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지배자
크리스토프 바타이유 지음, 김정란 옮김 / 문학동네 / 1997년 12월
평점 :
품절


<시간의 지배자> 보고 나니, 전작 <다다를 없는 나라> 상당히 간박(簡朴)하다는 느낌이다. 간결한 문장 사이로 넓은 의미의 공간이 펼쳐지지만, 그건 징검다리와 비슷하다. 징검다리를 건너면서, 물에 발을 담그기도 하고, 자갈들 사이에 자리잡은 이름모를 물풀과 바삐 움직이는 물고기를 찾아보기도 하고, 산과 하늘에 눈을 돌리기도 하고, 바람소리와 새소리에 귀를 기울이기도 하지만, 다시 앞을 바라보면 거기엔 언제나 커다랗고 편편한 돌이 단단히 박혀있어, 나아갈 길이 있음을, 한발 한발 내딛다 보면 결국 건너편에 도착할 것임을 확신케 한다.

 

비교하자면, <시간의 지배자> 일정한 길이 없는, 게다가 무거운 안개마저 깔려있는 커다란 숲이다. 이쪽엔 잡초와 이끼만 무성하고, 걸음을 옮기면 갑자기 아름드리 나무가 빽빽하고, 저쪽엔 관목이 어지러이 춤춘다. 제멋대로 시선을 끄는 대상을 따라 이리저리 헤매다 보면, 많은 것을 보았는데, 숲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모를 하다. 부분으로만 파악할 있을 , 전체 모습은 잡히지 않는다.

 

북쪽 지방의 아름다운 공국 시테, 생명없는 항구에 의해 갇혀버린 도시. 시테에 관한 묘사는 이런 역설로 가득하다. 생명의 온기를 뿜어야 온실은 죽음과 쇠락의 냄새를 풍기고, 절대 권력자의 왕궁은 휑뎅그렁하니 스산하다. 어둡고 쓸쓸한 도시의 거리를 퇴폐적인 향락의 소리가 할퀴고 지나간다. 없는, 그러나 여행자들에게 열정을 심어주는 도시, 시테.

 

시테의 지배자 공자그 공작은 권력에도, 무엇에도 재미와 기쁨을 느끼지 못하고 여자들의 육체에만 파묻혀 자신을 잊고 지낸다. 살아갈 줄도, 사랑할 줄도 모르는, 권태에 빠진 남자. 온실, 도서관 이런 저런 흥미를 보이지만, 그의 정열은 순간만 지속될 이내 사그라든다. 왕궁의 시계를 관리하는 시간의 달인 아르투로는 거칠고 투박한데다 서투른 사람이지만 그에게는 일이 있다. 그는 시계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세계가 혼돈에 빠질 것이라는 믿음이 있고, 시계 앞에서는 절대적인 정확성을 추구한다.

 

공작이 아르투로에게 관심을 보인 것은 그의 절대적인 믿음과 열정이 낯설었기 때문일 것이다. 아르투로를 통해 세상과 만나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그러나 공작의 우정은 그가 살아온 방식만큼 비뚤어져 있다. 아르투로가 헬렌과 결혼하자 공작은 희망을 잃고 침묵에 빠진다. 우정도 사랑도 소유로 인식하고 있는 공작에게 헬렌의 존재는 훼방꾼일 뿐이다. 길을 잃은 공작의 소유욕은 아르투로와 헬렌의 로도이프스카에게로 이어진다. 비극적 결말.

 

바타이유의 문장은 여전히 아름답다. 그러나 <다다를 없는 나라>에서처럼 담백하다기보다는, 깊고 짙은 향을 내뿜으며 어지럽게 부유한다는 느낌이다. 그런 문장 자체가 시테를 더욱 아름답게 하고, 내게도 그곳에 관한 열정을 품게 한다. 그의 문장에 취한다. 스산하면서도 아름다운 시테가 사람들을 안에 품고 처연하게 쇠락해가는 모습을 아주 오랫동안 지켜본 하여 힘겹고 몽롱하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4-09-12 0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간박이 뭐죠?
그리고 사람 구미 당기게 써놓고 별점은 왜 그리 야박한지?

urblue 2004-09-12 0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간박(簡朴)은 간소하고 꾸밈없다,는 뜻이구요, 말이 맘에 들어서 언제 한 번 써봐야지, 하고 있었답니다. 별점은, 네개 줄까 세개 줄까 고민하다, 두번 읽게 만들었다는 것 때문에 그냥 세개. ^^; 말 안되나?

로드무비 2004-09-12 12: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 리뷰 읽고 코멘트 달아줘요.
어제 썼는데 블루님의 반응이 궁금.(그냥.)^^
예식장 가야죠?호호

2004-09-12 17:2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