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무엇을 타고나는가 - 유전과 환경, 그리고 경험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케빈 J. 미첼 지음, 이현숙 옮김 / 오픈도어북스 / 2025년 9월
평점 :



이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1. 본성과 양육, 무엇이 더 중요할까? 아니다. 이 질문은 틀렸다. 본성은 유전자가 아니고, 양육은 환경으로 구분할 수 없다. 여기서 저자는 이 논쟁의 판을 뒤집는다. 유전자의 지시가 동일하더라도 결과는 여전히 다를 것. 유전자와 발달 과정의 본질적인 무작위성을 인간의 선천적인 측면으로 보는 것이다. 유전자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분자 수준에서 상당 무작위성이 존재한다고 한다. 정말로 놀랍지 않은가. 우리가 흔히 이분법적으로 얘기하던 본성과 양육이란 주제를 더 복잡하고 명료하게 만들어준다. 유전자가 부여하는 건 확률이다. 이 책은 유혹적이지 않지만, 그만큼 경솔하지 않다. 뇌과학에 대한 지식을 탄탄하게 전달하고자 한다. 교양을 위해 추상적으로 알고 있던 뇌과학적 지식을 깊게 음미해볼 수 있는 기회였다.
2. 이 책은 흔한 베스트셀러처럼 매끈하지 않다. 오히려 논쟁적이다. 대중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과학적 오해에 대해 정면으로 맞선다. 생각해보면 자기계발서는 우리 인생의 모든 걸 바꿀 수 있다고 주창한다. 성공한 사람들의 기법들을 익히면 엄청난 성과를 얻을 수 있다면서. 이러한 과학적 배경으로 '신경 가소성'이란 개념을 주로 차용한다. 뇌의 구조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유연하다는 이론. 하지만 저자에 따르면 뇌의 유연함은 무한하지 않다고 한다. 어린 나이에는 가소성과 반응성이 높지만, 나이가 들수록 급격히 줄어들기도 한다. 어쩌면 비관적으로 들릴 수도 있지만, 우리는 이러한 진실을 직시하면서 문명을 이룩했다. 뇌 가소성으로 기대할 수 있는 변화의 범위는 제한적이다. 그는 미디어나 자기계발 산업에서 원하는 대답을 거절한다. 과장되나 왜곡된 지식에 비판적으로 바라보자. 저자의 이런 점이 마음에 든다.
3. 그는 '발달성 뇌기능 장애'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신경발달장애라는 용어로 단순히 심리적 증상이 아닌, 뇌 발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근본적인 유전적 결함으로 새롭게 보자는 것이다. 조현병의 50프로 이상, 자폐증의 80프로 이상은 유전적 요인이라고 한다. 이렇게 다양한 신경발달장애 환자들에게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특징을 종합해보니 놀라운 결과가 나왔다. 서로 다른 진단명으로 분류된 장애들이 실제로 동일한 유전적 변이에 의해 발생했을 수도 있다는 게 아닌가. 이는 현재의 진단 분류가 유전적 원인들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증상의 유사성이 아닌, 원인에 초점을 맞추자는 말이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은 혁신적이다. 이미 과학계가 쌓아놓은 지식만을 나열하지 않는다. 그래서 더욱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4. 유전학의 발전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사회적, 윤리적 문제는 무엇일까. 저자는 이러한 난해한 질문에도 회피하지 않는다. 유전자 편집을 통해 태아의 바람직한 특성을 선별할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지능과 같이 사회적으로 크게 인정 받는 특성을 선별할 수 있다면? 그는 이것이 새로운 형태의 우생학으로 변질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최근 생성형 AI가 발전하면서, 많은 이들의 직업이 사라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기술까지 고려하면 해결해야 할 철학적 딜레마는 매우 무궁무진하지 않을까. 이 책, 가볍지 않다. 하지만 감동적이었다. 어쩌면 위로 아닌 위로를 주기도 한다. 우리의 유전적 특성은 우리를 예기치 못한 곳으로 이끄는 파동과 같다. 내가 가는 길을 조금 더 사랑하는 것, 그것이 나의 진정한 자아를 찾는 방법이 아닐까.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우리는무엇을타고나는가 #케빈미첼 #오픈도어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