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갱스터/린치핀>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린치핀 - 당신은 꼭 필요한 사람인가?
세스 고딘 지음, 윤영삼 옮김 / 21세기북스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에서 가장 좋은 점과 부분을 꼽으라면 충분한 동기 부여와 전반주 1/3을 말하고 싶다.  

세스 고딘은 누구나 하기 껄끄러운 이야기를 거침없이 이 책을 통해 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노동자는 톱니바퀴와 같은 소모품이며, 체제 순응적인 사람을 기르기 위해 교육과 많은 것들이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는 점이다. 

이 점을 적나라하게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학부시절, 의대생들이 가득찬 해부학 수업에서 '너희들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체제 순응적인 아이들이다'라는 말을 들었을때 일종의 모멸감과 반항심을 느꼈던 기억이 있다. 

지금까지도 내 뇌리에 선명하게 남아있던 교수님의 말씀은 그 이후로 나를 줄곧 괴롭혔고, 결국 인정하고 나를 인지하고 바꾸기 위해 노력해왔다. 

어쩌면 그때의 정신적 충격은 내가 사고하고 사회를 바라보는 방식에 큰 영향을 주었을지 모른다는게 이 책을 읽고, 서평을 쓰며 느끼는 감정이다. 

다시 책으로 돌아와서, 이 책은 적나라하지만, 바로 그 뼈저린 사실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일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동기부여에 열중한다. 

린치핀이 되어야 하는 당위성, 이 책을 읽게 되면 당연하게 해야한다는 생각이 들거라 믿는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자기계발서를 많이 읽지 않았거나, 뭔가 현재 불만을 느끼고 있는 사람에게 일독을 권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다양한 자기계발서를 읽었던 사람에겐 예화는 신선해도, 내용은 식상하게 느껴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이 책의 장점을 요약하자면, 

1. 세스 고딘만의 특징이 잘 살아있다.(그는 훌륭햔 자기계발서 저자라고 생각한다) 

2. 린치핀에 대한 설명과 그들의 특징, 그리고 린치핀이 되어야 하는 당위성에 대해 충분하고 깊게 설명하고 있다. 

3. 읽고 나면, 스스로를 돌아보고 이 사회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도 나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무엇보다 스스로를 다잡는 마음을 먹게 된다. 

이정도면 이 책을 읽을만할거 같지 않은가?  

자 이제 단점이다. 

1. 앞서 언급했다시피, 일부 독자들은 식상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그래서 어쩌라고? 라고 외치게 됩니다. 린치핀이 되어야 하겠는데, 구체적인 방법이나 뭘 준비해야할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합니다.  
예를 들어, 인간 관계나 일의 예술적 성향에 대해서는 충분한 설명이 되어지나 그 외에서는 좀 한계가 있는 설명입니다. 각개전투해야할 부분입니다. 
아울러, 린치핀이라는 설정 자체가 조직을 가정하는 부분이 있어, 일부 모순되게 느껴지는 부분도 좀 있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한번쯤 볼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자세한 내용들은 스포일러이기 때문에, 직접 일독을 하시며 확인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