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렉산드로스 대왕 ㅣ 니코스 카잔차키스 전집 15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민승남 옮김 / 열린책들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이제 카잔차키스는 그만 읽어야겠다. 다만 <그리스인 조르바>를 나중에 시간 나면 한 번 더 읽던지 하고.
전에 읽은 <크노소스 궁전>이 정말로 테세우스와 미노타우로스 이야기이고, <성 프란체스코>가 정말 '아시시의 프란체스코'의 일생을 적은 것처럼, <알렉산드로스 대왕> 역시 진짜 위인전이다. 돌아가시는 줄 알았다. 어려서 정여사께서 사주신 위인전, 얼마나 읽기 싫었는데 이제 나이 들어 새삼스레 위인전? 그것도 서른세 살로 죽을 때까지 그냥 남의 나라 쳐들어가기에 여념이 없었던 침략자에 불과한 알렉산드로스를 영웅으로 칭하는 것을? 아이고 머리야. 이 양반 죽은 다음 한 삼백여 년 흐르면 서른세 살 먹은 또 다른 한 청년이 등장하여 세상 사람들의 모든 죄를 대신 짊어지고 죽었다가 죽은 지 사흘 만에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오지 않는가 말이다. 그런 젊은이라면 혹 몰라도 한 명의 침략자를. 흠.
알렉산드로스 왕 아시지? 일찍이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시발이 됐던 지금의 알바니아 바로 오른쪽 옆에 붙은 산동네이자 불가리아 왼쪽의 조그만 나라, 마케도니아. 알바니아와 더불어 근대사 이후 숱한 전쟁의 싸움터가 되어 변변하게 남아있는 유적도 별로 없는 구 유고슬라비아 지역. 혹시 몰라 부언하자면, 지금의 마케도니아 사람들과 알렉산드로스 왕 시절의 인종은 조금 다르다는 거. 혹시 모른다, 완전히 다를지도. 지금은(아니, 1차 세계대전 훨씬 이전부터) 소위 슬라브 체인이라 일컫는 남 슬라브계 사람들이 대다수 또는 거의 전부를 차지하지만 카잔차키스가 쓴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절에는 (지금은 흔히 라틴 계열을 일컫는 그리스,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종족의 무리로) 스스로를 완벽한 그리스 인이라 여겼으며, 자신들을 야만인이라고 비하하는 아테네의 웅변가 데모스테네스에게 야유를 보낼 정도였다. 그들은 남쪽 그리스 사람들보다 더 검소했고, 부지런했으며 용맹스러웠다. 그럴 수밖에. 산악지역이라 뭐 먹을 게 있어야지. 당연히 한창 시절의 스파르타를 능가하지는 못했겠지만 이미 스파르타는 늙은 귀족 여인처럼 힘은 다 빠지고 자존심만 남은 처량한 신세. 그러니까 한 마디로 마케도니아와 필리포스와 그의 아들 알렉산드로스가 시기를 잘 만난 거다. 3차에 걸친 페르시아전쟁과 펠로폰네소스 전쟁으로 피폐해진 그리스에 마지막으로 테베가 왕초를 먹고 있었는데 거기도 심한 내분으로 비실거리고 있었으며, 페르시아 역시 왕위 계승을 둘러싼 고질적인 내전으로 크세르크세스 시절 같은 위엄을 지니고 있지 못했으니, 이른바, 아니, 이렇게 얘기해도 좋은지 모르겠지만, 틈새시장? 혹은 블루 칩? 하여간 이 비슷한 것이 생겼거나 가능했다는 완전 아마추어의 의견.
동양에서 가장 유명한 말horse은 동탁, 여포, 조조의 손을 거쳐 관우가 죽을 때까지 타던 적토마, 서양에선 열다섯 살 먹은 알렉산드로스 왕자가 누구도 길들이지 못한 완전 검은색의 커다란 야생마를 만인이 보는 앞에서 옷을 훌렁 벗고 올라타더니 질풍처럼 들판을 질주했던 부케팔로스. 근데 16세기 화가 프란체스코 프리마티초는 그림 <부케팔로스를 길들이는 알렉산드로스>에서 왕자는 옷을 근사하게 입었고, 말도 백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