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칠드런 액트
이언 매큐언 지음, 민은영 옮김 / 한겨레출판 / 2023년 5월
평점 :
왜 제목을 “칠드런 액트”라고 했을까. 그냥 “소년법”이라고 하면 좀 촌스럽나?
59세, 조금 있으면 60세 생일을 맞을 피오나와 잭 메이 부부에게 난데없이 파도가 몰아친다. 잭에게 멜러니라는 이름의 젊은 여자가 생긴 것. 나이가 들고 고등법원 판사인 아내가 워낙 바빠 건조한 사랑의 단계에 접어든지 벌써 오래. 잭은 아직 열락과 흥분을 필요로 하는 반면 피오나는 샤워실에서 스스로의 알몸을 비춰보면서 자신에게 흥분을 느낄 남성은 세상에 한 명도 존재하지 않을 것임을 알고 있다. 잭은 여전히 피오나를 사랑하지만 내세가 있다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에, 결혼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멜러니를 통해 열락과 흥분을 즐기고 싶다고 과감하게 고백해버렸다. 이 상태를 묘사하는 몇 페이지, 참 재미있다.
추석을 맞아 아이들이 와서 밥상 앞에서 이 이야기를 했다. 여든 넘어서도 소위 열락과 흥분을 원하는 사람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 노년에도 그런 상태를 유지하는 건 저주받은 일이라고 의견을 같이 했다. 잘 생긴 이성을 보면서도 흥분하지 않는 단계가 되면 세상이 건조한 대신 얼마나 편한 줄 모른다. 근데 그 나이가 돼서까지 습식 사랑(열락과 흥분)을 원하면, 게다가 잭 메이 선생처럼 그걸 만족시킬 대상이 적법하지 않거나 대상 자체가 없는 노인이면 얼마나 불행하겠는가. (이야기가 좀 더 심화 확대되어) 가족은 공창제도의 긍정적인 면을 조명했으며, 아내는 어떤 매춘부의 경우 주로 노인과 장애인들에게만 성 매매를 한다면서 인도적 견지에서 공창제도에 찬성 의사를 표명하기도 했다.
어쨌거나 이런 황당한 이야기를 들은 피오나 메이 판사는 곧바로 남편 잭 메이 교수를 내쫓아버린다. 어, 이러다 멜러니한테 진짜로 가버리는 거 아냐, 후회하면서. 이러니 골이 지끈지끈 아픈 건 당연하겠지. 딱 이런 상태에서 법원 당직 서기한테 전화가 걸려온다. 긴급을 요하는 판결 건이 병원으로부터 접수되었다고.
만 17세 9개월짜리 청소년. 석 달 차이로 아직 칠드런 액트, 즉 소년법을 적용받아야 하는 애덤이란 소년이 긴급 백혈병에 걸려 입원치료 중인데, 사흘 안에 혈액을 투여하지 않으면 사망. 극적으로 치료가 잘 되어 만일 산다고 해도 눈이 멀거나, 폐에 피가 차거나, 평생 혈액투석을 해야 하거나, 급성 뇌졸중으로 식물인간이 될 확률이 많단다. 문제는 환아 애덤과 그의 부모인 헨리 부부조차 수혈을 강하게 거부하고 있는 것. 1945년, 뉴욕 브루클린의 한 건물에서 성경의 몇 귀절을 해석하다가 전 신도에게 수혈을 거부할 것을 명령한 여호와의 증인 교도였던 거다. 그래 사안이 화급하니 당장 내일 오후에 첫 번째 심리가 열겠다고 재판 당사자에게 통보하라 하면서 소설은 본격적인 줄거리를 잡아간다.
가뜩이나 철없는 남편 때문에 골 아파 죽겠는데 하필이면 이때 당직이라 골치 아픈 결정을 해야 하는 피오나. 병원 측은 위에서 쓴 것과 같이 만일 수혈을 하지 않을 경우 가까운 시간 안에 벌어질 일들을 설명하며 병원에게 환자와 환자의 보호자 의견과 관계없이 수혈할 수 있는 권한을 달라고 요구하고, 인권과 신념과 개인의 결정권을 들어 수혈을 거부하는 환자와 보호자. 이들 사이에 치열한 논쟁이 벌어진다. 마그나카르타의 나라 영국 가정법원 판사 피오나 메이는 환자가 수혈을 거부하고 있는 것이 소년 스스로, ‘진정한 의미에서’ 스스로 그렇게 결정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심리를 중단시키고 직접 병원에 방문해 한 시간 가량 애덤과 대화를 나누게 된다. 대화뿐이랴. 마침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한 애덤의 반주로 노래도 하나 한다. 예이츠의 시 <버드나무 정원을 지나>에 벤저민 브리튼이 곡을 붙인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