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제의 여인들 ㅣ 인문.외국학도서 23
아시아 제바르 지음, 김정숙 외 옮김 / 배재대학교출판부 / 2006년 12월
평점 :
아시아 제바르가 쓴 <프랑스어의 실종>을 읽고 단박에 검색해 구입한 책. 생각도 못했다. 제바르가 여성이란 건. 그것도 무슬림 여성이 정치색이 매우 짙은 <프랑스어의 실종> 같은 책을 썼단 것에 어찌 놀라지 않을 수 있었겠나. 그래 검색해보니 1936년 알제리 태생으로 현재 뉴욕대 불문과 교수란다. 책에서 얼핏 나오는 것처럼 알제리 국비 유학생으로 프랑스에 유학해 불문과 박사를 한 모양이다. 그렇구나. 그래서 히잡을 벗고 프랑스어로 알제의 여인들의 과거와 현재에 관해 자유롭게 쓸 수 있었겠다.
내가 읽기로는 <프랑스어의 실종>만큼 단편집 <알제의 여인>도 좋은 책 같다. 책은 크게 “오늘”과 “내일”이란 두 분류로 되어 있고, 1부는 두 편, 2부는 네 편, 그리고 “후기” 형식의 짧은 글 <금지된 시선, 끊어진 목소리>로 구성된다. 대표작은 당연히 “오늘”의 첫 번째 작품인 <처소에 있는 알제 여인들>.
알제리는 1962년에 독립한다. 7년의 독립전쟁과 무수한 인명의 살육과 다른 나라로의 피난을 희생물로 바쳐야 했다. 전쟁은 주로 남성들에 의해 수행된다. 제바르도 책에서 말한다. 전쟁지역에서 강간은 전쟁의 한 과정이라고. 절대무력이 최고 가치인 현장에서 성의 평등을 외치는 건 의미가 없다. 반대로 평화가 정착된 곳에서 한 성의 우위를 주장하는 것보다 바보 같은 짓도 없다. 그래서 모든 차별을 반대하는 사람은 필연적으로 반전주의자가 될 수밖에 없는 거다. 그런데 전쟁 중에, 알제리, 좁게는 알제리의 수도 알제에서는 여성 투사가 존재했단다. 그들은 자신의 몸에 폭탄을 두르고 남성 투사들은 접근하기 힘든 적진에 잠입해 자신의 몸과 함께 몸에 두른 폭탄을 터뜨려 적을 살상했다고 한다. 폭탄과 무기를 운반하는 일도 여성의 몫이었단다. 그러나 관습과 종교는 여전히 여성에게 작은 권리도 부여하지 않았고, 여성들은 집 안의 하렘 안에 유폐되지는 않았지만 곳곳에 투명한 벽을 막아 놓은 곳에서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았다.
이 매력적인 <알제의 여인들>은 배재대학 출판부에서 2006년에 냈다. 대학 출판부에서 나온 책은 일반적으로 무수한 각주 또는 후주가 달려있거나(아 지긋지긋했던 <켄터베리 이야기>여!), 흥미보다는 원작에 대한 학문 편향적(재미없이 읽은 <니벨룽겐의 노래>)이지만, 책 하나는 정말 잘 만든다, 라는 것이 여태까지 쌓아온 선입견이었다. 근데 이 책은, <프랑스어의 실종>을 읽어보셨으면 아시겠지만 제바르가 결코 어렵게 글을 쓰는 사람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좀 어렵게 우리말로 옮겨놓은 건 아닌가, 의심할 수밖에 없는 것이 첫 번째 불만이고, 그 다음이 교정 교열이 대학 출판부에서 나온 것으로 보기는 좀 그런 수준이다. 그래서 별 하나 뺐다. 이 책에 배재대 출판부가 한 공헌은 우리나라 최초로 알제리 작가를 소개했다는 데 있다. 본문이 56쪽밖에 안 되는 <처소에 있는 알제 여인들>을 읽는데 한 나절이 걸리게 하면, 이건 출판사에 문제가 있는 거 아닌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제바르의 진짜 모습을 알기 위해서라면 이 책의 일독은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