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리냐가 1 열린책들 세계문학 216
마이크 레스닉 지음, 최용준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유토피아에 대한 인류의 꿈은 인류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것이다. 어떤 이는 모두가 평등하게 살았다는 고대 사회를 이상사회로 생각하고, 다른 이는 아직 오지 않은 미래에서 기술 발전에 힘입은 또 다른 형태의 낙원을 꿈꾼다. 어찌되었건 유토피아에 대한 인류의 믿음과 시도는 태고적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끊이지 않고 있으며, 그런한 결과로 우리는 현대 자본주의에까지 이르러있다.

사실 유토피아란 모호한 개념이다. 모든 구성원이 행복하게 사는 사회라고 밖에 달리 표현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어떤 것을 행복이라고 느끼는가? 내가 느끼는 행복과 당신이 느끼는 행복은 다를 수 있다. 그것이 완전히 일치하기 위해서는 나와 당신의 생각과 가치 기준이 같아야 한다. 그런데, 인류 전체의 생각을 어떻게 하나로 통일시킬 것인가?

<문두무구>인 코리바는 '키리냐가'에서 키쿠유를 위한 유토피아를 건설했다고 믿는다. 물론 초기에 그곳으로 이주해간 사람들에게 그곳은 '완벽한' 유토피아임에 틀림없었다. 스스로 선택한 삶이기에 모두가 만족했고 행복했다. 그러나 그곳에서 태어난 후손들에게 '유토피아'의 의미는 다르다. 아이들이 질병으로 고통받으며, 주민들이 하이에나에게 잡아먹히는 사회가 완벽한 유토피아라고 믿을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대해 코리바는 모든 것이 '균형'의 문제라고 대답한다. 즉 인간만이 행복하게 사는 것이 아니라, 전체 자연이 적절한 조화를 이룰 때 진정한 유토피아가 완성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을 위해 인간은 많은 것들을 포기해야만 한다. 문자, 기계, 학문 등 현재까지 인류를 진보시켜 왔다고 믿어지는 모든 것들을.

따라서 코리바는 외부 세계로부터 키리냐가를 철저히 차단하고자 한다. 오직 키리냐가를 낙원으로 받아들이고 그곳에서 행복을 추구하게끔 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은 무엇보다 생각과 의지를 가진 존재다. 스스로 비교하고 선택하기를 원한다. 비교하기 위한 정보와 선택권 자체를 박탈당한 사람들에게는 낙원에서의 삶도 불합리하고 권태로우며 완전히 무의미할 수 밖에 없다. 이제 키리냐가는 더 이상 모두의 유토피아가 아니다.

그곳은 개개인의 생각과 삶의 방식을 '통제'하려고 하는 코리바 개인의 유토피아일 뿐이다. 자신의 유토피아를 지키려는 理想에 사로잡혀, 외부와의 모든 접촉을 차단한 채 '응가이'와 '문두무구'만을 믿으라고 외치는 코리바의 모습은 우리가 역사를 통해 익히 보아온 Big Brother들과 닮아 있다. 「유토피아에서도 사람들은 <생각을 하오>?」라는 주민의 질문은 이 '유토피아'의 본질을 그대로 드러낸다. 그리고 「그렇다」라고 대답한 순간, 코리바는 '자신의' 유토피아에 복구할 수 없는 균열을 만들고 만 것이다. 이제 키리냐가는 코리바에게는 디스토피아로 변질되었고, 다른 주민들에게는 새로운 유토피아의 가능성을 가진 땅이 되었다. 그는 자신이 건설한 유토피아에 대한 지울 수 없는 집착만을 간직한 채 키리냐가를 떠날 수 밖에 없다.

저자는 <키리냐가>를 통해 유토피아에 대한 많은 질문을 던지고 있다. 코리바가 선택한 유토피아가 과연 옳은 것인가, 혹은 다른 사람들에게도 유토피아일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쉽게 결론을 내릴 수 없다. 또한 모든 구성원의 자발적 동의에 이해 비로서 성립되는 유토피아가 과연 진정한 유토피아인가 하는 문제도 마찬가지다. 개개인의 의견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사회에서의 삶이 어떤지 우리들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것이다. 그럴 경우 강제적으로라도 동의를 끌어낸다면 그 사회는 곧바로 디스토피아로 전락하고 만다.

결국 우리는 '유토피아'라는 인류의 꿈이 얼마나 도달하기 어려운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가 얼마나 근접해 있는지 다시금 생각해야만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