, <혐의>는 시리즈를 염두에 두고 쓴(것 같은) 전작의 바로 후속 작품이다.
 먼저 이야기하고 넘어가야 할 것은, 나는 책을 사도 책 뒤편에 있는 간략한 소개 같은 건 절대 읽어보지 않고 무조건 본문부터 읽어나가기 시작한다. 그래서 <판사와 형리>를 중간까지 읽었음에도, 설마 뒤렌마트가 추리소설을 썼겠는가 싶어, 틀림없이 살인사건의 범인이 누구라고 확정하지 않고 독자들이 마음대로 생각하게 내버려둔 상태로 끝날 것이라고 단정했었다. 그렇다. 짐작이 아니라 단정斷定, 딱 잘라 판단해서 결정했다. 그러면 어떻게 되는 줄 아시나? 추리소설 읽을 때보다 훨씬 더 집중해야 하고 작품 속에 조금이라도 빈틈을 파고들기 위해 작은 단서라고 보이는 묘사를 전부 기억해야 되는데 그게 마음대로 될까? 그리하여 아예 처음으로 돌아가 노트 꺼내고 볼펜 꺼내서 수시로 메모해가며 읽는 상태, 이른바 주화입마에 빠지게 된다. 진짜다. 그러니 이 독후감을 읽어보시고 진짜로 유명한 작품 <판사와 형리>를 읽어보실 분은 나처럼 이상한 짓 하지마시고 애초부터 추리소설인 것을 아는 상태에서 편하게 읽으시면 되겠다.
 1908년 경 콘스탄티노플. 보스포루스 해협 근처의 지저분한 유대 술집에 마주앉은 스위스 사람 한스 베르라하와 국적불명의 코즈모폴리턴1 가스트만이 마주 앉아 심각하게 인간 본성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기 시작한다. 인간존재와 완전범죄에 대하여. 철학적 논의 끝에 결국 의견의 합치를 보지 못한 두 사람. 이들이 헤어지기 전에 가스트만은 하늘을 걸고 내기를 하기에 이른다.
 “나는 자네 코앞에서 범죄를 저지를 것이며, 그리고 내 범죄를 자네가 입증하지 못하게 하리라!”
 ‘하늘을 건 내기’를 다른 말로 하면 ‘맹세oath’가 된다. 그가 맹세한 시점부터 가스트만에게는 악이 무슨 철학이나 이익을 취하기 위한 충동의 표현이 아니라 자신의 자유를 표현하는 수단이 되어버리고 만다. <판사와 형리>의 후속작인 <혐의>에서도 범죄는 허무를 행사하는 자유의지로 규정하는 바, 악의적 자유의지는 뒤렌마트의 추리소설에 대단히 중요한 요소로 기능하는 것 같다.
 이후 세월은 흘러흘러, 한스 베르라하는 콘스탄티노플과 프랑크푸르트에서 명수사관으로 성가를 높이다가 이제 고향인 스위스 베른에서 은퇴를 앞둔 경감으로 근무하고 있는 1948년 11월 3일. 트란바하 계곡 도로에 세워둔 푸른 메르세데스 안에서 정수리에 총을 맞은 베른 시경의 가장 능력 있는 형사 울리히 슈미트 경위의 시신을 순찰중인 산골 동네 경찰 알폰스 클레닌이 발견하고나서 기껏 한 짓이라고는 시체를 옆자리로 옮기고 직접 메르세데스를 운전해 베른 시경으로 가서 사망자의 상관 베르라하 경감에게 사건을 인계한 것뿐이다. 경감은 자기 보스 루치우스 루츠 박사에게 그저 마음에 둔 용의자가 있다는 말만 하고 현재 휴가 중인 찬츠 경위를 자신의 대리인으로 지목해주기 바란다는 요청을 해 이제 베르라하 경감과 찬츠, 이렇게 두 명이 사건을 해결해나가기 시작한다. 여기서 40년 만에 나타나는 등장인물, 가스트만. 피해자가 죽임을 당한 이름 없는 산악지역 아래 넓게 퍼진 평원에 자리잡은 저택의 주인이자 슈미트 경위가 죽은 당일 밤에 호화 파티를 연 인물. 나중에 밝혀지지만 슈미트 경위는 무보수로 뮌헨대학의 교수를 하고 있는 프란틀 박사라고 자기 신분을 속이고 가스트만의 파티에 참석했던 것으로 보인다. 사망 당시 외투 속에 연미복도 입고 있어서 그리 생각하는 것이 당연하기도 하고. 그러나 경찰의 신분으로 행동한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사적인 목적으로 가스트만의 저택에 잠입해 결국 죽음을 맞았다고, 모든 독자들은 생각할 수 있는데, 문제는 상당히 진도가 나갈 때까지 우리의 주인공 베르라하 경감과 가스트만 사이의 악연에 대하여 모르고 있다는 점. 자, 이 독후감을 읽으신 분들은 이제 누가 슈미트 경위의 정수리에 권총을 발사했는지 감이 잡히시겠지?
 하지만 작가가 다른 사람도 아니고 프리드리히 뒤렌마트다. 이이가 그렇게 쉽게, 마치 20세기 초 영국의 탐정소설 작가들과 비슷하게 결론을 내릴까? 가스트만이 40년 전에 맹세한 것, 경감의 코앞에서 저지를 범죄를 결코 베르라하가 입증하지 못하리라는 건 실현이 됐을까? 만일 그렇다면, 베르라하는 어떤 방식으로 가스트만의 맹세를 뒤집을 수 있을까. 그리고 뒤집었다고 해도 그게 반드시 베르라하의 승리로 볼 수 있을까? 그러나 이건 일반적으로 잘 쓴 범죄소설, 추리소설의 경우의 결론일 것이고, 뒤렌마트의 <판사와 형리>와 2차 세계대전 당시 유대인, 공산주의자, 집시를 가둔 수용소 안에서 마취 없는 수술을 집행했던 고문torture광 넬레 박사를 다룬 <혐의>에서 작가는 특정 범죄행위보다는 사람 혹은 미치광이가 어떤 의식으로 범죄를 저지르는지에 더욱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혐의>에서 뒤렌마트는 내가 좋아하는 작가 알베르 코엔을 읽는 것처럼 화려체와 강건체를 혼합해 범죄의 당연성을 웅변하는 미치광이 집단들의 성명을 발표하는데, 아, 그만 껌벅 넘어갔지 뭐야. 뒤렌마트의 희곡만큼 좋더라, 라고 말하기는 힘들어도 매우 색다르고, 색다른 만큼 재미있는 추리소설이다. 요새 말로 "짱"이다. 이이는 어쩌자고 쓰는 작품마다 이리 매력이 있는 걸까. 나는 얼른 뒤렌마트의 다른 책 한 권을 골라놓았다.


 

  1. cosmopolitan의 표준말이 ‘코즈모폴리턴’이란다. 여태 ‘코스모폴리탄’이라 썼다. 우리말 참 어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