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맥티규
프랜크 노리스 지음, 심규세 옮김 /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 2000년 3월
평점 :
프랭크 노리스의 <맥티그>는 미치너의 <소설> 속에서 편집자와 작가인지 평론가인지와의 재미있는 대화에 주제가 되는 작품이다. 지금은 한국외국어대학 출판부에서 <맥티규>라는 제목으로 번역해 내놓았지만 조만간 다시 번역할 충분한 이유가 있는 작품으로 생각한다. 저자 노리스는 1870년에 시카고에서 태어나 캘리포니아로 이주한 유복한 사업가의 자제로 그림을 잘 그려 프랑스 파리로 유학을 갔는데 엉뚱하게도 ① 세계 회화의 중심지 중에서도 중심지 파리에서 화가가 되겠다는 꿈을 접고 소설 쓰는 것으로 직업을 바꾸었지만, ② 파리에서 무엇을 했는지 어쨌든 그의 대표작인 <맥티그>를 읽어보시면 즉각 아시겠으나 노리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친 에밀 졸라는 정작 다시 미국으로 귀국해 캘리포니아 대학을 다닐 때 처음 읽었다는 거다. 작가 소개를 읽어보면 흥미로운 구절이 나오니, “Norris는 놀라우리만큼 잘 생겼으며 자신의 뜻이 강했고 조숙한 재능을 타고났었다.” 뜻이 워낙 강해 신문 통신원으로 근무하다 남아프리카로 파견을 나갔다가 영국의 트란스발 침공 때 보어 공화국 정부로부터 추방되기도 했단다. 하여간 소설 <맥티그>와 <문어Octopus>를 쓰고 명성을 얻었지만, 놀라우리만큼 잘 생긴 노리스는 불과 서른두 살 때 복막염에 걸려 갑자기 숟가락을 놓고 만다.
이 책은 본문이 1 페이지부터 시작해 270 페이지로 끝나지만, 읽기가 쉽지 않다. 놀랍게도 크라운판이다. 가로 176mm 세로 248mm. 주문제작한 내 책꽂이에는 들어가지도 않는다. 그게 다가 아니라 한 줄에 200자 원고지 기준으로 47자, 원고지 두 줄 반이 들어가고, 한 페이지가 무려 33줄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게 편집하기 위해 당연히 글씨체가 보통의 책보다 작아 처음엔 적응이 잘 안 된다. 눈 침침한 세월을 사신 분은 아쉽지만 다른 번역본이 나오기를 기다리시는 편이 만수무강에 도움이 될 듯.
책의 내용은 완전히 에밀 졸라의 루공-마카르 총서 한 권을 읽는 것 같다. 미치너의 <소설>에서도 언급이 되었듯이 <목로주점>의 몇 컷은 틀림없이 참고를 했고, 여자 주인공 트리나는 <인간짐승>의 파지 고모와 귀스타브 플로베르가 쓴 <보바리 부인>의 보바리 여사를 섞어 놓은 것처럼 읽힌다. 즉, 미국식 자연주의 소설의 끝판왕. 기껏 프랑스 유학을 보냈더니 거기선 읽지도 않은 졸라의 스타일로 샌프란시스코 중류 계급의 물신적 생활모습을 적나라하게 그렸다. 주인공 맥티그는 키가 6피트 2인치. 19세기 서양인치고도 대단한 거구이며, 어려서 탄광에서 탄차 미는 일을 해 몸 자체도 무시무시한 완력을 지원해주는 근육질이다. 평생 탄광에서 썩을 것 같아 어머니가 지긋지긋한 탄광촌에서 벗어나라고 어려서 탄광촌에 굴러들어온 돌팔이 “야매 치과의사”의 도제로 보내버린다. 그래 새크라멘토를 거쳐 샌프란시스코에서 아무 생각 없이 대를 이은 야매 치과를 개업해 무려 십여 년 동안 치과를 운영해가며 대외적으론 치과의사이자 ‘맥티그 박사’라는 타이틀로 불리고 있는 인물이다. 자신 스스로 단 한 번도 자기가 박사라는 얘기를 해 본 적이 없었건만 어찌어찌하여 환자들과 주민들은 그를 박사라고 공경하고 있으나, 정작 자신은 치과대학은커녕 ‘대학’이라는 게 어떤 일을 하는 곳인지도 모른다.
