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권 - 누가 AI 전쟁의 승자가 될 것인가
파미 올슨 지음, 이수경 옮김 / 문학동네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은 리뷰어스클럽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요즘 인공지능, 특히 챗GPT 같은 생성형 AI이 우리 삶 곳곳에 스며들고 있습니다. 업무의 효율을 높여주고, 창작의 영역을 넓혀주는 등 신기하고 편리한 점이 많으면서도, 막연한 두려움이나 불안감도 드는 게 솔직한 심정이에요. 인공지능은 과연 우리에게 유토피아를 가져다줄까요? 아니면 디스토피아를 초래할까요? 바로 이 시점에서 파미 올슨의  <패권>은 세간의 불안감을 명확한 시선으로 정리해주는 필수적인 교양서입니다. 저자는 오랫동안 기술 규제와 인공지능 분야를 다뤄온 베테랑 저널리스트로 실제 업계의 속사정을 꿰뚫는 탁월한 취재력을 지닌 인물이에요. 구글 딥마인드의 은밀한 시도를 최초로 폭로하며 전 세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던 이력을 보면 그녀의 능력이 어느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저 역시 처음엔 인공지능 기술 개론서쯤으로 생각했는데, 읽을수록 그 깊이와 폭넓은 시야에 감탄하게 되는 AI 안내서였어요.


이 책의 가장 흥미로운 점은 AI 개발이라는 거대한 기술 혁명 뒤에 숨겨진 인간적인 드라마를 기가 막히게 그려낸다는 거에요. 샘 올트먼의 오픈AI와 데미스 허사비스의 딥마인드, 이 두 천재적인 인물이 각각 어떤 철학과 비전을 가지고 인공지능에 뛰어들었는지 그리고 그들의 꿈이 막대한 자본과 만나면서 어떻게 변질되어 갔는지 그 과정이 마치 한 편의 스릴러 영화처럼 펼쳐집니다. 선의에서 출발한 인물들이 거대 기업의 이윤과 경쟁이라는 거대한 파도에 휩쓸려버리는 과정은 씁쓸함을 남기면서도 자본주의 사회의 냉정한 현실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하더라고요. 이 책은 단순히 기술 발전의 연대기를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인공지능 기술의 패권 다툼에 얽힌 개인적인 야망, 라이벌 의식, 그리고 철학적 이견들이 어떻게 기술의 궤적을 결정했는지 섬세하게 그려내요.


하지만 이 책은 단순히 흥미진진한 뒷이야기나 거대 기업들의 권력 투쟁만을 파헤치는 책이 아닙니다. AI 발전의 밝은 면만을 비추는 서적들과 달리, 우리가 반드시 직시해야 할 어두운 그림자에 대해서도 아주 날카롭게 경고합니다. 예를 들어, 학습 데이터에 내재된 편향성이 어떻게 인종이나 성별에 대한 차별을 강화하는지, 또는 기업의 이윤 추구가 안전이나 윤리적 문제를 어떻게 뒷전으로 밀어내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며 지적해요. 우리가 흔히 쓰는 AI 도구에 기업 CEO를 생성해달라고 하면 백인 남성을, 범죄자를 생성해달라고 하면 흑인 남성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식입니다. 그렇다고 내용이 너무 딱딱하거나 전문적인 용어로 가득 차서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책은 아니에요. 복잡한 기술 개념보다는 인간적인 이야기와 현실적인 사례로 내용을 이끌어가기 때문에, AI에 대해 잘 모르는 저 같은 일반 독자들도 충분히 술술 읽을 수 있을 거 같습니다.


<패권>은 인공지능이라는 거대한 기술 혁명의 본질을 이해하고, 인류가 맞서야할 거대한 질문을 던지는 논픽션입니다. 저자의 균형 잡힌 시각은 AI의 미래와 인류의 가치가 어떻게 공존해야 할지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공하죠. 인공지능이 인류의 미래를 결정할 중대한 기로에 서 있는 이 순간 많은 이들이 읽어야 할 필독서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AI라는 변화의 본질을 꿰뚫어 보고 싶으시다면, 또는 기술에 숨겨진 인간의 욕망과 윤리적 딜레마에 대해 깊이 고민해보고자 하신다면 이 책을 읽어보시길 강력히 추천해요. 아마도 이 책의 질문들은 오랫동안 깊은 여운을 남기며 우리를 미래의 한복판으로 이끌 것입니다.


#리뷰어스클럽 #패권 #파미올슨 #문학동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