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딸기 > 만델라의 연설문 (3)

만델라 법정진술 뒷부분. 사회주의권 국가들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은 것에 대해 정권이 이데올로기 공세를 가할 것을 우려, ANC의 자금 문제를 해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진술의 마지막 부분은 만델라가 생각하는 '인종주의를 넘어선 이상'을 설명하고 있다. 이른바 백인 '민족주의' 정권은 숫적으로 우세한 아프리카인(흑인)들에 대해 엄청난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이들의 공포는 또다른 '공포정치'로 이어졌다. 만델라는 철권통치를 휘두르면서 내면에서는 공포에 사로잡힌 백인들을 향해, "우리의 이상은 인종주의가 아니다"라고 담담히 말한다. 한 가지 피부색이 다른 색깔의 사람들을 지배하는 일은 이제 끝날 것이라고.

1994년 대통령 선거에서 만델라가 90%가 넘는 지지율로 대통령에 당선될 수 있었던 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첫째는 흑인의 수적 우세와 흑인들 사이에서 만델라에 대한 신뢰가 굉장히 컸다는 점, 둘째로 백인들조차도 '흑백 통합'이 갓 시작된 시기의 정치적 혼란을 수습할 인물은 만델라 밖에는 없음을 인정하고 있었다는 점.
만델라 정부는 집권 뒤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무지개 국가(Rainbow Country)'로 정의했다. 흑인, 백인, 흑백 혼혈계, 인도계, 중국계 등 다양한 '피부색'과 문화를 가진 집단들의 연방, 게다가 흑인들이라 해도 !쿵족(부시맨)과 같은 토착민과 14세기 이후 북쪽에서 도래한 반투족 등 여러 종족들이 섞여 있다. 남아공은 이렇게 다종다양한 '혼합집단'들이 모여 만들어진 국가임을 인정하고, 이 다양성을 발전의 토대로 삼자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 '무지개 국가'를 필두로 보츠와나 등 주변국가들이 공존공영하는 '아프리카 르네상스' 운동을 일으켰다. ('르네상스'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 운동??의 결과에 대해서는 다른 설명이 필요할 터이지만, 여기서는 생략.)

참고:

만델라의 이 법정 진술 원문은 여기(http://www.anc.org.za/ancdocs/history/rivonia.html) 에.
만델라의 biography는 여기(http://www.anc.org.za/people/mandela.html) 에.

 

+++

나의 생각은 서구와 동구 모두로부터 영향을 받아왔습니다. 그 모든 것에 힘입어 나는 정치적 타개책을 찾을 때 절대적으로 공정하고 객관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나는사회주의를 제외한 어떤 특정한 사회체제에도 얽매이지 않을 것입니다. 서구로부터도 동구로부터도 최상의 것을 차용할 수 있도록 나 자신이 자유로워져야 합니다. 우리가 외국으로부터 금전적 지원을 받았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우리의 정치투쟁이 언제나 내부의 금전적 지원으로 수행되어 왔다는 점, 즉 우리 동포와 우리의 지지자들이 모은 자금에 의해 운영되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습니다. 특별한 운동을 벌이거나 중요한 정치재판, 가령 내란음모사건 같은 재판이 있을 때마다, 우리는 우리에게 공감하는 서방 국가들의 개인과 조직들로부터 금전적 원조를 받은 바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런 자금 제공을 넘어서는 어떤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해본 적이 결코 없었습니다.

하지만 1961년에 '국민의 창'이 만들어지고 새로운 단계의 투쟁이 시작되었을 때, 우리는 그 투쟁이 우리의 빈약한 재원에 과중한 부담을 줄 것이며 부족한 자금 때문에 활동 규모가 제약받게 될 것임을 깨달았습니다. 내가 1962년1월에 해외로 나갈 당시 내렸던 지침들 중 하나는 아프리카 국가들로부터 자금을 모으는 것이었습니다. 덧붙여 말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내가 해외에 있는 동안 아프리카의 정치운동 지도자들과 토론을 하면서 당시까지 독립을 이루지 못하고 있던 지역의 지도자들은 거의 한 명도 빠짐없이 서방 국가 뿐 아니라 사회주의 국가들로부터도 온갖 형태의 지원을 받아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는 점입니다. 또한 우리가 잘 아는 몇몇 非공산국가인 아프리카 국가들이, 그리고 심지어는 반공산주의 국가들까지도 그와 비슷한 원조를 모두 받아왔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습니다.

정부는 흔히 남아프리카인들이 아프리카의 다른 나라 국민들보다 경제적으로 더 잘 산다는 식으로 비판에 답하곤 합니다. 그 말이 사실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그런 나라들의 생계비 지수를 고려하지 않은 채 과연 어떤 비교를 할 수 있을지 의심스럽습니다. 설령 그 말이 사실일지라도, 우리 아프리카 동포들에 관한 한 그 점은 부적절합니다. 우리의 불만은 우리가 다른 나라 사람들과 비교하여 가난하다는 것이 아니고, 바로 우리나라에 사는 백인들과 비교하여 가난하다는 것, 그리고 우리가 그러한 불균형을 시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법적으로 차단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아프리카인들이 겪고 있는 인간 존엄성의 상실은 백인 우월주의 정책의 직접적 산물입니다. 백인 우월주의는 흑인 열등주의를 내포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생각은 백인 우월주의를 지키기 위해 고안된 법률로 인해 더욱 확고해집니다.

아프리카인들이 원하는 것은 남아프리카 전체를 공유하자는 것 뿐입니다. 우리는 사회의 안정과 우리의 몫을 원합니다. 무엇보다 우리는 평등한 정치적 권리들을 원합니다. 그런 권리가 없다면 우리가 영원히 무력한 상태로 남아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나는 평등한 정치적 권리라는 이 말이 이 나라의 백인들에게는 혁명적으로 들릴 것임을 알고 있습니다. 흑인이 다수 유권자가 될테니까요. 바로 이 점 때문에 백인은 민주주의를 두려워합니다. 하지만 그들의 두려움 때문에 모두를 위한 인종적 조화와 자유를 보장해 줄 유일한 해답에 이르는 길이 가로막혀서는 안 됩니다. 모두에게 선거권을 부여하면 인종적 지배라는 결과를 낳을 거라는 추측은 사실이 아닙니다. 피부색에 바탕을 둔 정치적 구분은 그 모두가 인위적인 것이며 그것이 소멸하면 어느 한 가지 피부색이 다른 색을 지배하는 것도 끝이 날 것입니다. ANC는 인종주의에 맞서 싸우며 반세기를 보냈습니다. ANC가 승리한 후에도 그 정책은 변치 않을 겁니다.

ANC의 싸움은 바로 그런 것입니다. 우리의 투쟁은 진실로 민족적인 것입니다. 그것은 우리 자신의 고통과 우리 자신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아프리카 동포들의 투쟁입니다. 그것은 살 수 있는 권리를 얻기 위한 투쟁입니다. 나는 평생을 아프리카 동포들의 이 투쟁에 바쳐왔습니다. 나는 백인 지배에 맞서 싸워왔고, 흑인 지배에 맞서 싸워왔습니다. 나는 모든 사람이 동등한 기회를 부여받아 함께 조화롭게 사는 자유민주사회의 이상을 소중히 여겨왔습니다. 그것은 내 삶의 목적으로서 내가 삶 속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이상입니다. 하지만 필요하다면 기꺼이 나의 목숨을 바칠 이상이기도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