평소 활발한 활동과 거리가 먼 거구의 매티그에겐 유일한 절친이 한 명 있다. 누군가하면, 생사를 함께할 정도로 밀접한 마커스란 친구, 마커스는 매티그와 달리 활동적이고 눈치가 빤하며 출세 지향적이지만 돈 좀 생기면 남부로 가 목장을 운영하며 카우보이 비슷하게 살 꿈을 가진 인물이기도 하다. 마커스는 저 위에서 말한 여주인공 ‘트리나’라는 사촌 아가씨를 은근히 연모하는 상황이기는 하지만 맥티그보다는 넓은 사교범위를 가지고 있는 그는, 그네에서 떨어지는 바람에 이가 부러진 트리나를 치료하며 사랑이 움튼 맥티그에게 기꺼이 트리나 아가씨를 소개해 결혼에까지 이르게 해준다. 딱 여기까지가 해피 스토리.
위에서 얘기했듯 졸라의 <목로주점>과 <인간짐승>, 그리고 플로베르의 <보바리 부인>을 섞어 놓은 듯한 작품이 해피 엔드면 이야기가 되겠어? 그래 불행이 시작되는데, 언제나처럼 불행은 가장 행복할 때 그 씨가 뿌려진다. 약혼을 하고 결혼을 며칠 앞 둔 시점에 트리나가 돈을 그냥 버리는 셈치고 복권을 산 적이 있는데 그게 무려 오천 달러의 거금에 당첨이 되는 거다. 당시가 19세기. 오천 달러가 지금 돈으로 수십억 원대의 꿈같은 돈은 아니더라도 십억 원 가까이는 되는 거 같다. 게다가 당시 금리가 6% p.a. 수준이라니 한 달에 25달러의 연금을 받을 수 있을 정도. 그래 가만히 생각해보니, 마커스 입장에서 말이다, 자기가 트리나를 맥티그에게 넘기지만 않았어도 5천 달러는 결국 자기 것이 됐을 텐데, 괜히 오지랖 넓게 깝친 결과 곰 같은 맥티그 놈만 장땡을 잡은 거 아닌가 말이지. 이런 생각은 한 번만 하고, 술 한 잔 사라, 해서 한 번, 딱 한 번 술주정을 퍼부은 다음에 없는 걸로 해야 정상인데, 아직 세월을 덜 산 마커스는 그걸 평생의 실수를 넘어 심지어 5천 달러는 자기 것이란 이상한 셈법이 머리에 박히게 된다. 이게 점점 향상 발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잡아 맥티그의 앞날에 고춧가루를 뿌리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니 이 아니 비극의 씨앗일까.
여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어여쁜 트리나는 또, 나름대로 5천 달러가 하늘에서 뚝 떨어져 그걸 사업하는 삼촌에게 맡겨 한 달에 25달러씩 꼬박꼬박 이자를 받는데, 원금을 까먹는 일은 자기 생전에 없어야 할 것이라는 강박관념에 시달리게 된다. 그걸 넘어 원금을 불리려는 집착까지 생겨 마치 보바리 부인이 재미있는 것, 예쁜 것에 광적으로 몰두하듯이 5센트, 쿼터를 저축하기 위해 곰 같은 남편 맥티그를 계속해서 잡도리를 하는 지경에까지 이르는데, 이래서 과연 행복하겠어? 플로베르와 졸라가 동시에 잘 하는 것이 사건을 자연스럽게 극한으로 몰아가는 일. 행복의 순간으로 결혼식 만찬 장면이 나온다. <목로주점>에선 제르베즈 아줌마가 거위를 잡아 한 식구가 게걸스럽게 포식하는 유명한 광경을 묘사하는 거 기억하시지? <맥티규>에서도 통거위, 삶은 송아지 대가리, 구운 자도(자두) 같은 음식을 거덜내는 열광의 장면이 압권이다. 마찬가지로 불행과 비참의 순간 역시 기어이 끝장까지 다 묘사를 한다. 물론 19세기 식 끝장이니 지금 수준으로 보면 보는 사람에 따라 귀여운 수준이라 생각하실 수도 있을 터.
그럼 내용은 짐작하시겠지?
다만 심규세 선생이 이 책을 번역한 다음에 세월이 많이 흘렀다. 그래 낡은 표현과 단어들이 많이 눈에 띄어 별점 하나를 뺐다. 미국 문학사에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이런 훌륭한 책은 이제쯤 새로운 역자에 의해 새롭게 번역되어 나오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