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과 떨림
아멜리 노통브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몇 년 전 읽은 노통의 <오후 네 시>는 별 기억을 남기지 못했다. 읽는 내내 어떤 재미도 감동도 느끼지 못한 채, 그저 책 한권을 끝낸다는 기분으로 마지막 장을 넘겼다. 대개 어느 작가의 첫 작품이 그런 인상이면 다음 책으로는 절대 손이 가지 않게 되는 것은 물론, 아예 작가에 대한 관심도 끊어지게 마련이다. 그런데 묘하게도 노통에게서 관심을 거둘 수가 없었다. 다른 책을 골라들지도 않으면서 그의 새 책 소개는 빠짐없이 찾아보았다. 명민해 보이는 젊은 아가씨의 사진과 그 밑에 소개된 프로필이 매력적이었던 탓일거라고 생각해본다.

그러던 중 친구 집에서 <사랑의 파괴>와 <두려움과 떨림>을 발견했다. 그렇게해서 읽게 된 노통의 다음 작품은 내게 의외의 재미를 선사했다.

<두려움과 떨림>은 벨기에인 아멜리가 일본 회사에서 근무한 1년간의 일을 그리고 있다. 일본 사회에서 나타나는 수직적 인간 관계를 이보다 잘 묘사할 수 있을까. 흔히들 일본을 알려면 <국화와 칼>을 읽으라고 하지만, 그보다는 차라리 노통의 <두려움과 떨림>을 보는 편이 나을 듯 하다. 일본에 한번도 가보지 못한 저자가 전쟁 포로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의 결과물인 <국화의 칼>에서 말하는 일본은 다분히 추상적이라 실제 사람들의 생활상을 연상할 수가 없다. 하지만 경험을 바탕으로 했다는 <두려움과 떨림>은 일본의 사회적 경향과 사람들의 태도를 극단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오히려 사실감을 높이고 있다. 게다가 소설이므로 딱딱한 <국화와 칼>보다 훨씬 재미있게, 짧은 시간에 읽을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이 책의 진정한 재미는 일본 사회의 묘사에 있지 아니한다. 주인공 아멜리가 회사 내의 사람들에게, 혹은 자신의 업무에 대해 느끼는 온갖 감정들을 따라가다보면 어느샌가 큭큭거리며 웃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것이다. 과연 이런 상황에서 이렇게 행동할 수 있을까 의아해하는 것도 잠깐이다. 한가지 감정을 극단으로 밀어붙여 표현해내는 노통의 재기발랄함에 결국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을만한 상황에 처했을 때 이에 반응하는 인간의 모습을 놓고 이처럼 수준높은 유머를 만들어낼 수 있는 작가가 과연 얼마나 될까. 이건 노통만의 세계 인식이고 노통만의 표현 방법이며 그만이 가진 특별함이다.

<오후 네 시>를 다시 읽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